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4 Download: 0

중등교사의 직무연수 요구 분석

Title
중등교사의 직무연수 요구 분석
Other Titles
(the) analysis of the middle school teachers' in-service education
Authors
최종녀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Keywords
중등교사직무연수요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dissertation is to study secondary school teachers' satisfaction with job training, the administrational problem of it and the contents of it required by teachers. This thesis also aims to suggest remedies to improve the problems of it. The research method hired in this study is questionnaire. The teachers who responded are from 10 secondary schools in Kyung-gi Province. 260 among 274 questionaries distributed to those teachers (91.3% of withdrawal rate) are used effectively. The statistical management in this study includes the frequency analysis and X^(2) (Chi-Square) inspection using SPSS Program for Window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the following. First, the most important motives for the teachers to participate in a job training are the enhancement of their specialties on teaching profession, self-realizations as educators, and supplementary to preceeding education. However, the motives to raise personnel and training grades, or to obtain the skill for school management are quite low. Second, teachers are generally satisfied with both the enforcement time and the numbers of classes of job training. But, they are not satisfied with the considerations paid to the trainees' preceeding study, methods to value their scholastic standing, and the preliminary publicity of it. Third, the causes for the limited participation in job training are found to be excessive duty, insufficient time, economic burden, scarcity of specialized publication and information, and little chance of training. Forth, the contends of the training are required to include the process of consultation, the professional knowledge on the subject in charge, and the methods of training. However, the requirements for general education, administrative skill, educational policy and pedagogy are found to be relatively low. Fifth, the instructors of job training are proved to be providing the trainees with an easy and systematic lectures. Sixth, the teachers with accumulated field experience and experts from each field are proved to have high educational effects as instructors. Meanwhile, the educational effects of college professors and school inspectors are evaluated low. Seventh, in the respect of evaluation methods, general evaluations combining the paper-and-pen examination, report and attendance are preferred to respective evaluations of essay, report or paper-and-pen examination. Eighth, the five remedies of job training are required to be improved. Among them, the financial support and the enhancement of remote training are mostly desired to be improved, to develop the training program according to subjects and regions. Ninth, the recent interest in cyber training is found to be increasing, but not yet generalized. The increasing participations in cyber training mostly depend on the reduction of burden rather than the possibility of self-regulation of it. Moreover, teachers who have responded they have never experienced cyber training ascribe the reason to the lack of publicity, unfamiliar training method, and low educational effect of it.;본 연구는 직무연수에 대한 중등교사의 만족도와 운영상의 문제점 및 교사들이 절실히 요구하는 연수내용을 조사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설문지법에 의한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경기도 내 중·고등학교 각각 5개교씩 10개 학교의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배포된 설문지 274부(회수율 91.3%) 중 260부를 유효자료로 사용하였다. 통계 처리는 WINDOWS용 SPSS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과 X^(2)(Chi-Square) 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연수에 참여하는 교사들은 교직에 대한 전문성 향상을 가장 주된 연수 참여 동기라고 밝혔으며, 이와 더불어 교육자로서의 자아실현과 직전교육의 보충을 위해서 연수에 참여하는 동기가 높았지만 인사 및 연수평점을 높이거나 학교실무에 관한 관리기술을 습득하는 데에는 연수참여 동기의 비중을 적게 두고 있었다. 둘째, 직무연수 만족도에서 실시 시기, 연수 시간 수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만족하고 있었으나 연수생의 선행학습 고려 정도, 성적 평가방법 및 사전홍보 측면은 불만족을 나타내고 있었다. 셋째, 직무연수 참여를 제한하는 원인은 과중한 업무와 시간 부족, 경제적 부담, 전문도서나 정보의 부족, 연수 기회의 부족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무연수 내용으로는 상담과정, 담당교과의 전문지식 그리고 교수방법은 매우 필요하지만 일반교양, 행정 기술, 교육 정책 그리고 교육학은 비교적 필요성이 낮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다섯째, 연수 담당강사의 강의 진행과 관련해서는 연수 담당강사들이 이해하기 쉽게 내용을 전달하고 체계적으로 강의를 진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연수 담당강사와 관련한 교육효과 면에서는 현장경험이 축적된 교사와 각 분야 전문가의 교육효과가 높다고 밝힌 반면, 대학교수와 장학직의 교육효과는 비교적 낮게 평가하고 있었다. 일곱째, 평가방법 면에서는 논문이나 리포트 평가 그리고 지필 평가보다는 지필 검사, 리포트, 출석 등을 종합한 평가를 선호하고 있었다. 여덟째, 직무연수의 다섯 가지 개선 방안은 모두 개선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며, 그 중에서 교사들의 요구가 반영된 연수프로그램을 교과별, 지역별로 개선할 수 있도록 연수 경비를 지원하는 방안과 원격연수가 확대되기를 가장 크게 바라고 있었다. 아홉째, 최근 사이버 직무연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보편화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율적으로 연수가 가능하다는 사실보다는 연수 부담감이 경감된다는 장점 때문에 사이버 직무연수에 참가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사이버 직무연수에 참여한 경험이 없다고 응답한 교사들은 홍보 부족, 생소한 연수방법, 낮은 교육효과 등의 세 가지 이유를 유사한 비율로 들고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