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7 Download: 0

A Study on The Fluid Identity at In_Between Space

Title
A Study on The Fluid Identity at In_Between Space
Authors
김민정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학부회화·판화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I could not recognize myself when I involved in the forest, after I shiftedto the chosen place. I therefore found myself of moving between twocultures and generating the identity in flux through the event of shift inshort, the being of mirror. I have started to pour my inspirations onto my works surrounded byquestions addressing new cultural identities, advancing mobility, as well asthe questioning and changing of locations under the influence of migration attime of adolescent, are never-ending themes to me. I am interested in thestate of myself moving between two categories. I consider the place leftbehind ("there") or the adopted place ("here"), or their interactions. Thedisplaced I retain an emotional connection with the place left behind;indeed, the resonance of the original place is often enhanced and intensifiedby distance. At the same time, I am forging a new hybrid identity that drawson the physical surroundings and cultural climate of the new place. If altersthat the two dimensional condition is called "in_betweenness" by a theoristHomi Bhabah to three dimensional space, I found myself of absorbing intodelimited space or sometimes be isolated from. I do not perfectly involve inone monolithic category. However, from a certain point of time, I wish topull out myself of moving to hither and tither, thinking randomly in view ofmulti-perspectives rather than generating and moving within one fixedpoint. I wish to peer the veil and expose about 'the identity in flux'. Globalization has increased the experience of migrancy, alteringrelations between Western and other cultures and the sense of identityof individuals whose lives have taken them across the borders betweenFirst, Second, and Third Worlds, or across, in effect, postmodernsocieties. It suggests a fluid personal, ethnic, linguistic, and culturalidentity. Contemporary identities can therefore be fluid or consciouslydelimited. 'Nomadism' can be selected to describe as one of cultural codes for this kind of current. Displacement therefore is one of thecentral facts of contemporary culture and art. I explore how the fluididentity is engaged with and expressed in my work. My work is more about what happens in the middle of two differentcultures due to by shifting. Firstly, I analyze about the terms of absorptionand isolation based on the concept of segmented assimilation theory. Ratherto be soaked up in monolithic category of culture, ceaselessly crossing overtwo cultures and generating new hybrid identity at in_between space. I dealwith the acculturation theory, while two cultures are blending andabsorbing into, immigrants in subordinated position experience so-called'glass-ceiling'. Secondly, shuttling process can be extracted from the in_betweenspace. This process means that as like a shuttle bus comes and goes from acertain point to a certain destination. I distinguish the movement betweentwo cultures to back and forth /hither and thither. The back and forthmovement focuses on the movement from inside to outside and from back toforth through an intermediary existence. The 'hither and thither' movementis a metaphor of my identity