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회정-
dc.creator이회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11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11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78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35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788-
dc.description.abstract최근 평생교육은 지속적인 학습사회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있으며 학교평생교육은 기존의 시설을 활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진행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학교평생교육이 바르게 정립되고 실행되기 위해서는 평생교육 담당자들이 어떤 생각을 가지고 평생교육 업무를 담당하고 있으며, 평생교육에 대해 그들이 요구하고 기대하는 바는 무엇이며 평생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을 살피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평생교육이 양적인 팽창에서 질적인 성장으로 발돋움하는 이 시점에, 지금까지 열악한 환경 가운데 평생교육을 묵묵히 수행 해 온 해당학교 교사의 의식을 조사하여 학교평생교육의 발전을 기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전제 하에 학교에서 제공하는 평생교육의 필요성, 학교에서 실시하는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의 기대와 요구, 교사의 입장에서 본 학교평생교육의 문제점, 학교평생교육의 개선방안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조사·분석하고 현재 초·중등학교에서 학부모와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는 평생교육의 발전적 방향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질문지법에 의한 조사 방법을 사용하였고, 사용된 검사도구는 선행연구들에서 활용한 문항들을 분석하여 발췌한 후 수정·보완하여 제작하였다. 설문조사는 2003년 현재 서울특별시교육청 평생교육 시범학교로 지정된 11개 교육청 소재 9개 초등학교와, 중학교 4개 학교, 고등학교 1개 학교로 총 14개 학교의 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이들 중 265명을 조사대상으로 표집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에서 제공하는 평생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교사 변인별로 비교분석한 결과, 학교평생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부장교사나 평교사, 남녀의 성별을 떠나 모두 그 필요성을 크게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학교생활의 경험이 많은 부장교사가 평교사보다도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여교사보다는 남교사가, 참여 경험이 없는 교사보다는 참여 경험이 있는 교사가 학교평생교육의 필요성을 더 느끼고 있었다. 그리고 초등학교와 고등학교 교사가 중학교 교사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교육경력이 6~10년인 교사가 학교에서 제공하는 평생교육의 필요성을 더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에서 실시하는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의 기대와 요구를 교사 변인별로 비교 분석한 결과, 전체교사가 평생교육 프로그램에서 교육내용이 가장 중요하게 반영되기를 원하고 있었으며, 프로그램의 일정과 내용을 결정하는데 있어서는 학교와 학습자의 요구를 고려한 합리적인 결정을 원하고 있었다. 학교평생교육의 강사로는 유명 초청강사 또는 전문가를 필요로 하고 있었으며, 실시 과정과 기간은 2~3개월 과정, 1주일 2회, 평일 오후 시간대를 선호하고 있었다. 학교평생교육의 중요영역으로 취미·오락 및 여가교육을 가장 선호했으며, 건강·보건 및 스포츠교육 그리고 컴퓨터·직업교육의 비중도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입장에서 본 학교평생교육의 문제점에 대하여 교사 변인별로 비교 분석한 결과, 학교평생교육 실시의 문제점으로 남 교사와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교사는 교육비용의 확보와 교육시설의 빈약함, 여교사와 참여 경험이 없는 교사는 교육시설의 빈약함과 교육비용의 확보 순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학교의 인적·물적 자원 활용상의 문제점으로 전체교사와 교육 경력 5년 이하의 교사가 교사의 업무 과중, 6~10년의 교육 경력을 가진 교사는 타 집단의 교사와 달리 예산과 교육재정의 부족이 문제가 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평생교육 학습활동에 있어서 결과·성과중심의 학습지도는 지양되어야 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지역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행·재정지원 정도에 대하여 교사들은 지자체가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있다는 부정적인 인식이 조금 더 많았다. 행·재정 지원이 부족한 이유로 지자체장의 인식과 의지 부족 및 지자체와 연계 체제 및 협력 부족을 들고 있었다. 넷째, 학교평생교육의 개선방안에 대하여 교사 변인별로 비교 분석한 결과, 전체 교사가 인식하는 학교평생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는데 있어서 선행조건으로는 우수한 강사의 확보, 프로그램의 질 확보, 교육시설이 구비되어야 한다고 느끼고 있었으며, 학교평생교육의 평가 방식으로 학습자 중심과 교육내용 중심의 평가방식을 선호하고 있었다. 학교평생교육을 전개하는 데 보완해야 할 것으로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교사와 교육경력이 많은 교사는 수준별 강좌개설이 필요하다고 느끼는 반면 교육경력이 적은 교사는 유아프로그램과 보호시설을 보완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지역사회 평생학습실현을 위한 학교의 바람직한 역할로서 전체 교사의 42.6퍼센트가 학교평생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고 인식하였으며, 수강료 부담에 대해서는 수강자와 교육청 그리고 지방자치단체의 공동 몫으로 생각하는 경향을 보였다. 평생교육 연계체제의 중심기관으로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교사와 여교사는 학교보다는 지역평생교육 정보센터가 중심이 되어야 한다는 것에 긍정적이었다. 학교를 평생학습장으로 활용한다면 바람직한 운영의 주체에 대하여는 남교사의 경우 지방자치단체보다 단위학교가 운영의 주체로 인식하고 있으나 여교사의 경우 단위학교보다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을 더 높게 강조하고 있어 대조적인 차이를 보였다.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교사는 지방 자치단체와 단위학교가 운영주체가 되어야 한다는데 비슷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참여 경험이 없는 교사는 지방자치단체와 단위학교, 지역교육청의 역할을 동시에 강조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볼 때, 학교에서 실시하는 평생교육은 교양적 가치와 실용적 가치를 추구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개설되어야 하며 학교의 교육환경 및 시설이 이를 뒷받침할 수 있어야 한다. 학교의 특성을 살리면서 실생활과 직결되는 프로그램을 개설하고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공공재정지원으로 학교의 교육환경 및 시설을 구축하여 학교평생교육을 내실 있고 지속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학교평생교육에 대한 공급자와 수요자의 의식 개방이 필요하다. 학교평생교육에 적극적이고 실질적인 운영으로 참석률을 높이고 수강자의 만족도를 높여 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 학교 구성원과 지역주민은 학교평생교육의 의의와 가치를 인식하고 공유하여 적극적인 태도로 임해야 한다. 그리고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담당 교사에 대한 특별한 유인체제 및 전문성 향상을 위한 연수기획 제공 등의 지원이 강구되어야 한다. 교사는 평생교육에 대하여 그 중요성을 인식은 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목적의식과 실천 전략의 부족, 그리고 과중한 업무로 인하여 특별한 유인체제가 갖추어지지 않는 한 학교 평생교육의 발전은 어려움을 직면할 수도 있다. 