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8 Download: 0

학습자 성격의 외향성 수준, 자기효능감 및 몰입수준에 의한 온라인 학습 참여도, 만족도, 성취도 예측

Title
학습자 성격의 외향성 수준, 자기효능감 및 몰입수준에 의한 온라인 학습 참여도, 만족도, 성취도 예측
Other Titles
Levels of Extraversion, Self-Efficacy, and Flow as Predictors of Participation,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in an Online Course
Authors
조형진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공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인터넷의 보급, 확산과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은 학습자들이 시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특정 학습 내용이나 기술을 각자의 능력과 특성에 맞게 학습할 수 있는 온라인 학습 환경을 조성하였다. 온라인 학습이 확산되어 감에 따라, 어떠한 특성을 지닌 학습자가 온라인 학습 환경에 잘 적응하여 성공적인 학습을 수행해 나갈 수 있는지에 대한, 학습자 특성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학습자 특성, 그중에서 학습자 성격의 외향성 수준은 전통적인 교실 교육뿐만 아니라 온라인 학습에도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이러한 성격적 특성을 반영한 온라인 학습 환경을 제시해 줄 필요가 있다. 이러한 성격 변인과 더불어 학습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자신의 능력에 대해 스스로 가지는 자신감, 즉 자기효능감은 학습의 결과인 성취도와의 관련성에 대해 많이 연구되어져 왔다. 그 결과, 자기효능감과 전통적인 교실수업에서의 성취도 사이에 이미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입증된 바 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도 검증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필요에 의해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의 자기 효능감과 학습 결과 변인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앞서 제시한 학습자 성격의 외향성 수준과 자기효능감은 또한,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 상호 협력적인 학습활동과 관련된 심리현상인 몰입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학습자 특성 변인은 학습과정에서 몰입을 촉진시켜주게 되고, 온라인 학습 공간에서 몰입 경험은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학습활동을 유도하여 학습을 하는 동안 협력과 참여 등 학습에 대한 욕구를 높인다. 하지만 학습자 특성과 몰입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으로 이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학습과정의 몰입상태에서는 최고 수행이 가능하게 되는데, 최고 수행이란 최고의 성취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교육에서 최고 수준의 학업성취가 가능한 상태를 말한다. 몰입상태에서의 성취, 즉 학습에서의 성공적인 학업 성취 여부는 학습자의 참여도, 만족도, 성취도를 통해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 성격의 외향성 수준과 자기효능감, 그리고 온라인 학습에의 몰입수준이 온라인 학습 참여도, 만족도, 성취도를 예측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규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 특성변인(학습자 성격의 외향성 수준, 자기효능감)이 온라인 학습 몰입수준을 예측하는가? 둘째, 학습자 특성변인(학습자 성격의 외향성 수준, 자기효능감)과 온라인 학습 몰입수준이 온라인 학습 결과(참여도, 만족도, 성취도)를 예측하는가?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서울 소재 E 대학교의 온라인학습을 수강하는 학생 56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수업 첫 주에 학습자 성격의 외향성 수준과 자기효능감을 측정했고, 2주간 온라인 학습 환경을 처치한 후 1차 몰입수준을 측정하였으며, 다시 2주간의 온라인 학습 환경 처치 후 2차 몰입수준을 측정하였다. 이후 2주간의 온라인 학습 환경이 제시되었고, 그 후 3차 몰입수준 측정과 만족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마지막 주인 8주차에 지필고사를 통해 성취도를 측정하였으며, 8주간 학습자들이 게시판을 통해 게시한 내용을 의미단위로 메시지 분석하여 참여도를 측정하였다. 분석에서는 몰입수준 하위 요인을 3회 측정한 결과의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몰입수준에 대한 요인 분석 결과 2개의 요인이 추출되었고, 이를 감성적 몰입과 인지적 몰입으로 명명하였다. 학습자 성격의 외향성 수준, 자기효능감, 온라인 학습 몰입수준, 참여도, 만족도, 성취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학습자 성격의 외향성 수준은 감성적 몰입(r=.354, p<.01)과, 자기효능감은 온라인 학습 결과인 참여도(r=.278, p<.05)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학습자 성격의 외향성 수준은 인지적 몰입, 참여도, 만족도, 성취도와 유의미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효능감은 감성적 몰입, 만족도, 성취도와 유의미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몰입수준은 온라인 학습 만족도(r=.558, p<.01)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몰입의 하위요인인 감성적 몰입(r=.514, p<.01), 인지적 몰입(r=.445, p<.01)과도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러나 몰입수준과 온라인 학습의 참여도, 성취도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상관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변인 간의 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 특성변인(학습자 성격의 외향성 수준, 자기효능감)의 온라인 학습 몰입수준(감성적 몰입, 인지적 몰입) 예측 여부를 살펴본 결과, 학습자 성격의 외향성 수준(β=.380)만이 감성적 몰입을 예측하는 유의미한 변인으로 밝혀졌다. 둘째, 학습자 특성변인(학습자 성격의 외향성 수준, 자기효능감), 온라인 학습 몰입수준(감성적 몰입, 인지적 몰입)의 온라인 학습 결과(참여도, 만족도, 성취도) 예측 여부를 살펴본 결과, 감성적 몰입(β=.577)과 인지적 몰입(β=.477)이 온라인 학습 만족도를 예측하는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효과적인 온라인 학습을 위해 학습 설계 시 학습자의 성격적 특성과 자기효능감의 수준, 학습자들이 온라인 학습에 감성적, 인지적 몰입 수준을 높일 수 있는 요소가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 성격의 외향성 수준과 자기효능감, 그리고 온라인 학습에의 몰입수준이 온라인 학습 참여도, 만족도, 성취도를 예측하는지를 규명함으로써, 학습자의 특성에 따라 어떠한 교수적 처방을 해야 몰입수준을 높일 수 있고, 효과적인 학습이 일어나는지에 대한 수업지원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The spread of Internet and development of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has formed on-line learning environment where a learner can study according to individual capacity and characteristics with specific subject or technology and without limitation of time and space. As on-line course has spread, a study on which learner can lead successful on-line course is needed. In other words, it is related to characteristics of a learner. Among them, the extroversion level of a learner can affect not only traditional class education but also on-line education, so on-line course environment reflecting these characteristics should be presented. With those characteristics variable, many studies regarding to a sense of confidence, self-efficacy, has been done to figure out 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accomplishment which is a result of learning. From that, the 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in traditional class has already shown positive