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93 Download: 0

한영숙 승무의 춤사위 구조적 특성에 관한 고찰

Title
한영숙 승무의 춤사위 구조적 특성에 관한 고찰
Other Titles
(The) Study 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Han Young-Sook's Seungmoo (Buddhist Dance)
Authors
이정아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체육학부 

무용전공
Keywords
한영숙승무춤사위구조적 특성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무용이란 인간의 신체를 소재로 하여 시간과 공간에 융합되어 이루어지는 표현으로 언어를 초월한 예술이며, 특히 승무는 시간과 공간이 절묘하게 조화를 이루는 진정한 행위 예술의 백미라고 할 수 있다. 승무는 한국전통무용을 총망라하여 정수라고 인정이 될 만큼 춤의 기교와 예술성이 뛰어나며 나아가 한국무용의 기본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바탕과 특징을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우리 춤의 매력을 '한의 예술'이라고 하는 것은 곧 승무에서 표출되어지는 미에서 바로 그 의미를 찾아볼 수 있으며, 한국적 미인 한의 절제를 강조하고 있음을 주시하여야 한다. '승무는 인간 본연의 애정과 낭만의 표현인 동시에 인간의 비회를 높은 차원에서 극복하고 승화시킨 이지적인 춤이라 할 수 있다'라고 인정되고 있으며, 현재는 한국무용의 하나의 큰 맥으로 유지되고 있는 것이다. 승무만 완전히 터득하면 다른 춤은 저절로 출 수 있다는 말이 있다. 승무의 형성과정을 보면 우리 민족의 삶의 몸짓으로부터 그 골격이 세워졌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볼 때 승무는 미적 가치가 높이 평가되는 것에 대한 정밀한 고찰과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승무는 크게 한영숙의 경기·충청 승무와 이매방의 호남 승무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좀 더 여성적이면서 단아하며 우아함을 갖춘 한영숙 승무를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 전통춤인 승무를 구조적 측면에서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승무에 나타남 공간감에 관한 고찰을 시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승무의 기원과 종류, 전승과 음악 등의 유래와 한영숙 승무의 구조를 분석하기 무용미의 구조적 개념을 문헌 연구를 통해 알아보았고, 승무의 기본적인 춤사위들을 구조적 관점의 기준으로 비디오 자료와 논자 본인의 직접 습득을 통해 분석하였다. 춤사위의 구조에 대한 연구는 5과장중 염불과장을 중심으로 몸통, 팔, 발, 시선, 호흡이 보여지는 양상을 통해 무용의 구조미를 살펴볼 것이다. 공간구성을 살펴보는데 있어서 몸통과 시선이 차지하는 공간점유 양상과 공간구도(춤길)를 비교하여 한영숙 승무가 갖고 있는 독특한 특징과 개성에 대해 연구를 하고 내면의 원리(호흡의 움직임)를 연구함으로써 승무의 정·중·동의 표현을 구체적으로 고찰한다. 최종적으로 이 과정들을 거쳐 승무의 미적가치를 체험해 보고 앞으로의 승무에 대한 보존이라는 측면과 창작이라는 측면에서 승무가 갖는 가치성과 예술성을 재해석해 봄으로써 새로운 민족예술의 발전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으로 정리한다. 승무 작품을 연구해 본 결과, 승무는 그 당시 행해지고 있던 여러 춤들에서 영향을 받아 직업적인 무용가의 창작품으로 만들어진 것에 시발점을 두었다. 즉 승무는 무용가의 내적 에너지의 집약과 이완의 작용을 충분히 담아내어 자신만의 독특한 미의식을 춤으로 풀어내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춤가락이 염불, 타령, 굿거리, 법고 등으로 구분되어 있어 형식적이고 가락과 장단의 변화가 다양한 속도감이 있으며 정적인 춤으로부터 동적인 춤동작에 이르기까지 끊임없이 부드러우며 전체적으로 조화를 이루고 있고 춤사위가 맺고 어르고 푸는 리듬의 섬세함과 장삼의 뿌림사위로 인한 미적 특성이 공통으로 나타나는 양상이므로 우리 춤의 대표라 할 수 있다. 그 중에서 한영숙 승무의 특징은 공간영역이 넓고 구성에 있어서 대비를 이루며 기학학적이다. 객석을 향한 몸 방향이 많으며 시선은 대체로 호남 승무보다 상향지향적이며 단순하고 정적이며 수직이라기보다는 수평적인 공간 구도를 그리면 춤사위 또한 우아하고 섬세하며 뿌림선이 크고 현대화된 승무에 가까운 동작으로 구성되어 있다. 유난히 발걸음에선 치마 안에서 얼핏 보이는 버선코를 보여짐의 동작은 여인의 정절함과, 발을 들고 학체를 하는 동작은 장삼에서 그려지는 곡선을 더해 자유와 비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인상적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잔잔하면서도 액센트를 주는 것과 동작의 마무리에서 호흡을 풀어주는 점, 그리고 발끝과 시선이 섬세하게 마무리되어 감칠맛을 자아내는 점 등의 특징이 강하게 표출되는 춤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미적요소인 멋과 태를 고루 갖춘 춤으로 한국적 자태를 엿볼 수 있는 춤사위들로 구성되어져 있으므로 민속무용에 특질을 살펴봄에 있어 한영숙 승무는 충분히 연구대상이 된다고 생각된다. 이와같이 승무의 춤사위 구조에 관한 고찰로 인해 뿌리깊이 한국인의 미의식을 밝히는 것과 동시에 민속춤의 한 특성을 밝혀보고 우리 민속 무용의 사관을 정립하는데 중요한 의의를 부여한다고 할 수 있다. 한영숙의 무용관은 전통무용의 통일점을 발견하고 그 통일점을 토대로 과학적으로 한국전통무용의 원형성을 정립하려고 노력했고, 그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전통무용계승에 대한 형식이론 및 기본 사상을 통일시키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서구적인 행동양식에 밀려 우리고유의 문화의식과 표현양식에 관한 무관심이 점차 가속화 되어 전통의 깊은 뿌리가 흔들리는 지금, 생존해 있는 전통계승자 및 이수자들의 기록들은 귀중한 자료가 됨으로 이 시점에 좀 더 정밀한 승무 춤의 연구를 통해 근원적 미의식을 발견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우리 전통춤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새롭게 전통춤 전통 및 계승을 하는 데 있어서도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다.;Dance, using the human body and converged with time and space, is a form