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2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류희주-
dc.creator류희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13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13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26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37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264-
dc.description.abstractHumans adjust their desires and ideals to reality in most cases although they suffer from ceaseless conflicts between their desires and ideals and reality. Humans may live without great conflicts in the real world by doing so. However, they experience mental conflicts owing to unsatisfied desires and ideals and become unstable emotionally. When they experience greater mental instability or encounter hardship in the real world, they are likely to be peaceful mentally by moving their consciousness to the world of fiction. In the world of fiction, humans can do whatever they please and set up space, time, and even relationships with objects in their own ways. Humans can see the insides of their own worlds and demonstrate their propensities intact by escaping from the limitations of reality by moving into the world of fiction. Therefore, it may be my true expression of moving into the world of fiction. As Sigmund Freud used ‘realite psychologique' for the world of fiction that people came to get to through imagination, he said the satisfaction of unconscious desire is realized within the psychological reality. Also, he believed that psychological reality is likely to reflect the sensitivity of a subject more desperately than reality, which is subject to social and ordinary limitations. When humans are confronted with an unfamiliar situation, they tend to connect such a situation to a familiar one. Their own space that is not subject to social and ordinary limitations is connected to a childhood where they cannot return. Since children are thought to be self-centered, they believe everything exists for them and what they think is true. Therefore, they can speak clearly about themselves in their own way. This is because their thinking about themselves is consistent as they have a standard of their internal world not of an external world, which means they believe everything in the world is given purpose by them. This study is to discuss how the concept is expressed in my works. First, as a theoretical background, the study reviewed a symbolic play and symbol which are methods I imagine, and conducted research into a theoretical background of artworks given as a symbol in Korean culture. Thus, the study tried to confirm that a symbolic play has existed in humans by nature and historically in terms of social and cultural aspects from a long time ago. In the research into the detail of expression, the study reviewed a target which did a symbolic play. Then, the study identified a philosophical background focusing on childhood as a symbol of time and space where sensitivity exists, which I assume is an ideal period. By reviewing the discussion of children by Rousseau, Copernicus, and Descartes, childhood was confirmed to be a symbol of ‘true self’ and of ‘true happiness’. In the research into an expression method, the study focused on a realistic expression by using coloring based on a coloring technique for watercolor in an Oriental painting. In the research into a formative method, the study reviewed the meaning and type of colors used in my works while identifying that my perspective toward colors matches the perspective of traditional Korean five color of direction and miscellaneous colors through a theoretical research into colors. Plus, the study reviewed a theoretical background of a blank space by conducting research into the space expression of a blank space, and discussed that the role of a blank space in my works is the space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viewer and me as well as a space of a symbolic play.