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3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은영-
dc.creator조은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17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17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89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41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893-
dc.description.abstract언론구조의 지각변동을 가져다 온 컴퓨터와 통신의 결합으로 인한 멀티미디어화, 그리고 주어진 제한된 시간을 맘껏 활용하고자 하는 개인화된 소비자 등으로의 변화, 빠르게 변해가는 오늘날의 사회현실 속에서 우리의 언론은 어떤 모습을 지니고 있는가? 과거의 언론과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이에 대한 해답을 구하고자 이 연구는 신문 1면을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사회 산물의 장으로 보고, 80여년 동안의 한국 신문 1면의 변화를 역사적으로 추적하여 그 의미를 논의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를 택하여, 1921년부터 10년 단위로 1면 전체기사와 1면 머릿기사의 보도 양식과 편집 양식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1면 기사의 전체적인 형식과 주제 변화, 기사량의 비율의 변화, 전체 기사량의 변화와 광고량의 변화, 보도사진의 변화, 사고의 변화, 제호의 변화 등 1면을 구성하는 여러 요소들의 역사적 변화와 그러한 변화가 한국 신문에 부여하는 의미에 대해 논의하여 한국 신문 1면에 대한 전체적인 조망을 하였다. 80여년 동안 한국 신문 1면은 선택과 강조를 통해 지면의 모습을 점진적으로 변화시켜 왔다. 그리고 그러한 변화 뒤에는 신문을 둘러싸고 있는 사회 현실의 변화가 자리잡고 있었다. 정치·경제 환경의 변화, 다변화된 사회, 신문 제작 기술의 변화, 멀티미디어화의 전파, 전문 언론인의 등장, 독자의 생활방식과 의식의 변화 등 달라지는 사회 제반 요소들은 신문의 모습을 시대별로 재구성하였고, 신문은 지면의 편집개혁을 통해 변모해온 양상을 사회에 드러냈다. 사회와 신문의 이러한 상호작용은 한국 신문의 1면 변화를 통해 한국 사회에서의 신문 1면이 가지는 의미를 해석할 수 있게 해준다. 한국 신문 1면의 변화는 단순히 지면의 변화만을 ?飴舊?않고, 한국 신문 1면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변화와 언론인들의 의식 변화를 나타내주었다. 연구 결과, 신문의 모습은 1921년부터 1930년까지, 1931년부터 1990년까지, 1991년부터 2001년까지의 세 시기로 특징지을 수 있었으며, 이러한 특징을 통해 한국 신문 1면의 역사적 변화와 그러한 변화가 주는 의미는 다음과 같이 몇 가지 방향으로 정리되었다. 첫째, 한국 신문 1면은 의견 보도 중심에서 사실 보도 중심으로 변화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1면의 기능이 계몽적 설득의 도구에서 사실전달의 도구로 변화하였음을 나타내준다. 또한 이러한 사실 보도 중심으로의 1면의 변화는 전통적으로 한국 언론에서는 지사적 기자가 강조되었으나, 현대로 오면서 전문 기자가 강조되었으며, 설득자로서의 기자에서 전달자로서의 기자로 변화하였음을 알게 해준다. 둘째, 한국 신문 1면은 정치 기사 위주의 공간에서 점차 다양한 주제들의 기사가 공존하는 종합면으로 변화하였다. 한국은 정치사회적 변화의 폭이 컸던 격동의 세월을 보냈기 때문에 초기부터 한국 신문 1면의 주요 내용은 정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서도 이러한 사실은 확인되었다. 그러나 경제적 환경이 급변하고, 사회가 다원화되고, 독자들의 관심이 다양해짐에 따라 1면은 정치면에서 종합면으로 변화되었고, 정치 기사 이외에 경제기사, 사회 기사 등 다양한 주재의 기사가 1면에 자리하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를 통해 1면은 보다 다양한 주제들의 현실이 재구성되어 작동하는 상징적인 공간이 되었다. 셋째, 한국 신문 1면은 시각적인 요소를 중시하는 방향으로 변화하였고, 이러한 신문의 편집 혁명은 결국 시장중심 신문의 산물이면서 독자위주의 신문 운동의 일환이다. 한국 신문 1면에서 확인된 가로산기로의 변환, 지면 안내란의 강조, 활자 크기의 확대, 섹션화의 등장, 다양한 컬러의 사용, 사진의 빈번한 게재 등의 편집 변화가 이를 증명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신문의 지면 변화를 종합하면, 한국 신문 1면은 공적인 공간 활용보다 상업적 공간 활용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변화하였음을 반영한다. 앞서 논의한 사실 보도 위주의 기사 편집이나 시각적인 요소를 중시하는 독자 위주의 신문 편집은 모두 신문이 저널리즘적 목적을 성취하기보다는 기업으로서의 영리 추구를 위한 행동들이라고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historical changes of the contextual conditions, such as the political, economic, cultural and social environments, have influenc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ront page of Korean newspapers. This thesis analyzes major changes of the newspaper front page in Korea over 80 years from 1921 through 2001. In particular by describing what information editors select in front page and how to edit them for about 80 years, this thesis is designed to show the broader trends of the front page design.