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3 Download: 0

문양을 활용한 일러스트레이션의 표현연구

Title
문양을 활용한 일러스트레이션의 표현연구
Other Titles
Inquiry of Modes of the Expression Utilizing Munyang Motifs in Illustration
Authors
신지은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정보디자인과
Keywords
문양일러스트레이션IllustrationMunyang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오늘날과 같은 매스커뮤니케이션 시대에서 일러스트레이터는 감각적 자극에 민감한 대중에게 다양하고 독특한 표현방법으로 전달하고자 하는 많은 이미지나 의미를 표현해야 한다. 특히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은 최근에 와서 표현의 영역이 자유롭고 넓어져서 신선하고 개성 있는 작품이 부쩍 많아졌다. 본 논문에서는 본인의 관심분야인 문양과 패턴을 동화일러스트레이션에 활용하여 독창적인 일러스트레이션의 영역을 구축해보고자 한다. 따라서 문양과 패턴을 활용한 일러스트레이션의 표현에 대해 논하기 위하여, 앞서 총체적으로 문양의 정의와 발생과 기원, 즉 문양의 역사에 대해서 조사해보고 특히 본 논문의 작품에 활용되는 조선시대의 문양의 특징과 그것이 상징하는 의미에 대해서 더 자세히 조사해보고자 한다. 인류문화발달의 역사를 더듬어 볼 때 문양은 인류문화의 발전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지대한 공헌을 해왔다. 문양은 의사를 전달하는 언어이며 문자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인류가 그 동안 이루어 놓은 회화, 조각, 공예, 서예 등 모든 조형미술의 원천이 되었기 때문이다. 문양에서는 그 민족의 문화적 실체가 가장 뚜렷하게 반영되고 또한 그 민족의 집단적인 가치감정이 잘 드러난다. 본 논문에서는 특히 작품제작에 활용되는 한국전통문양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해보기로 한다. 한국전통문양을 크게 자연적 문양과 기하학적 문양으로 나누어 문양의 소재와 의미에 따라서 분류하여 조사해본 결과 우리 나라 문양은 주로 자연현상(自然現象)이나 길상벽사, 다산기자(多産祈子), 수복장수(壽福長壽), 공명출세(功名出世), 부귀유여(富貴有餘), 부부화합(夫婦和合), 가내평안(家內平安)을 상징하는 것이 많아 한민족의 인간과 자연에 대한 순응과 조화를 가장 중히 여기는 자연주의 사상과 유교적 인생관을 잘 알 수 있다. 또한 간과할 수 없는 아름다움이 있다. 조선시대의 우리 서민생활의 필수품으로 의복 등을 짓고 남은 조각천 폐품을 이용하여 만든, 이른바 재활용품이라고 할 수 있는 '조각보'의 아름답고 다채로운 추상무늬, 또는 기하학적 무늬들은 언뜻 별 의미가 없이 단지 장식적인 요소로 생각되기 쉽지만 그 무늬 하나하나가 고대 이래 우리 민족의 혼이 담긴 애절한 염원이 깃들여 있음을 느낄 수 있다. 본인은 이 시점에서 그렇다면 문양과 패턴은 그림에 활용되었을 때 어떤 효과를 줄 수 있을지 조사, 연구해보았다. 그 결과 문양은 크게 두 가지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문양을 그림에 활용함으로써 내용적으로나 조형적으로 우리의 시각을 즐겁게 해준다. 그림에서 활용되는 문양의 내용적인 측면을 보자면 첫째, 문양에는 상징성이 있다. 문양을 그림에 활용함으로써 보는 사람은 그 그림의 문화적 배경이나 작가가 나타내고 싶어하는 바가 무엇인지 문양에 의해 암시되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예를 들어 우리는 아메리카 인디언인 나바호족의 기하학적인 형태와 추상적이고 양식화된 동물, 신화적인 동물문양을 볼 때 글을 따로 읽지 않아도 인디언문화에서 유래된 것이라는 것을, 원색적이고 원시적이고 투박하며 단순화된 아프리카문양을 보며 아프리카의 문화에서 유래된 것이라는 것을 쉽게 짐작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문양에 대하여 조금만 더 깊이 연구해보면 각각의 문양에는 저마다 다른 의미가 부여되어 있다는 것을 알게된다. 둘째, 문양에는 장식성이 있다. 원시시대에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문양의 중요한 역할은 무엇을 아름답게 꾸민다는 즐거움 그 자체이고 그러므로 문양의 역할은 한마디로 '장식'이라고도 표현할 수 있겠다. 따라서 문양이 그림에 활용됨으로써 그 그림의 예술적 가치와 기존의 아름다움을 더욱 풍부하게 한다. 문양의 조형적인 측면을 보자면, 문양의 반복에서 비롯되는 형태인 패턴의 형식에서 시지각적인 현상이 두드러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에서 활용되는 문양의 시각특성을 보면 첫째, 패턴에서 질감을 느낄 수 있다. 패턴을 그림에 활용함으로써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더라도 눈으로 보아서 촉각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시각적 질감을 느끼게 하고, 이는 만져보고 싶은 호기심과 흥미를 유발시켜 관람자의 시선을 지속적으로 붙잡는 요인이 된다. 둘째, 패턴에서 율동감을 느낄 수 있다. 문양을 반복적으로 또는 점증적으로 사용하여 만들어진 패턴에서 율동적인 느낌을 주어 이것이 시각에 집중되었을 때 유쾌한 반응과 생동감을 증진시켜준다. 셋째, 패턴에서 통일성을 느끼게 한다. 패턴은 흔히 예술가들에게 시각적 통일의 방법으로 사용된다. 서로 다른 문양이 밀착되어 있거나 근접하여 응집되어 있음으로써 상이한 형태이더라도 하나의 단위로 자각되어 통일성을 느낄 수 있는가 하면 동일한 요소나 유사한 요소를 반복적으로 이용하여 시각적 통일성을 줄 수 있다. 그림에 통일성을 줌으로써 여러 요소들을 모순되지 않게 관계지어 하나의 전체로 결합할 수 있고 시각적으로 대립과 긴장을 풀게 한다. 여기서 간과하지 말아야 할 것은 조형적 측면에서 볼 때 통일성과 생생한 다양성이 함께 존재해야 이상적인 시각적 효과를 낼 수 있다는 것이다. 넷째, 패턴을 활용함으로써 그림에 강조의 효과를 느끼게 할 수 있다. 패턴을 활용하여 주가 되는 것을 강하게 표현함으로써 단조로움을 벗어나 전달내용의 주체와 핵심을 확인하고 유도하여 미의 상승효과를 가져오게 한다. 이러한 특성을 가진 문양과 패턴을 이론적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한국 전통 문양을 활용한 그림동화 '엄마, 우리랑 놀아요'의 작품제작에 임하였다. 작품표현에서는 각각의 장면에 역사적으로 고증된 우리 전통문양을 다양하게 활용하고 동시에 조형적으로도 패턴이 시각적 효과를 주는 과정을 보여주고자 한다. 또한 본인이 직접 간결한 글을 쓰고 그림을 그리는 픽처북 형식의 동화책을 제작하면서 하나하나의 화면의 구성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관람자의 흥미를 끌기 위해 지루하지 않도록 자연스러운 강약의 흐름을 잃지 않고 편집하는데 주력했다. 문양은 그저 자신이 장식하는 사물에 대해서 종속적인 것뿐이라는 장식성으로서의 가치만 있는 것이 아니다. 