View : 472 Download: 0

직물에 의한 도시 이미지 표현연구

Title
직물에 의한 도시 이미지 표현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n City Image Expression through Fabrics : Concentrated on Destil Movements
Authors
박경현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섬유예술학과
Keywords
직물도시 이미지데스틸 운동FabricsCity ImageDestil Movements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현대 예술분야는 도시생활을 기반으로 대량생산의 요구와 첨단기술의 발전, 정보화의 촉진과 확대를 통해 국제화시대 속에서 종합예술을 지향하며 다변화되고 있다. 도시는 21세기를 맞이하는 현대인간의 삶 속에서 중요한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인간의 삶과 밀접한 예술은 도시환경의 영향을 간과할 수 없다. 본 연구는 바쁘게 돌아가는 현대 문명사회 아래서 인간의 삶을 둘러쌓고 있는 도시를 회고하고자 사물을 직시하는 눈으로 데스틸운동을 통해 도시이미지를 조형적 언어로 재구성한 표현 연구이다. 도시를 하나의 사물로서 인지하고, 삶을 담고있는 그릇으로서 인지된 도시를 이미지화 하는 내용과 함께 본 연구는 도시개념과 데스틸운동의 조형원리를 사상적 배경으로 재구성하여 표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론적 연구 방법으로는 첫 번째로 도시의 일반적 개념과 도시 건축작품 분석에 대해 살펴보았고, 둘째로 도시의 이미지와 데스틸운동의 조형원리가 유사하다는 주관적 시각 아래 데스틸운동을 데스틸의 개념과 대표적 데스틸 작가들의 작품으로 나누어 데스틸의 조형원리를 고찰해 보았으며, 셋째로 도시이미지가 표현된 섬유예술작품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작품제작에 있어서 도시 이미지 표현은 빛에 의해 반사되는 형광 테이프사를 사용하여 수직 수평의 효과와 프린팅으로 개념 전달하고자 하였다. 부드러운 직물에 단단한 프레임을 주어 공간 속에서 도시이미지 표현에 상대적 효과를 주고자 하였다. 작품의 색상은 적, 청, 황과 흑, 백을 기본으로 하여 도시의 화려하고 바쁜 이미지를 표현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주관적 판단아래 현대 도시이미지를 부과하기 위하여 반짝이는 망(網)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작품 제작을 통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술은 인간의 삶과 공존체계를 이루는 표현장르로서 다양한 표현양식을 가질 수 있으며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것만이 아니라 과정과 결과물로 인해 사고(思考)하게 할 수 있는 형상성을 가짐을 느낄 수 있었다. 둘째, 평면적인 직물을 딱딱한 프레임의 피스 조립으로 인해 도시의 이미지를 3차원적으로 강하게 보여줄 수 있었다. 셋째, 각 피스의 크기를 동일하게 제작하여 운반의 용이함과 설치시 형태의 자유로움을 얻을 수 있었다. 넷째, 데스틸의 수직 수평적인 조형원리를 표현하는데 있어서 형광 테이프사의 특성인 빛을 주는 각도에 따라 달라 보이는 성질을 이용하여 직물의 방향성을 표현에 응용했으며, 이에 스크린프린팅을 주어 표현의 양감을 더하고자 하였다. 다섯째, 직물의 제작시 투명성과 반투명성을 고려하여 공간과 벽면의 도시 이미지 표현을 자유롭게 할 수 있었다. 여섯째, 데스틸의 색상을 스팽글망과 프린팅을 통하여 표현함으로서 원거리 관람시 망의 색상과 프레임으로 인하여 데스틸운동으로 재해석된 도시의 이미지를 느낄 수 있게 하였고 근거리 관람시에도 프린팅의 외곽라인과 그 안의 색상들로 인해 이를 느낄 수 있게 의도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계속적인 연구와 창작 활동을 통해 더욱 깊이 있는 내면세계와 표현성을 무한한 조형세계에서 발전시켜 나아가야 하겠다.;The field of modem art has been multiplied toward that of complex art in. This trend has been brought about, in this globalization age, by the demands of mass-production based on urban life, the advance of hi- technologies, and the proliferation and the spread of th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The city takes an important part of the moderns' life facing the 21th century. Thus, the art cannot overlook the effect to the urban environment, because of its intimacy with human life. This is an research of expression on the reconstruction of the city image with formative language and intuitive eyes following the De stjil movement, in order to reflect on the city surrounding human life under the modem civilized society in a whirl of business. The aim of this research is reconstruct and express the city by recognition of it as a object and imagination of it as a vessel putting in the life, making the concept of city and formative theory of the De stjil movement as ideal backgrounds. The theoric research methods are following; Firstly, I examined the general concept of city and the analysis of the works expressing it. Secondly, I inquired into the formative theory of the De stjil in the respect of its concept and masterpieces. Thirdly, I analyzed the urban architectural works of the De stjil artists. In the production of the works, I intended to express the urban image by use of the fluorescent tape thread for the vertical and horizontal effect, and use of printing. I also intended to give relative effect to the expression of urban image by using hard frame in the soft fabrics. The colours of the works are basically red, blue, black and white for the purpose of expressing the image of the splendid and busy city, and in addition, I used glittered net to reinforce the modem urban imag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 the work producing are following; Firstly, I felt that the art can take diverse representing forms as an expressive genre to constitute coexistence synthesis with human life, and is not only shown directly, but also has the formative power to make people think by the result and the procedure. Secondly, I could express the image of city as three dimension by assembling pieces made out of plane fabrics with hard frame. Thirdly, to make all pieces same size resulted in the convenience of moving and the free formation in set-up. Fourth, To express the vertical and horizontal formative theory of the De stjil, I applied the characteristic of the fluorescent tape thread which looks different according to the incidence angle, to the expression of fabrics' directions. Fifth, Creating the works, I could feel free expressing the urban image of space and walls in consideration of the transparency and the semi transparency. Sixth, I expressed the De stjil colours with spangle net and printing in order to make the urban image which was reinterpreted by the De stjil movement felt, due to the nets' colours and frames when shown at a long distance. Also I intended to make this image felt due to the outline of the printing and the inside colours when shown at a short distance. On the basis of this research, here after, I will develop more intensively the inner world and the expressions in the indefinitive formative sphere through continuous researches and creative activit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