correlation. Therefore,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accomplishment in on-line course environments needed to be proven. Characteristics extroversion and self-efficacy levels of a learner which are presented above can influence on a psychological phenomenon which is the flow related to positive participation and mutual cooperation of a learner. These characteristics variables of a learner promote the flow during learning, and experience of the flow increases a desire for learning such as cooperation and participation by inducing positive and active learning activities. However, study on characteristics and flows of learners have not been done enough, so further study on this filed is needed. Such concentrated conditions allow learners to carry out the optimal performance meaning that the highest achievement level. The highest achievement level stands for the condition possible to obtain the highest scholastic performance. Achievement in the concentrated condition which is also possibility of successful scholastic achievement can be analyzed through levels of participation,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Therefore, this study will inquire into whether levels of personality, self-efficacy, and flow of a learner on-line predict levels of participation,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on-line. Specific issues for such study objective are as bellows: 1. Can characteristics variables of a learner (the level of extroversion and self-efficacy) predict the level of on-line course flow? 2. Do characteristics variables of a learner (the level of extroversion and self-efficacy) and the level of on-line course flow predict results of on-line course (participation,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To figure out these problems, 56 students taking the on-line course of the E university located in Seoul were chosen as samples. At the first class week, personality and self-efficacy tests were taken on students, and the first flow level test was carried out after 2-week on-line learning. And then, the second concentration level test was carried out after another 2-week on-line course. Since then, on-line course for 2 weeks was presented. After 2 weeks, the third flow and satisfaction level tests were carried out. Week 8, the last week, achievement levels of students were measured through the paper test. In addition, materials on the on-line board written by learners were used to analyze the participation level by classifying into each meaning unit. The mean value averaged by 3 measurements of concentration level was used in the analysis.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2 factors were extracted after analyzing factors related to the flow level, and these two factored were named as emotional flow and recognition flow. As a result of examining relations among personality (the level of extroversion), self-efficacy, flow,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of a learner, the level of extroversion of a learner has static correlation with emotional flow (r=.354, p<.01), and self-efficacy has static correlation with participation which is a result of on-line course (r=.278, p<.05). However, the extroversion level of a learner was proved not to significantly correlated to recognition flow, participation,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and self-efficacy also did not show significant correlation to emotional flow,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On the other hand, the concentration level showed the static correlation with on-line flow satisfaction(r=.558, p<.01), and it also showed static correlation with emotional flow which is a sub-factor of concentration (r=.558, p<.01) and recognition flow (r=.445, p<.01). However, th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articipation or achievement and the concentration level was not found. On these correlation analyses,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closely examine relations between variables, an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fter inquiring into whether personality of a learner (extroversion and self-efficacy levels) predicts the on-line course flow level (emotion and recognition levels), only extroversion level (β=.380) was a significant variable predicting emotion flow. Second, after inquiring into whether characteristics variables and the on-line course flow level (emotional concentration/recognition flow) of a learner predicts on-line learning results (participation, satisfaction, achievement), the emotional flow (β=.577) and the recognition flow(β=.477)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variables predicting on-line course satisfac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some factors to increase characteristics, self-efficacy levels, and emotional/recognitive flows of on-line learners should be considered when designing on-line learning courses in order to maximize effect of on-line This study would like to give a help for providing appropriate teaching methods to students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in order to promote the flow level and lead efficient learning by examining whether extroversion, self-efficacy, and flow levels of a learner predict participation,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of on-line courses.
Description
☞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