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63 Download: 0

여자대학생의 여가소비성향 유형에 관한 연구

Title
여자대학생의 여가소비성향 유형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Leisure Consumption of Korean Female University Students
Authors
박민규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소비자인간발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eisure consumption culture of Korean female university student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500 female university students from 6 universities in Seoul area were sampled and total of 397 subjects were utilized for data analysis. Primary statistical methodologies for data analysis were cross-tabulation analysis, one-way ANOVA, factor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emale university students tend to considered that leisure means ‘personal pleasure’, and they think ‘need for financial resource’ is the biggest barrier for their leisure life. Half of the students feel that other activities are interrupting their leisure time, and the other activities were ‘study’ and ‘part-time job’ in most cases. The time that female students spend on leisure a day is longer than the time on study, work or job searching, and the mean of leisure consumption was 138 thousand won. Second, by factor analysis, 4 factors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leisure consumption were found and they are possessive character, efficient character, information pursuing character, public good pursuing character. And four groups are organized to the grades in four factors, namely, public good pursuing type, impulsive type, individualistic type, rational type. Third, the characters of each leisure consumption type are found by cross-tabulation analysis and one-way ANOVA. Public good pursuing type tends to be organized by older students who are attending female university and majoring human studies and social sciences. Their time spending on study and job searching was longer than that of other groups and leisure time tends to be shorter. Leisure consumption was the smallest among four types. Impulsive type tends to be organized by younger students who are attending coeducational schools and majoring arts. Many of them are living apart from their parents, and impulsive type seems to do passive leisure activities. Individualistic type is organized by younger students who are living with their parents and majoring science and engineering and arts. They feel their leisure is interrupted by study although their leisure time is the longest. Individualistic type’s shopping participation is much higher than other types and their leisure consumption is the biggest, as a result they seem to have the most consumption inclined leisure habit. Rational type tends to be organized by older students, and they spend more time on study and job search than other types, and less time on leisure. However, they do not feel that other activities interrupt their leisure, and their leisure activities tend to be more active and diversifi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everal suggestions can be made to induce female university students’ sound and more balanced leisure culture and leisure consumption; First, younger students are more likely to be involved in impulsive type and individualistic type while older students are involved in public good pursuing type or rational type. It can be inferred that university education lead students to consume in a more sustainable and reasonable way. In addition, science and engineering majors and arts majors tend to be impulsive and individualistic type while human studies and social science majors are public good pursuing type. Second, impulsive type and individualistic type tends to have more passive and standardized leisure. Therefore, leisure education which will help students to develop their own interest and values can be organized for the students in impulsive and individualistic types. Third, overall, it is found that female students have passive and standardized leisure, which reveals indifferent attitude toward leisure aspect. Social interest in diversified leisure activities and construction of leisure infrastructure are expected to be a solution. Based on the conclusions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several suggestions can be made; First, this study is focused on consumers’ values and psychology analysis rather than quantitative analysis. Therefor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uld be explained in a cultural perspective. Accumulation of such studies will show chronological changes of consumers’ leisure consumption tendency. Second, the study limited its analysis to female university students, which means it is a purposeful analysis of a certain class. Therefore, it contains its value as in-depth information about a specific consumer group, and to find out divers consumer groups leisure consumption characters, separate studies are required. Third, this study implemented factor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found several consumer leisure consumption types, and suggested that leisure education and leisure consumption education that are apt to each type. Through successive studies, details of leisure and leisure consumption educa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본 연구에서는 여자대학생의 여가소비성향을 유형화하는 과정을 통하여 여대생 소비자의 소비문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여대생 소비문화에 대한 실증분석은 지금까지 알려진 여대생 소비자의 소비패턴에 대한 근거자료가 될 것이며, 또한 왜곡된 부분을 바로잡는 계기가 될 것이다. 