문양은 작가의 미의식과 감정, 가치관까지 반영하며 작품의 미적 가치를 높이고 작가의 다양한 시지각적 표현 욕구에 부응할 수 있으므로 인간의 문화와 예술에 대한 창조적 욕구가 계속되는 한 문양을 활용한 시각표현연구도 계속 발전하게 될 것이다.;For the audience accustomed to increasingly stimulating sensorial manifestations in today' s mass communication media, the illustrators are now challenged to employ variety of unique modes of expressions in order to communicate many different kinds of images and their meanings. Especially in the field of children' s book illustration, we have witnessed the expansion of the boundaries in terms of its pictorial expression with an unprecedented degree of freedom, so much so that one can easily come across with very fresh and unique examples. It is my intention to establish my own way of constructing pictorial languages of illustration by applying my area of special interest, namely, the art motifs (munyang) and the repetitive pattern, to children' s book illustration. Thus, in order to discuss the various modes of expressions in illustration that utilizes the motifs and pattern, what must be initially considered are a comprehensive overview of the origin of the motifs and its definition, the history of the motifs, and then followed by closer examin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tifs from Chosun Dynasty and their symbolic meanings as they pertain to this thesis. When considering the history of civilization, it is very apparent that the motifs have contributed a great deal to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e of all mankind in direct and indirect ways. For the motif have not only served as a language capable of functioning as letters and communicating messages, but also as the basis of many plastic art forms, from calligraphy to painting, sculpture, and craft. The motifs clearly reflect the essence of the represented culture and ethnicity, and also reveal the collective psyche and values of the ethnic group. The thesis shall focus on the traditional motifs of Korea in relation to my use of them in the accompanied illustrations. Treating the naturalistic motifs and geometric motifs as the two major aspects of the traditional Korean motifs, one can divide them further according to their subject matter and meaning. Some of the most commonly found subjects are representations of natural phenomena and symbols of auspice and warding off evil spirit, fertility and wishing for male descendants, fortune and longevity, fame and societal success, wealth and relaxation, harmony of couples, and familial peace. These represent Koreans' naturalistic and Confucian view of the world, that which places highest importance on subordination of mankind to the nature and harmony of the two. What one must not overlook is the sheer beauty in the use of the motifs. Consider the beautiful and colorful abstract and, sometimes, geometric, patterns of the patchwork made out of left over, or 'recycled' fabrics by countless anonymous women of Chosun Dynasty. These patterns may merely seem to be decorative elements without much meaning, but on closer look one can sense the affection, devotion and yearning imbedded in them. At this point, I began to question and investigate the effect of use of the motifs and pattern as pictorial elements. The result is that the motifs have two significant functions when used as pictorial elements: the motifs brings us heightened awareness of seeing and the pleasure deriving from it in terms of both content and form. The foremost aspect of content of the motifs as used in a picture is the symbolic. The beholder can sense the artist' s intention or the cultural background of the picture through what is suggested by the motifs. For example, when we look at the geometric forms and abstract and stylized, mythological animal forms, we can sense the heritage of American Indian Navajo culture without having to read the accompanying text. Likewise, when faced with