of art that transcends linguistic limitations; Seungmoo, in particular, is a dance that exquisitely harmonizes time and space, therefore can be referred to as the true essence of all performances. Seungmoo is considered to be the marrow of all traditional Korean dances for its outstanding techniques and artistic features, and has the qualifying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to be regarded as the standard for Korean dances. The charm of Korean dances is generally said to be the art of Han(a Korean term for grief). The very art of Han can be found in the presentation of Seuugmoo, and it is necessary to notice that Seungmoo emphasizes the Korean virtue of moderation of Han. Seungmoo is acknowledged as an intellectual dance that manifests the original human affections and romanticism, that at the same time overcomes and sublimates human sorrow and joy at a higher level; currently, Seungmoo is maintained as one of the mainstreams of Korean dances. In this context, it seem necessary to conduct a more precise research on the issue of Seungmoo's highly evaluated aesthetic value. Seungmoo can briefly be categorized into Kyoungki/Choongchung Seungmoo of HanYoung Sook and Honam Seungmoo of Lee Mae Bang. The goal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Seungmoo(the Buddhist Monk's Dance), which is an exemplary traditional dance of Korea, from a structural point of view, and to inquire into the sense of space manifested in the dance. This thesis aims to inquire into the Seungmoo of Han Young Sook that is more feminine, graceful and elegant. To this end, in order to analyze the origin of Seungmoo, its types, transmission, origin of the music and the structure of Han Young Sook's Seungmoo, documentary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structural concept of the dance; the basic movements of Seungmoo has been analyzed from a structural point of view by referring to visual data and firsthand learning of the author. The study on the structure of the movements focuses on the Yumbool(a prayerto Buddha) Episode among the five Episodes, and through the study of the patterns of the body, arms, feet, eye movements and breath the thesis will discover the structural beauty of the dance. When investigating the spatial structure, the thesis will look at the unique features and characteristics of Han Young Sook's Seungmoo, by comparing spatial composition with the pattern of spatial occupation of the body and the eye movements. Furthermore, by studying the principle of the interior(the rhythm of the breath), the thesis will contemplate the expression of movements within stillness of Seungmoo. Finally, the thesis will conclude by reinterpreting the value and the artistic features of Seungmoo, by experiencing the aesthetic value of Seungmoo and forecasting Seungmoo from a creative and preservative point of view, and will present suggestions for further development of the national art. The research on Seungmoo revealed the fact that Seungmoo was originally created by an occupational dancer influenced by many other forms of dances that were popular at that time. In other words, Seungmoo incorporates the intensification and relaxation of the dancer's internal energy, which is then manifested in the dance. The tempo of the dance is formally categorized into Yumbool, TaRyung, Goodgurri, Bupgo etc; changes in tempo and rhythm arouse a diversified sense of speed. From still movements to active ones, the dance is seamlessly smooth and well harmonized. The delicate ending, dandling, unfolding movements and the beauty of the scattering effects of Jangsam(the Monk's robe) are common in all Seungmoo dances. All these