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1921 to 2001. The method used was content analysis The Chosun Ilbo and the Dong-A Ilbo were used. These two papers were chosen because they have been in publication with little stoppage over the past 80 years Front pages of these papers were selected at 10-year intervals. For each selected year, six front pages were sampled to complete a constructed week, balancing among seasons. The formal properties of each item on each page were examined Each front page was coded for number of news stories, illustrations(photo, drawing, cartoon, etc.), advertisements, announcements of a newspaper company and proportion on the page. Each news story was coded for story type, topic and byline. During the period of analysis, the front page, like all public media, changed with the times The pattern of change was divided into three periods(1921-1930, 1931-1990, 1991-2001). And the results of this thesis ar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1. The Korean newspaper front page shifted its emphasis from opinion centered make-up to straight news oriented design. 2. The front page has gradually diversified its story types from political news concentration to include increasingly divergent topics of stories. 3. more recent changes illustrate the dominant tendency of visualization carrying more pictures with colors and fewer numbers of news items. From these results conclusions of this thesis can be obtained as follows Instead of journalistic purposes, the contemporary front page in Korean newspapers pursued commercial profits. This emphasis on commercial profits is rooted in changes in journalistic idea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 1 B. 연구의 의의 = 3 Ⅱ. 이론적 논의 = 5 A. 뉴스의 성격 : 특정하게 재구성된 현실 = 5 B. 언론 환경의 변화와 신문 지면의 상호작용 = 7 1. 신문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 = 7 2. 언론 환경의 변화와 한국 신문의 변화 = 10 가. 민족언론의 태동과 지사적 의식 (1920년대) = 12 나. 자본주의로의 구조적 이전과 일제의 언론탄압 심화 (1930년대) = 13 다. 신문의 암흑기와 미군정의 언론정책 (1940년대) = 14 라. 신문의 상업주의 경향 대두 (1950년대) = 15 마. 경제성장과 신문의 기업화 경향 (1960년대) = 17 바. 유신정권의 언론탄압과 자유언론실천운동 (1970년대) = 18 사. 언론통폐합과 신문 기술의 발전 (1980년대) = 20 아. 다매체 시대의 신문의 위기와 시장 경쟁 체제 (1990년대 이후) = 21 C. 신문의 1면과 편집 = 23 D. 관련 문헌 연구 = 25 1. 1면에 대한 외국의 연구 = 25 2. 1면에 대한 국내의 연구 = 29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 32 A. 연구문제 = 32 B. 연구방법 = 35 1. 분석 대상과 절차 = 35 2. 분석 방법 = 38 가. 분석 단위 = 38 나. 분석 유목 = 40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46 A. 1면 보도 양식의 변화 = 46 1. 1면 기사 형식의 변화 = 46 2. 1면 기사 주제의 변화 = 59 3. 기명 기사 비율의 변화 = 65 B. 1면 머릿기사의 변화 = 71 1. 1면 머릿기사 형식의 변화 = 71 2. 1면 머릿기사 주제의 변화 = 73 3. 1면 머릿기사 기명 기사 비율의 변화 = 76 C. 1면 지면 형식의 변화 = 78 1. 1면 지면구분의 변화 = 78 가. 뉴스면의 변화 = 79 나. 광고면의 변화 = 84 2. 1면 제호의 변화 = 89 3. 1면 사고(社告)의 변화 = 91 4. 1면 보도 사진의 변화 = 94 5. 1면 기타 지면구성 요소의 변화 = 97 가. 시사 만화 = 97 나. 지면 안내 = 98 6. 1면 편집 스타일의 변화 = 99 D. 소결론 : 한국 신문 1면 특성의 시대적 변화 = 102 Ⅴ. 결론 = 106 A. 한국 신문 1면의 역사적 변화와 그 의미 = 106 B. 연구의 한계 및 제언 = 113 참고문헌 = 114 부록 내용분석지 = 122 Abstract = 12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53328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한국신문-
dc.subject1면-
dc.subject조선일보-
dc.subject동아일보-
dc.subject언론-
dc.title한국 신문 1면 특성의 변화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1921-2001년의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Changes in front page characteristics of Korean newspaper : A study of the Chosun Ilbo and the Dong-A Ilbo, 1921- 2001-
dc.format.pageix, 12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신문방송학과-
dc.date.awarded200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론홍보영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