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신윤영-
dc.creator신윤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12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12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2946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36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462-
dc.description.abstractIn modern society, things to be preserved and developed are being alienated without our notice. However, under the recognition 'Korean things are world things', people are moving to regain the beauty of our traditional culture, which is disappearing. Our nation has been conforming to the natural order and growing aesthetic concept and emotion as part of the great nature, rather than dominating nature. Cultural modes of our nation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background of each age, which were noble and splendid, but Korean beauty of purity and originality are simple and popularized. Each nation and country has been making patterns as the expression of its own aesthetic concept. Patterns are limited to decoration, and they were symbolized as the way of aesthetic or religious expression before letters started to be used. Ranging from crockery of the primitive times to pots, stationery, dressers, clothes and architecture, variously expressed. Compared to other patterns, however, cloud patterns hardly had attention, and I think it is necessary for us to examine the symbolism and features of cloud patterns and to express them in a modeling sense. Hereby, this study has a purpose to understand Koreans' modeling character of clouds and to express it into a creative work of a new form by applying visual patterns and images with cloud patterns as a motive. When it comes to creating work, I used coiling, modeling and press molding using a plaster frame, and for clay, I used stone clay and Sanbaek clay, which are easy to form. For glaze, I used black glaze and laku glaze to express simplicity and controlled beauty of patterns, and sprayed glossing glaze to express emotions and mystery of clouds. For burning, I did the first burning at 890 ℃ in 0.5 ㎥ kiln for 8 hours, the second burning for 〈work 1,2,4,5,7,8,9〉 at 1250 ℃ in in 0.5 ㎥ for 8 hours and the third for 〈work 2, 10〉 at 1255 ℃ in 0.5 ㎥ for 9 hours. For 〈Work 3,6〉, I used laku technique, which first burn at 1010 ℃ and make patterns in sawdust. In this study, I found that patterns are an symbolic subject through close relation between nature and human life, and creating concept in modernizing traditional patterns have different expression methods according to time and civilization. Also I could try new expression through cubic expression of cloud patterns. Also, features in cloud patterns are formed as Koreans' unique art genre, applied to modern art senses. Through modeling work of cloud patterns, I expect more in-depth modeling expression in modeling work for traditional patterns will be made.;현대 사회에는 보존하고 발전시켜야 할 아름다운 우리 것들이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점점 소외되어 가고 있다. 하지만 최근들어 '한국적인 것이 세계적이다'라는 인식 아래 사라져가는 우리의 전통문화의 아름다움을 되찾고자 하는 움직임이 시도되고 있다. 우리 민족은 예로부터 자연을 지배하기 보다는 대자연의 한 요소로써 자연의 질서에 순응하고 숭배하려는 고유의 미의식과 정서를 길러왔다. 시대적인 배경에 따라 때로는 귀족적이고 화려한 문화 양식을 꽃피우기도 했지만 그 저변에 깔려있는 순수하고도 고유한 한국의 미는 소박하고 대중적이며 서민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각 나라와 민족은 그들의 고유의 미의식적인 표현으로 문양을 형성하여왔다. 문양은 단순한 장식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인류가 문자를 사용하기 이전에 이미 생활속에서 하나의 종교적 또는 심미적인 표현방법으로 상징화되었던 것이며 원시시대의 즐문토기나 고대벽화로부터 시작하여 항아리, 문방구, 장롱, 의상, 건축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표현되어 왔다. 하지만 기타 문양들에 비하여 볼 때 구름문양은 다른 문양의 배경문양으로 쓰인 이유로 주목된 바가 희박하다고 생각되기에 구름문양의 상징성과 특징을 고찰해보고 조형적으로 표현해 볼 필요가 있다는 인식을 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의 조형의식에서 비롯된 한국의 전통문양의 특징을 살펴보고 한국전통문양의 하나인 문양의 상징성 및 특징을 알아봄으로써 이론적 배경의 근거를 삼았다. 또한, 한국인의 구름에 대한 조형성을 이해하고 도자예술을 통하여 자연의 한 요소로써 상징적 의미를 지닌 구름문양을 모티브로하여 눈에 보여지는 문양과 내면세계에서 느낄 수 있는 이미지를 결합시켜 새로운 형태로 변형하여 참조적인 도자 조형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작품제작에 있어서는 형태에 따라 코일링 기법과 모델링 기법, 석고틀을 이용한 압축성형 기법 등을 사용하였고 태토는 성형이 자유로운 석기질 점토와 산백토를 사용하였다. 유약은 문양에서 느껴지는 단순미와 절제미를 표현하기 위해 혹유와 라쿠유약을 사용하였고 구름에서 느껴지는 서정성과 신비로움을 표현하기 위해 무광택유를 분무시유 해주었다. 소성은 0.5㎥가마에서 890℃를 최고온도로 8시간동안 1차소성한 후, 2차소성은 0.5㎥가마에서 <작품 1, 2, 4, 5, 7, 8, 9>은 1250℃까지 8시간동안 산화염소성을 해주었고 <작품 2, 10>은 0.5㎥ 가마에서 1255℃까지 9시간동안 환원염 소성을 해주었다. <작품 3, 6>은 1010℃까지 소성한후 톱밥속에서 연을 먹이는 라쿠기법으로 소성하였다. 이와같은 연구에서 문양은 한국인의 전통 미의식에서 비롯된 상징적 대상임을 알 수 있었고, 전통적인 문양을 현대화함에 있어서 창작이념은 시대와 문명에 따라 각기 다른 표현방법을 가지게 되며 구름이라는 전통적 모티브를 흙이란 매체로 조형화 함에 있어 단순히 모방하지 않고 속에 내재된 미적 가치를 표현하였다. 또한 세계 속의 한국을 알리는 오늘의 시점에서 전통 구름문양에 나타난 특징들을 현대적인 예술감각에 접목시켜 한국고유의 독특한 도자 예술장르로 성립시켰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구름문양의 조형화 작업을 통해 전통 문양의 조형화 작업에 있어 더욱 깊이 있는 조형표현이 이루어질 것을 후대에 기대해본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ⅸ Ⅰ. 서론 = 1 A. 연구의 동기 및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2 Ⅱ. 한국 전통과 조형예술 = 3 A. 한국의 조형의식 = 3 B. 한국 전통문양의 특징 = 5 C. 한국 전통문양의 현대화 = 7 Ⅲ. 구름문양의 일반적 고찰 = 9 A. 구름문양의 상징성 = 9 B. 용도에 따른 구름문양의 특징 = 10 C. 구름문양의 종류와 특징 = 18 Ⅳ. 구름의 이미지를 표현한 조형성 연구 = 25 Ⅴ. 작품제작 및 해석 = 35 A. 조형과정 = 35 B. 작품제작 과정 = 48 C. 작품해석 = 53 Ⅵ. 결론 = 73 참고문헌 = 75 ABSTRACT = 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97701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한국 전통-
dc.subject구름문양-
dc.subject도자조형-
dc.subjectcloud shape-
dc.title한국 전통 구름문양을 응용한 도자조형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pottery modeling applying Korean traditional cloud shape-
dc.format.pagexi, 7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도예과-
dc.date.awarded200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