features contribute in making Seungmoo a representation of the Korean dance. Of all Seungmoo dances, Han Young Sook's Seungmoo uses a large spatial area, is structurally symmetric and is geometrical. The body tends to face the audience during the performance; the eyes tend to look upwards compared to Honam Seungmoo. It is simple, still, and is rather horizontal in its space usage. Moreover, the dance movements are graceful and delicate, the arm motions big; the movements of Seungmoo are modernized. The movements of the tip of Busun(Korean socks) that can be seen occasionally beneath the skirt, together with the feet movement that imitates a crane, signify freedom and extraordinariness, combined with the curve drawn by the movements of Jangsam. In addition, strong emphases placed on still movements, the way dancers release their breath at the end of a movement and the delicate finishing movements of the feet and eyes are all strongly expressed in Seungmoo. Consequently, Han Young Sook's Seungmoo could sufficiently qualify for the subject of a research on the qualities of our national dance, as it possesses both style and figure, and consists of Korean dance movements. While revealing the Korean aesthetic consciousness by investigating the structure of Seungmoo, the study is also significant, in that it inquires into the characteristics of our Folk dance and contributes in establishing the history of our traditional dance. With the spread of the Western ways of behavior, people are becoming more and more indifferent to our unique culture and expression methods, threatening the Korean tradition altogether. Under such circumstances, records of the surviving successors and disciples of our tradition are invaluable. Therefore it would be important to carry on with more precise researches on Seungmoo, and thereby discover the fundamental aesthetic consciousness; such achievements would be important in redefining our traditional dance and in transmitting the tradition of Korean classic dance.;무용이란 인간의 신체를 소재로 하여 시간과 공간에 융합되어 이루어지는 표현으로 언어를 초월한 예술이며, 특히 승무는 시간과 공간이 절묘하게 조화를 이루는 진정한 행위 예술의 백미라고 할 수 있다. 승무는 한국전통무용을 총망라하여 정수라고 인정이 될 만큼 춤의 기교와 예술성이 뛰어나며 나아가 한국무용의 기본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바탕과 특징을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우리 춤의 매력을 '한의 예술'이라고 하는 것은 곧 승무에서 표출되어지는 미에서 바로 그 의미를 찾아볼 수 있으며, 한국적 미인 한의 절제를 강조하고 있음을 주시하여야 한다. '승무는 인간 본연의 애정과 낭만의 표현인 동시에 인간의 비회를 높은 차원에서 극복하고 승화시킨 이지적인 춤이라 할 수 있다'라고 인정되고 있으며, 현재는 한국무용의 하나의 큰 맥으로 유지되고 있는 것이다. 승무만 완전히 터득하면 다른 춤은 저절로 출 수 있다는 말이 있다. 승무의 형성과정을 보면 우리 민족의 삶의 몸짓으로부터 그 골격이 세워졌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볼 때 승무는 미적 가치가 높이 평가되는 것에 대한 정밀한 고찰과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승무는 크게 한영숙의 경기·충청 승무와 이매방의 호남 승무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좀 더 여성적이면서 단아하며 우아함을 갖춘 한영숙 승무를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 전통춤인 승무를 구조적 측면에서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승무에 나타남 공간감에 관한 고찰을 시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승무의 기원과 종류, 전승과 음악 등의 유래와 한영숙 승무의 구조를 분석하기 무용미의 구조적 개념을 문헌 연구를 통해 알아보았고, 승무의 기본적인 춤사위들을 구조적 관점의 기준으로 비디오 자료와 논자 본인의 직접 습득을 통해 분석하였다. 춤사위의 구조에 대한 연구는 5과장중 염불과장을 중심으로 몸통, 팔, 발, 시선, 호흡이 보여지는 양상을 통해 무용의 구조미를 살펴볼 것이다. 공간구성을 살펴보는데 있어서 몸통과 시선이 차지하는 공간점유 양상과 공간구도(춤길)를 비교하여 한영숙 승무가 갖고 있는 독특한 특징과 개성에 대해 연구를 하고 내면의 원리(호흡의 움직임)를 연구함으로써 승무의 정·중·동의 표현을 구체적으로 고찰한다. 최종적으로 이 과정들을 거쳐 승무의 미적가치를 체험해 보고 앞으로의 승무에 대한 보존이라는 측면과 창작이라는 측면에서 승무가 갖는 가치성과 예술성을 재해석해 봄으로써 새로운 민족예술의 발전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으로 정리한다. 승무 작품을 연구해 본 결과, 승무는 그 당시 행해지고 있던 여러 춤들에서 영향을 받아 직업적인 무용가의 창작품으로 만들어진 것에 시발점을 두었다. 