that is moving ceaselessly towards here andthere at in_between space. Thirdly, the movement of 'back and forth'/'hither and thither' in theprocess of shuttling can be described as the structure of rhizome and thelines of flight. The rhizomic structured lines of flight identified in myworks itself assumes very diverse forms, from ramified surfaceextension in all directions to concretion into multiple centers. In otherwords, it leads current of mobility and forms randomly extendednetworks without fixing at a certain point of area. The fluid identity andthe features of rhizome lines can be linked to explain. The forces that influence the construction of identity are not stable,and thus identity itself is always in flux. Because identity is largelydetermined by outside influences, it is fluid and transformable as thecontext changes. Identities must also be described as at times shifting, and, like culture, must be conceived of as always being in a state ofprocess of absorbing or conflict. The in_between space happened by theprocess, generates and encircles, binds in, and can be crossed. Thein_between space holds up full of potentials and possibilities, overflows ofexperiments and play. In order to convey much more appropriatemeanings of my works, I found out that I need to make certain muchmore broad contexts and convey inspirations that I have not pulled outyet efficiently to spectators.;그 숲속에 있었을 때는 그 숲을 보지 못했다. 그 숲을 벗어나 선택된 공간으로 이동하였을 때 즉, 이동이라는 거울과 같은 존재를 통해 비로소 사이_공간에서 유동하는 정체성을 볼 수 있었다. 사춘기 시절에 겪은 이민으로 인해 두 문화 사이를 넘나드는 배경을 갖게 되었다. 남겨진 공간에서 선택된 공간으로 이동함에 조명하며 또한 상호작용에대하여 그리고 남겨진 공간과의 감정적인 교류에 대해 살펴본다. 본인은 다른지리적 환경과 새로운 공간의 문화적 기후에 의존하여 만들어진 새롭게 움직이는 정체성이라고 본다. 이러한 상태를 호미 바바(Homi Bhabha)는 “in_betweenness"라고 부른다. 본인은 그 사이_공간을 넘나들며 빨려 들어가기도 했으며때론 문화의 충돌로 인해 본인을 밀어내기도 했다. 어딘가 무한하게 본인을 흡수케 했으며 때론 고정된 곳에서 벗어나 자유스럽게 날게 하였다. 본인은 어느한 곳에 완전히 소속되어 있지 않으며 고정된 민족, 국가와 지역적 정체성을넘어서 유동적인 문화적 배경이 작업의 모티브로 나타나게 됨을 알게 되었고유동하는 정체성에 대해 본 논문에서 베일을 벗겨 펼쳐 보이고자 한다. 세계화의 바람은 견고했던 국가의 경계들을 뒤흔들며 오픈하여 넘나듦을 초래하고 서양의 문화와 그리고 타국의 문화와 포스트모던사회를 접하며 바꿔가는 관계 속에 살아가기 때문에 유동적인 성격과 민족적 배경과 언어 그리고 문화적 배경을 가지고 왔다. 이러한 동시대의 정체성은 하나의 문화코드인 ‘유목주의’로 바라볼 수 있으며 따라서 이동은 동시대 문화와 예술에 주요한 요소중 하나이다. 이러한 유동하는 정체성이 본인의 작업에서 어떻게 연계되고 표현되었는지 탐구하고자한다. 유동하는 정체성을 다루는데 본인은 이동에 따라 두 문화의 사이_공간에서일어난 해프닝의 상태 그것자체의 중점을 두었다. 첫째로 작품에서 보이는 두문화 사이_공간에서 스며듦과 유리됨의 반복과정을 분절동화론을 중심으로 그특성에 대해 논하고자한다. 완전히 흠뻑 하나의 문화의 카테고리에 젖어있지않고 사이_공간에서 끊임없이 누빔은 새로운 혼성의 상태의 정체성을 초래했다. 그리고 두 문화 사이에서 이러한 과정을 겪으며 어찌하여도 넘을 수 없는유리장벽을 경험하며 소외감과 상실에 빠지게 되는 문화적응과정을 다룬다. 둘째, 사이_공간을 떠내어 보았을 때 ‘셔틀링 프로세스(shuttling process)’를볼 수 있다. 이 방법은 셔틀버스가 왕복하는 것처럼 어느 곳에서 어느 곳으로왕복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back and forth"에서는 매개적 존재를 통해접근하여 앞/뒤, 안과 밖으로 넘나들며 이야기를 풀어가고 “hither andthither”에서는 사이_공간에서 끊임없이 여기저기로 넘나드는 움직임으로 나누어 설명하고자 한다. 셋째, 작업에서 보이는 셔틀링 프로세스의 앞/뒤, 여기저기의 움직임을 살펴보면 탈주하는 선이 구조와 형태 그리고 개념 면에서 리좀(rhizome)적인 특징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리좀 유형의 탈주선, 즉 본인의 작업에서 보이는 유동하는 정체성에서 비롯된 움직임의 선들은 무한히 증식하고 뻗어나가는 탈 코드화. 탈 영토화된 흐름들의 배치로서, 단일한 중심이 없는 다중심적 네트워크를구성하는데 이것은 리좀의 특징과 연결하여 설명할 수 있다. 유동적 흐름위에 놓인 정체성, 그리고 항상 스며듦과 갈등의 과정에서 비롯된유동하는 정체성은 사이_공간을 발생하고 둘러싸여있으며, 연결되어 있고 넘나듦을 초래한다. 사이_공간은 다음 움직임에 대한 선택과 결정이 이루어져야할 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가능성과 잠재적인 힘으로 충만해 있으며 실험과 유희가넘쳐흐르는 공간이다. 아직 갇혀있는 공간의 디스플레이에서 벗어나 유동적이며 개방적인 공간으로 나아가 작품을 설치하여 보다 마음속으로 다가오는 의미전달과 다양한 발전방향을 전개해야할 과제가 남아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