앞으로 다가오는 지식기반사회와 지방화시대에 학교의 교사는 더 이상 학생만을 가르치는 교사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평생교육 전문요원으로 활동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그러므로 교사들은 지역사회와 학부모 교육 그리고 학생들의 평생교육을 위한 전문성과 능력 및 열의를 지녀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하여 교사 양성과정에서의 평생교육 부문의 교과목을 편성하고 현직교사는 연수과정에 평생교육 부문 프로그램을 강화하여 점차 확대해 나갈 필요가 있다.;Lifelong education is recently drawing people's attention in the process of transition to the society of continuous learning, and school education is being conducted in different forms using existing school facilities. In settling and executing school lifelong education in this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at ideas those in charge of lifelong education have in doing their job, what are their expectations and demands, and what teachers perceive as problems with lifelong education. Now when people are turning their eye from the quantitative expansion to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lifelong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consciousness of schoolteachers who have carried out lifelong education in poor environments without complaining. In the background, the present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necessity of lifelong education offered in schools, teachers' expectations and demands related to lifelong education programs executed in schools, problems in school lifelong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teachers and teachers' consciousness for plans to improve school lifelong education, and finding a direction for the desirable development of lifelong education executed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for parents and local residents.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Referring to previous research, the present researcher developed the questionnaire by extracting questions from the precedented studies adapting them for this stud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300 teachers from 9 elementary schools, 4 middle schools and 1 high school, which had been appointed as model schools for lifelong education under the supervision of 11 educational offices of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nd 265 of them were sampled 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teachers' opinions about the necessity of lifelong education offered in schools by teacher variables, both directing and ordinary teachers as well as both male and female teachers appeared to perceive that lifelong education is certainly necessary. Of them, directing teachers with long teaching experiences were aware of the necessity more strongly than ordinary teachers, male teachers than female ones, and teachers with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lifelong education than ones without. In addition, awareness of the necessity was stronger in elementary school ,and high school teachers than in middle school teachers, and in teachers with 6∼10 years' teaching experience than the others.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teachers' expectations and demands for lifelong education programs executed in schools by teacher variables, all teachers wanted lifelong education programs to reflect educational contents in the first place, and in deciding the timetable and contents of programs they wanted rational decisions to be made with the consideration of both the school's demands and learners'. They also required the invitation of distinguished lecturers and experts as teachers for lifelong education, and with regard to time, preferred programs of two or three months and twice a week in the afternoon of weekdays. As for important areas of school lifelong education, they most preferred education related to hobbies, entertainments and spare time activities, but also took high interest in education for health and sports as well as for computer and job.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problems in school lifelong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teachers by teacher variables, male teachers and teachers with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mentioned the funding of educational costs and next poor educational facilities, while female teachers and teachers without experience did poor educational facilities and next the funding of educational costs. As for problems concerning the use of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of the school, all teachers, particularly, those with 5 years' or shorter teaching experience mentioned teachers' excessive workload, while those with 6∼10 years' teaching experience mentioned the shortage of budgets and educational funds. As for problems in learning activities for lifelong education, teachers thought that instructions should not be focused on learners' results or performance. On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s from local governments to activate local lifelong education, a slightly larger number of teachers had a negative view that local governments did not make efforts to support lifelong education With regard to the reasons of insufficient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resources, they mentioned lack of perception and will of local governors