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divided my works into five types which include A. Traveling, B. Invitation to psychological reality, C. Play with me, D. Projection of ‘I’, and E. Imaginary space, and analyzed them. In that way, the study identified that the results of previously studied theoretical background, details of expression, and expression methods were reflected in my works and were shown as my formative language. Through this study, I intended to prepare a theoretical background for my works and to prepare an opportunity that helps me find a way to pursue creation in activities that are based on research in an attitude that I assume toward a target and the world.;인간은 욕구와 이상과 현실 속에서 항상 갈등하지만 대부분 현실에 맞추어 욕구와 이상을 조절한다. 조절을 함으로서 인간은 현실세계에서 큰 갈등 없이 살아갈 수 있지만 충족되지 못한 욕구와 이상으로 인해 정신적으로 갈등을 겪고 불안정한 정서를 갖게 된다. 이러한 불안정한 정서가 커지거나 현실세계에서 어려운 일이 닥쳤을 때 인간은 자신의 의식을 허구의 세계로 옮겨 정신적인 안정을 얻으려고 한다. 허구의 세계에서 인간은 자기 뜻대로 모든 행동을 할 수 있고 공간, 시간, 대상들의 관계까지도 자기 뜻대로 설정할 수 있다. 허구의 세계로 이동함으로써 인간은 현실의 제약에서 벋어나 자신의 내면을 바라볼 수 있고 자신의 성향을 온전히 나타낼 수 있다. 그러므로 허구의 세계로 이동하는 것은 진정한 나의 표현이라 할 수 있다. 프로이드(Sigmund Freud)는 상상을 통하여 들어서게 되는 허구의 세계를 '심리적 현실(realite psychologique)'이란 말을 사용하면서 무의식의 욕망의 충족은 심리적 현실 안에서 구현된다고 하였다. 또한 심리적 현실은 사회적, 일상적 제약을 받는 현실보다도 더 주체의 감성을 절실하게 반영하는 측면이 있다고 하였다. 인간은 낯선 상황에 처했을 때 낯선 상황을 낯익은 상황에 연결하려는 특성이 있다. 본인에게 사회적, 일상적 제약을 받지 않는 공간은 돌아갈 수 없는 유년기와 연결된다. 유년기에는 사고가 자기중심적인 특징이 있기 때문에 모든 것이 자신을 위해 존재하고 자신이 생각하는 것이 진리라고 믿는다. 그러므로 자신에 대해 나름대로 또렷하게 말할 수 있다. 이것은 외부세계의 기준이 아닌 내부세계, 즉 자신에 의해 세상 모든 것에 목적이 부여된다고 믿기 때문에 자신에 대한 생각이 일관적이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개념이 본인의 작업에서 어떤 양상으로 표현되는지를 논하고자 하였다. 우선 이론적 배경으로 본인이 상상하는 방법인 상징놀이와 상징에 대해 살펴보고 한국 문화에서 상징이 부여된 예술작품에 대해 이론적 배경을 연구하였다. 이러한 연구로 상징놀이가 인간에게 선천적으로, 또한 사회문화면에서 역사적으로 예부터 있어왔음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표현내용의 연구에서는 본인이 상징놀이를 하는 대상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리고 본인이 이상으로 생각하는 감성을 가진 시공간의 상징으로 유년기를 주목한 것에 대한 철학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루소와 코페르니쿠스와 데카르트의 어린이에 대한 논의를 살펴봄으로서 유년기는 ‘진정한 나’의 상징이며 ‘진정한 행복’의 상징임을 확인하였다. 표현방법의 연구에서는 표현기법에 있어서 동양화 수간 채색기법을 바탕으로 한 채색을 이용한 사실적 표현을 연구하였다. 조형적 방법연구에서는 색채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통해 본인이 색을 대하는 관점이 한국 전통의 오방정색과 잡색의 관점과 상통한다는 것을 밝히면서 본인 작품에서 사용된 색채의 의미와 종류를 살펴보았다. 또한 여백에 의한 공간 표현에 대해 연구함으로써 여백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본인의 작품에서 여백의 역할이 본인과 감상자의 소통의 장이자 상징놀이의 공간임을 논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인의 작품을 5가지의 분류-A. 여행, B. 심리적 현실로의 초대, C. 나랑 놀아줘, D. ‘나’의 투영, E. 상상의 공간-로 나누어 분석하여 앞서 연구하였던 이론적 배경, 표현내용, 표현방법의 연구결과가 작품에 반영되어 본인의 조형언어로 나타남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본인의 그간 작업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 본인이 대상과 세상을 대하는 태도를 탐구하여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창작활동에 있어 나아갈 길을 모색하고 도움을 받는 계기가 되고자 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2 Ⅱ. 이론적 배경 = 3 A. 상징놀이 = 3 1. 상징놀이의 개념 = 4 2. 상징놀이의 특징 = 5 3. 연령에 따른 상징놀이의 발달 = 7 B. 상징 = 8 1. 상징의 개념 = 9 2. 상징의 유형 = 10 3. 예술과 상징 = 11 C. 한국 문화에 나타난 동물상징 = 12 1. 유물에 나타난 동물상징 = 13 2. 십이지에 나타난 동물상징 = 16 3. 민화에서 나타난 동물상징 = 20 Ⅲ. 표현내용 = 24 A. 상징놀이의 대상 선택 = 24 1. 한국에서의 돼지의 상징성 = 26 2. 새로운 상징으로서의 돼지 = 28 B. 상징놀이를 통한 유년기로의 회귀 = 29 Ⅳ. 표현방법 = 33 A. 표현기법 = 33 B. 조형적 방법연구 = 35 1. 색채분석 = 35 2. 여백을 이용한 공간표현 = 43 Ⅴ. 작품분석 = 46 A. 여행 = 46 B. 심리적 현실로의 초대 = 50 C. 나랑 놀아줘 = 53 D. ‘나’의 투영 = 57 E. 상상의 공간 = 60 Ⅵ. 결론 = 63 참고문헌 = 65 ABSTRACT = 6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69841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59-
dc.title상징놀이의 시각적 표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Visual Expression of Symbolic Play-
dc.creator.othernameRyu, Hyi Ju-
dc.format.pageⅷ, 6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학부한국화전공-
dc.date.awarded200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