colorful, primitive, extremely simplified and at times crude motifs, we can easily sense the African sensitivity. Upon further investigation, one learns that each motif has been assigned its own meaning, different from one another. Secondly, the motif encompasses the element of decoration. From the prehistoric period up to now, the most important function of the motif and its repetitive pattern has been to make something look more beautiful, and therefore, it is probably safe to say that their function can be said in the single word: decoration. Thus, the active utilization of the motifs enriches the artistic property and beauty of the picture. Considering the formal aspect of the motifs and the repetitive patterns, the viewer senses the heightened phenomenon of visual-cognition.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the motifs used in pictures are as following. First, one can sense the texture of the pattern. This use of pattern causes the viewer to sense this non-existent but illusionary sense of texture, and further arouses in the viewer curiosity and desire to touch, thereby sustaining their gaze and attention. Secondly, the pattern generates sense of the rhythm. When the motif is incrementally used or aggregated to form a pattern, it produces a sense of rhythm that gives our visual-cognitive faculty a strong feeling of activity and pleasurable response. Thirdly, the pattern generates the sense of unity. It is no coincidence that many artists use pattern as a means of unifying pictorial means for a visual end. Different units, when placed next to one another tightly, or close to one another in groups, can be sensed as one motif and produce the sense of unity, just as same or similar motifs, through repetition, can produce the feeling of homogeneity. The significance of such unity lies in that various disparate elements are not in conflict but form complementary relationships, and thereby forming a larger whole, relaxing the visual conflict and tension. It is crucial to notice that ideal visual effect requires coexistence of sense of unity and variety of elements and forms imbued with liveliness. Lastly, the use of pattern can accentuate the overall impression of the picture. Strengthening the main components of the image by means of pattern can be an effective way to move away from sense of mundane and monotony, and also to identify the core subject of the message, adding another dimension of beauty to the work. The main component of this thesis involves the children' s illustrated story 'Mom, Play With U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tifs and patterns discussed above as its theoretical basis. In terms of making the pictures, each image incorporates a variety of our traditional motifs that have been assigned their proper cultural and historical reference and relevance. I have intended to show the process of pattern yielding to visual effect. As a children' s illustrated book with succinct and easily readable story lines and images by myself, it is my intention to maintain the interest of the readers throughout the whole book, with emphasis not only on each individual image but also on the deliberation of the overall flow of story. The meaning of the motif lies not in its merely decorative quality as it subordinates itself to the object it represents. Rather, the motif reflects the consciousness, emotion, and even moral of the artist. It is capable of elevating the artistic value of a given work and rising to the expectation and desire of the artist to express in diverse visual/cognitive terms. It is precisely this potential that allows us to state: as long as our artistic and creative will proliferates, investigation of visual expression utilizing the motifs and patterns will also continue to be develop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