즉 승무는 무용가의 내적 에너지의 집약과 이완의 작용을 충분히 담아내어 자신만의 독특한 미의식을 춤으로 풀어내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춤가락이 염불, 타령, 굿거리, 법고 등으로 구분되어 있어 형식적이고 가락과 장단의 변화가 다양한 속도감이 있으며 정적인 춤으로부터 동적인 춤동작에 이르기까지 끊임없이 부드러우며 전체적으로 조화를 이루고 있고 춤사위가 맺고 어르고 푸는 리듬의 섬세함과 장삼의 뿌림사위로 인한 미적 특성이 공통으로 나타나는 양상이므로 우리 춤의 대표라 할 수 있다. 그 중에서 한영숙 승무의 특징은 공간영역이 넓고 구성에 있어서 대비를 이루며 기학학적이다. 객석을 향한 몸 방향이 많으며 시선은 대체로 호남 승무보다 상향지향적이며 단순하고 정적이며 수직이라기보다는 수평적인 공간 구도를 그리면 춤사위 또한 우아하고 섬세하며 뿌림선이 크고 현대화된 승무에 가까운 동작으로 구성되어 있다. 유난히 발걸음에선 치마 안에서 얼핏 보이는 버선코를 보여짐의 동작은 여인의 정절함과, 발을 들고 학체를 하는 동작은 장삼에서 그려지는 곡선을 더해 자유와 비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인상적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잔잔하면서도 액센트를 주는 것과 동작의 마무리에서 호흡을 풀어주는 점, 그리고 발끝과 시선이 섬세하게 마무리되어 감칠맛을 자아내는 점 등의 특징이 강하게 표출되는 춤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미적요소인 멋과 태를 고루 갖춘 춤으로 한국적 자태를 엿볼 수 있는 춤사위들로 구성되어져 있으므로 민속무용에 특질을 살펴봄에 있어 한영숙 승무는 충분히 연구대상이 된다고 생각된다. 이와같이 승무의 춤사위 구조에 관한 고찰로 인해 뿌리깊이 한국인의 미의식을 밝히는 것과 동시에 민속춤의 한 특성을 밝혀보고 우리 민속 무용의 사관을 정립하는데 중요한 의의를 부여한다고 할 수 있다. 한영숙의 무용관은 전통무용의 통일점을 발견하고 그 통일점을 토대로 과학적으로 한국전통무용의 원형성을 정립하려고 노력했고, 그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전통무용계승에 대한 형식이론 및 기본 사상을 통일시키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서구적인 행동양식에 밀려 우리고유의 문화의식과 표현양식에 관한 무관심이 점차 가속화 되어 전통의 깊은 뿌리가 흔들리는 지금, 생존해 있는 전통계승자 및 이수자들의 기록들은 귀중한 자료가 됨으로 이 시점에 좀 더 정밀한 승무 춤의 연구를 통해 근원적 미의식을 발견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우리 전통춤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새롭게 전통춤 전통 및 계승을 하는 데 있어서도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다.;Dance, using the human body and converged with time and space, is a form of art that transcends linguistic limitations; Seungmoo, in particular, is a dance that exquisitely harmonizes time and space, therefore can be referred to as the true essence of all performances. Seungmoo is considered to be the marrow of all traditional Korean dances for its outstanding techniques and artistic features, and has the qualifying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to be regarded as the standard for Korean dances. The charm of Korean dances is generally said to be the art of Han(a Korean term for grief). The very art of Han can be found in the presentation of Seuugmoo, and it is necessary to notice that Seungmoo emphasizes the Korean virtue of moderation of Han. Seungmoo is acknowledged as an intellectual dance that manifests the original human affections and romanticism, that at the same time overcomes and sublimates human sorrow and joy at a higher level; currently, Seungmoo is maintained as one of the mainstreams of Korean dances. In this context, it seem necessary to conduct a more precise research on the issue of Seungmoo's highly evaluated aesthetic value. Seungmoo can briefly be categorized into Kyoungki/Choongchung Seungmoo of HanYoung Sook and Honam Seungmoo of Lee Mae Bang. The goal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Seungmoo(the Buddhist Monk's Dance), which is an exemplary traditional dance of Korea, from a structural point of view, and to inquire into the sense of space manifested in the dance. This thesis aims to inquire into the Seungmoo of Han Young Sook that is more feminine, graceful and elegant. To this end, in order to analyze the origin of Seungmoo, its types, transmission, origin of the music and the structure of Han Young Sook's Seungmoo, documentary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structural concept of the dance; the basic movements of Seungmoo has been analyzed from a structural point of view by referring to visual data and firsthand learning of the author. The study on the structure of the movements focuses on the Yumbool(a prayerto Buddha) Episode