이는 또한 여대생의 현재 소비 특징에 대한 관찰인 동시에 그들이 불러 올 미래의 변화에 대한 예측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대생의 일반적인 여가인식 및 여가활동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여대생의 여가소비성향 유형과 군집은 어떠한가? 셋째, 여대생의 여가소비성향 군집별 특성은 어떠한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증분석 자료는 서울 소재의 6곳의 4년제 남녀공학 및 여자 대학교에 재학 중인 여자대학생을 대상으로 여가소비성향 및 여가활동 관련 항목을 포함한 질문지를 사용하여 수집 하였으며, 397부의 질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요인분석, 군집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 및 교차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대생의 일반적인 여가의식 및 여가활동 실태를 조사한 결과, 여대생 계층은 여가란 ‘개인적인 즐거움’을 의미한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46.1%로 가장 많았으며, 여가활동시의 어려움으로는 ‘경제적인 부담(49.6%)’과 ‘여가시간 부족(29.0%)’이라고 응답한 여대생이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여대생의 절반 정도(47.9%)는 다른 활동 때문에 자신의 여가시간이 줄어든다고 하였는데, 여가를 방해하는 활동으로는 다수의 여대생이 ‘학업(48.7%)’과 ‘아르바이트(34.0%)’를 꼽았다. 여대생의 학업, 취업준비, 아르바이트 활동에 할애하는 시간보다 여가에 할애하는 시간이 많았으며, 한달 평균 여가활동비는 13만 8천원으로 이었다. 둘째, 여대생의 여가소비성향의 유형을 파악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여대생의 여가소비성향은 향유지향, 효율지향, 정보지향, 공익지향의 4개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요인분석의 결과를 통해 추출된 요인점수를 기준으로 연구대상자를 네 가지 군집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군집1은 ‘공익추구형’으로, 연구자의 중 140(35.3%)가 속하여 가장 규모가 큰 군집인 것으로 나타났다. 군집2는 ‘충동형’으로, 연구대상자 중 87명(21.9%)이 이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군집3은 ‘개인주의형’으로, 연구대상자의 123명(31.0%)이 속하였다. 군집4는 ‘합리성추구형’으로, 47명(11.8%)가 이에 속해 가장 규모가 작은 군집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군집분석을 통하여 분류된 여대생 집단 각각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군집별로 인구사회학적 변인과 여가의식 및 실태 변인에서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 교차분석과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공익추구형 집단은 평균 연령이 높은 편이고, 여자대학교에 재학하는 여대생과 인문사회계열 전공생에게서 많이 나타나며, 학업과 취업준비시간이 길고, 여가시간이 가장 짧았다. 여가를 휴식활동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으며, 여가활동비는 12만 1천원으로 가장 적었다. 충동형 군집은 평균 연령이 낮은 편이며, 남녀공학 재학중인 여대생과 예체능 전공생에게서 많이 나타나는 유형이다. 부모님과 함께 거주 않는 학생에게서 많이 나타나는 유형이고, 비교적 자유로운 여가시간을 향유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자주하는 여가활동은 인터넷, TV시청, 휴식 등 모두 수동적인 여가로 매우 정적인 여가특성을 가진다. 개인주의형 군집은 평균 연령이 낮은 편이며, 부모님과 함께 사는 여대생과 이공계열 또는 예체능계열 전공생에게서 많이 나타나는 유형이었다. 학업시간과 취업시간은 가장 짧고, 여가시간은 가장 길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학업으로 인하여 여가에 방해를 받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어, 여가에 대한 욕구가 가장 큰 집단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쇼핑활동에의 참여율이 매우 높으며, 여가활동비가 15만 1천원으로 가장 높아 여가활동에 있어 가장 소비지향적인 특성을 가지는 집단인 것으로 해석되었다. 합리성추구형 여가소비성향 군집은 평균 연령이 높은 편으로, 학업과 취업준비에 할애하는 시간이 길고 여가시간이 짧은 편이지만, 그와 같은 활동으로 인하여 여가시간이 방해 받는 것으로 인식하지는 않는다. 자주하는 여가활동에서 다른 군집과 달라 예술감상활동에의 참여율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여대생의 건전하고 균형 잡힌 여가문화 및 여가소비를 조성하기 위한 몇 가지 논의가 가능하다. 첫째, 연령이 낮은 여대생일수록 충동형과 개인주의형 여가소비성향을 보였으며, 연령이 높아질수록 공익추구형과 합리성추구형 성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대학입학 이후 충동적이고 개인의 만족만을 추구하는 여가소비를 하던 여대생이 고학년에 진학함에 따라 타인과 후대를 배려하는 지성소비를 자각하게 되고 유행이나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기 보다는 자신만의 유형화된 여가소비를 형성하게 되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었다. 둘째, 충동형과 개인주의형 여가소비성향을 보이는 군집은 여가활동에 있어 소극적이고 획일화된 성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연령이 어린 여대생의 경우 이 두 군집에 속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진정한 여가에 대한 경험이 부족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군집에게는 보다 다양한 여가활동을 시도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고, 자기 나름의 재미와 경험과 멋을 추구할 수 있는 여가유형을 찾아내고 개발할 수 있도록 하는 여가교육이 의미를 가질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전체적으로 볼 때 여대생들은 획일적이고 수동적인 여가활동 특성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다수의 여대생에게서 여가활동에의 다양성이 결여되어 있음은 여가에 대한 교육과 인프라가 부족한 것에 원인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측면에서 소비자들이 자신에게 적합한 여가소비 및 여가활동 유형을 선택하는데 도움을 주는 여가교육과 정보, 건전한 여가를 위한 사회적 분위기 조성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결론을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여자대학생의 여가소비의 정량적 측면이 아닌 가치관 및 심리적 성향의 측면을 중심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가치관과 심리 상태를 기준으로 조사된 여가소비성향은 그 개념의 특성상 그가 놓인 환경에 크게 영향을 받을 것이므로, 그 연구결과는 현재 대상자가 속해 있는 여가환경과 사회환경에 준한 종합적인 해석을 필요로 하며, 이와 같은 연구의 지속과 누적은 시대별 경향을 볼 수 있는 정보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 중 서울 소재 대학에 재학중인 여자대학생으로 대상을 한정함으로써, 다양한 대상에 일반화하여 적용할 수 있는 연구결과를 도출하기 보다는 특정 소비자 계층의 소비문화를 분석하는 데에 목적이 있었다. 따라서 여가산업 내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소비자 계층에 대한 심층분석정보로서의 가치를 지니며, 보다 다양한 대상의 소비문화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관심계층에 대한 별도의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여가소비성향을 유형화하고 군집별 여가활동 실태를 파악함으로써 여대생의 여가소비문화와 여가문화를 살펴보았고, 그 결과 여자대학생에 대한 여가교육 및 여가소비문화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후속연구에서는 각 군집의 특성에 맞는 여가활동 및 소비에 관련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하여 여대생의 건전한 여가소비문화를 유도할 수 있는 실질적인 대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