as well as poor cooperation between local self-governing bodies and schools. Fourth,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plans to improve school lifelong education by teacher variables, all teachers mentioned competent lecturers, quality programs and educational facilities as essential prerequisites for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nd preferred learner-oriented and educational contents-oriented assessment methods. As for complementary measures to be taken in executing school lifelong education, teachers with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nd those with long teaching experience felt the necessity of classes by level while those with short teaching experience did the necessity of infant programs and infant protection facilities. With regard to the desirable roles of schools in realizing lifelong education at local societies, 42.6% of teachers said that school lifelong education must be provided, and with regard to the payment of tuition fees, teachers tended to think that the payment must be made jointly by learners, the education office and the local government. As for the central organization coordinating efforts for lifelong education, teachers with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nd female teachers thought that the local lifelong education information center rather than the school must play the central role. As for desirable operators in case schools are utilized as lifelong education places, male teachers were aware that each school rather than the local government must be the operator, while female teachers stressed more the role of local government than that of each school. Teachers with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were divided half-and-half between the two opinions, and teachers without experience appeared to stress the role of the local government, each school and the local education office. According to the results as presented above, lifelong education executed in schools must offer programs that pursue cultural values as well as practical values, and be supported by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facilities of the schools. It is necessary to provide substantial lifelong education continuously by opening programs that exploi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chool and are directly linked with real life and improv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facilities with public funds supported by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In addition, education providers and receives must have an open mind. It is necessary to raise the participation rate and participants' satisfaction through active and substantial operation of school lifelong education. For this, school staffs and local residents must share the meaning and value of school lifelong education and take an active attitude toward it. Furthermore, teachers in charge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must be provided with special incentives and opportunities for training to improve their specialty. Although teacher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lifelong education, the development of school lifelong education may reach the limit when they do not have specific goals, practical strategies and motivating incentives and are hindered by excessive workload. In the corning knowledge-based society and the age of localization, the role of teachers in schools is not limited to teaching students any longer but likely to extend to the area of lifelong education. Therefore, teachers must be equipped with specialty, competence and enthusiasm for the lifelong education of the local society and parents as well as students, and for this, subjects of lifelong education must be included in teacher training programs, and the area of life long education must be reinforced in training programs for field teache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학교평생교육의 개념과 목적 = 4 1. 학교평생교육의 개념 = 4 2. 학교평생교육의 필요성 및 목적 = 8 B. 학교평생교육의 역할과 기능 = 11 1. 지역사회학교로서의 역할 = 11 2. 학교평생교육의 현황 및 문제점 = 14 C. 학교평생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역할 = 26 1. 학교평생교육의 교사의 인식 및 학습자와의 연계성 = 26 2. 학교평생교육의 난점과 지자체와의 연계성 = 28 3. 학교평생교육에 관한 선행연구 = 30 Ⅲ. 연구 방법 = 34 A. 조사 대상 = 34 B. 조사도구 = 35 C. 자료의 처리 = 37 Ⅳ. 연구 결과 = 38 A. 학교에서 제공하는 평생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조사 = 38 B. 학교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교사의 기대와 요구 = 41 C. 교사의 입장에서 본 학교평생교육의 문제점 = 62 D. 학교평생교육 개선 방안 = 72 Ⅴ. 결론 및 제언 = 85 A. 요약 및 결론 = 85 B. 제언 = 92 C. 연구의 제한점 = 94 참고문헌 = 95 부록 = 98 ABSTRACT = 10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21594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학교-
dc.subject평생교육-
dc.subject교사-
dc.title학교에서의 평생교육 실시에 대한 교사의 인식 조사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서울특별시 평생교육 시범학교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eachers' perception on the execution of lifelong education in schools : focused on model schools for lifelong education in school-
dc.format.pagex, 11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dc.date.awarded2003.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