among the five Episodes, and through the study of the patterns of the body, arms, feet, eye movements and breath the thesis will discover the structural beauty of the dance. When investigating the spatial structure, the thesis will look at the unique features and characteristics of Han Young Sook's Seungmoo, by comparing spatial composition with the pattern of spatial occupation of the body and the eye movements. Furthermore, by studying the principle of the interior(the rhythm of the breath), the thesis will contemplate the expression of movements within stillness of Seungmoo. Finally, the thesis will conclude by reinterpreting the value and the artistic features of Seungmoo, by experiencing the aesthetic value of Seungmoo and forecasting Seungmoo from a creative and preservative point of view, and will present suggestions for further development of the national art. The research on Seungmoo revealed the fact that Seungmoo was originally created by an occupational dancer influenced by many other forms of dances that were popular at that time. In other words, Seungmoo incorporates the intensification and relaxation of the dancer's internal energy, which is then manifested in the dance. The tempo of the dance is formally categorized into Yumbool, TaRyung, Goodgurri, Bupgo etc; changes in tempo and rhythm arouse a diversified sense of speed. From still movements to active ones, the dance is seamlessly smooth and well harmonized. The delicate ending, dandling, unfolding movements and the beauty of the scattering effects of Jangsam(the Monk's robe) are common in all Seungmoo dances. All these features contribute in making Seungmoo a representation of the Korean dance. Of all Seungmoo dances, Han Young Sook's Seungmoo uses a large spatial area, is structurally symmetric and is geometrical. The body tends to face the audience during the performance; the eyes tend to look upwards compared to Honam Seungmoo. It is simple, still, and is rather horizontal in its space usage. Moreover, the dance movements are graceful and delicate, the arm motions big; the movements of Seungmoo are modernized. The movements of the tip of Busun(Korean socks) that can be seen occasionally beneath the skirt, together with the feet movement that imitates a crane, signify freedom and extraordinariness, combined with the curve drawn by the movements of Jangsam. In addition, strong emphases placed on still movements, the way dancers release their breath at the end of a movement and the delicate finishing movements of the feet and eyes are all strongly expressed in Seungmoo. Consequently, Han Young Sook's Seungmoo could sufficiently qualify for the subject of a research on the qualities of our national dance, as it possesses both style and figure, and consists of Korean dance movements. While revealing the Korean aesthetic consciousness by investigating the structure of Seungmoo, the study is also significant, in that it inquires into the characteristics of our Folk dance and contributes in establishing the history of our traditional dance. With the spread of the Western ways of behavior, people are becoming more and more indifferent to our unique culture and expression methods, threatening the Korean tradition altogether. Under such circumstances, records of the surviving successors and disciples of our tradition are invaluable. Therefore it would be important to carry on with more precise researches on Seungmoo, and thereby discover the fundamental aesthetic consciousness; such achievements would be important in redefining our traditional dance and in transmitting the tradition of Korean classic da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