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은정-
dc.creator김은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1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1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2948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44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489-
dc.description.abstract21세기에 접어든 현재, 미술은 시대적 정신에 맞추어 다양한 시도와 전개로 하나의 정의를 내리기가 더욱더 어려워지고 있지만, 예술의 궁극적 목적인 미를 탐구하고 창조하며 개인이 추구하는 이상을 표현한다는 측면에서 그 뜻을 같이 한다. 끊임없이 이상을 추구하고 사상이나 감정을 나타내고자 노력하는 것은 누구에게나 있고 이러한 이상은 여러 형식을 통해 우리의 미적 감성을 만족시키며 또한 아름다움은 우리가 여러 감각적 지각 속에서 형식으로나마 조화와 통일을 이룰 때 감동 할 수 있고 만족되어진다. 그러므로 자연환경이나 역사적 전통, 예술과 문화 속에서 서서히 형성되어 온 예술적 이상과 우리의 미적 감정을 충족시키는데 필요한 요소를 찾는 것을 근거로 크게 자연의 신비와 인간의 조형의지를 상관(相關)해 볼 수 있다. 자연은 우리에게 무수히 많은 소재와 감흥을 주면서 시대와 사조, 표현매체를 초월하여 예술가들에게는 끊임없는 표현의 대상이 되어왔다. 특히 자연의 걸작품인 꽃은 신의 창조물 중 최고의 작품이라 일컬으며 세월의 흐름 속에서 신비로움과 아름다움을 전하는 존재가 되었다. 항상 우리들 주변에 친근한 대상물로써 산과 들, 길에 피어 환경친화를 위한 소재가 되었고, 그 색과 향기는 장식적 효과를 위해 인공적으로 가미가 되기도 했다. 여기에서는 꽃 한송이가 갖는 외적 아름다움과 조형성을 관찰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자연 속 하나의 미적 존재인 꽃의 이미지를 절제된 선과 면으로 재인식하여 도자조형화 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은 표현의 소재로 많은 영향을 끼친 자연과 예술성의 관계를 살펴보고, 구체적으로 姜의 일반적 의미를 고찰, 꽃의 문화성과 조형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기존의 꽃 이미지를 작품화한 선행 작품을 참고도판으로 제시하였다. 작품의 조형 과정에서는 꽃 한송이가 가지는 외형적 특징을 주관적 관점에서 재구성하여 하나의 형태로 표현하였다. 제작 방법으로는 절제된 선과 면의 구성을 다듬어 놓은 듯한 형의 표면 효과를 위해 석고틀을 제작하여 점토를 가압성형 하였고, 점토의 가압성형시 보여줄 수 있는 점토간의 이음선과 의도적인 틈, 공간을 표면장식으로 하였다. 태토는 큰 형태의 경우 제작이 용이한 석기질 점토를 주로 사용하였고, 작품에 따라 강한 선과 면의 구성을 위해 주입성형 기법에 자기토를 사용하였다. 유약은 입체감을 높이기 위해 밝은 파스텔 톤의 무광택 결정유를 바탕으로 하고 다른 색상을 부분 분무 시유하였다. 소성은 0.5 ㎥ 가스 가마에서 마침온도 880℃로 8시간동안 1차 소성하고, 2차 소성은 0.3㎥ 가스가마에서 최고온도 1260 ℃로 9시간 동안 산화염 (작품 1, 2, 3, 4, 5, 6, 7, 9, 10), 11시간 동안 환원염 (작품 8) 소성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창작예술활동에서 자연의 소재 중 꽃이 가지는 작고 아름다운 형태미는 작가의 주관적 조형언어로 표현되어질 때 무한한 가능성과 흥미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주변에서 흔히 보아온 소재로 무심코 지나치거나 필요에 의한 선택의 대상에 머물러 있던 꽃을 여러 각도에서 관찰하면서 주관적 시각과 미의 감각으로 많은 시도와 표현을 할 수 있었고, 이는 우리들 인식 속의 고정된 관념조차도 작품 감상을 통해 변화 발전시킬 수 있다고 본다.;At the dawn of the 21st century, it is getting difficult to make a sole definition of fine art, with its enormous and diverse attempts and development of realization in accordance with the contemporary spirits. However, the fine art still lies in the same premise in that it pursues the ultimate goal of the creation of beauty and in that it is the expression of the ideal of an each individual. It is natural that an individual would have endless attempts to seek the ideal and express its feeling and idea in his/her mind. This ideology has been formed gradually among the historical traditions, cultures, and natural circumstances. In those attempts, the nature providing stories and inspiration, has been an object to be expressed with prolonged endeavors of artists beyond a spirit of the time and a medium of expression. In particular, a flower the masterpiece of the nature, has been the existence featuring mysteric beauty as it is called one of the best work done by the God. Hence, the purpose of the study in this thesis lies in the simple modeling of the pottery as the reconsideration of a flower of grace lines into the moderate expression of the plain lines and planes. In his thesis, the relation between the fine art and the nature that has affected the former is studied. In addition, the study of the modeling methods in image realization of a flower, the formative factors, and the related works are given. When the pottery works are designed, every aspect and shape of each flower has been interpretated and moderately expressed in terms of the simplified lines and planes. The methods that were employed are the press-molding and the slip-casting with gypsum molds. The Press-molding is used to show the surface effects imposed on the pottery shape with the simplified lines and planes. In this way, the surface decoration was made with juncture lines, intentional openings, and space. The slip-casting method was also employed with stone ware clay and white clay, depending on the pottery works, to compose the impressive and strong lines and planes. The matt crystal glaze of the bright pastel shade was put on the pottery surface and then other color glazes were put by the partial spraying and blowing. The first firing was performed for 8 hours at 880℃ in the gas kiln of 0.5㎥ in size. The second firing was done for 9 hours at 1260℃ in the gas furnace of 0.3㎥. The work 〈1, 2, 3, 4, 5, 6, 7, 9, 10〉, each was done by oxidized firing for 9 hours and the work 〈8〉 by reduced firing for 11 hours. In this study the great possibility and interests has been raised and confirmed when the morphological beauty out of a flower, the traditional goal and the cause for the creative activity of the fine art, is expressed by the characteristic language of composer's own modeling. It is proposed that the attempts of the artist should be indispensible to challenge and develope the fixed conception in our cogni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동기 및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2 Ⅱ. 자연과 조형예술 = 3 A. 자연과 예술 = 3 B. 꽃의 조형 = 6 C. 이미지와 조형 = 9 Ⅲ. 꽃 이미지를 표현한 조형성 연구 = 14 Ⅳ. 작품 제작 및 해설 = 24 A. 조형 과정 = 24 B. 작품 제작 과정 = 37 C. 작품 해설 = 42 Ⅴ. 결론 = 63 참고문헌 = 65 ABSTRACT = 6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38953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꽃 이미지-
dc.subject도자조형-
dc.subjectFlower Image-
dc.subjectCeramic Modeling-
dc.title꽃 이미지를 표현한 도자조형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Ceramic Modeling through the Expression of Flower Image-
dc.format.pageix, 6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도예과-
dc.date.awarded200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