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4 Download: 0

신생아실의 세균오염도에 관한 연구

Title
신생아실의 세균오염도에 관한 연구
Authors
민병옥
Issue Date
197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간호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신생아실의 세균 오염도를 조사하여 신생아실의 효율적인 관리에 도움이 되고, 신생아의 병원내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된 실험이다. 즉 1979년 4월 18일, 4월 24일 및 5원 9일 총 3회에 걸쳐 E대학부속병원 신생아실을 대상으로 공기, 목욕대야, 보육기의 손넣는 구멍(arm hole) 조절기(cuffs), 간호원의 손, 산모의 유두, 간호원의 인후, 산모의 인후, 신생아포, 신생아의 옷등 9개의 부위를 선정하여 thioglycollate broth, 혈액한천평판배지를 이용하여 세균 배양검사를 하였다. 1. 신생아실의 공기 중에서는 소정 시간에 관계없이 포도상구균만 분리되었다. 2. 신생아실에서 사용되는 목욕대야를 사용 전과 사용 후로 구분하여 세균 배양을 실시한 바, 사용 전의 10개 대야에서는 모두 균을 분리하지 못했으나 사용한 후에는 4개의 대야로부터 그람양성쌍구균을, 2개의 대야로부터 고초균을, 4개의 대야로부터 그람음성간균을 각각 분리하였다. 3. 보육기의 손넣는 구멍조절기를 사용 전후로 구분하여 세균 분리를 시도한 바, 사용 전의 10개는 모두 무균이었고, 사용 후의 10개중 4개에서 포도상구균, 6개에서 그람음성간균이 각가 분리되었다. 4. 신생아실 간호원의 손을 씻은 직후와 접촉 후로 구분하여 조사한 바, 씻은 직후는 10명 중 6명이 무균이었고, 나머지 4면에서는 포도상구균, 그람양성쌍구균, 고초균, 그람음성간균이 각각 한 가지씩 분리되었다. 신생아를 접촉한 후에는 10명중 5명이 무균이었고, 4명에서 포도상구균, 1명에서 고초군, 3명에서 그람음성간균이 분리되었다. 그리고 이중 3명이 두가지균을 가지고 있었다. 즉 2명에서 포도상구균과 그람음성간균이 분리되었고 다른 1명에서는 고초균과 그람음성간균이 분리되었다. 5. 산모의 유두를 소독수탈지면으로 닦기 전후로 구분하여 조사한 바, 닦기 전에는 10명중 8명에서 포도상구균이 분리되었고, 그 중 1명에서는 고초균도 분리되었으며 10명중 2명은 무균이었다. 소독수탈지면으로 닦은 후에는 10명 전원에서 포도상구균이 분리되었고 그 중 1명에서는 고초균도 분리되었다. 6. 간호원의 인후에서는 10명중 3명에서 포도상구균, 4명에서 그람양성쌍구균, 2명에서 고초균, 3명에서 그람음성간균이 분리되었다. 이 중 2명이 두가지 균을 가지고 있었다. 즉 1명에서 고초균과 그람음성간균이 분리되었고, 1명에서 포도상구균과 그람음성간균이 분리외었다. 7. 산모의 인후에서는 10명중 2명에서 포도상구균, 4명에서 그람양성쌍구균, 2명에서 고초균, 3명에서 그람음성간균이 분리되었다. 이 중 2명이 두가지균을 가지고 있었다. 즉 1명에서 고초균과 그람음성간균이 분리되었고, 1명에서 포도구상구균과 그람음성간균이 분리되었다. 8. 세탁한 신생아포에서는 10장중 7장에서 포도상구균, 1장에서 고초균, 2장에서 그람음성간균이 분리되었다. 9. 세탁한 신생아의 옷에서는 10벌 중 4벌의 옷에서 포도상구균, 3벌의 옷에서 그람양성쌍구균, 4벌의 옷에서 고초균이 각각 분리되었고, 이중 1벌의 옷에서 두가지균(포도상구균과 고초균)이 분리되었다. 10. 포도상구균에 대한 Coagulase 시험 결과는 모두 음성이므로 분리된 포도상구균은 전부 비병원성균속에 속했다. 11. 그람음성간균에 대한 생화학적 검사 결과 대장균(E. coli)형이 26.3%, 양기성균(Aerobacter aerogens)이 5.26% 분리되었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some help of effective nursery management and for the prevention of hospital infection of infants by testing the contamination level of nursery room. The nursery room of the E. University Hospital was examined bacteriologically for totally three times on the 18th, 24th of April and the 9th of May, 1979 by using bacteriological broths and blood agar plates: Nine parts were chosen for the purpose, I.e. nursery room air, washbasins, cuffs of incubator-arm-hole, hands of nurses, nipples of mothers, throats of mothers and nurses, blankets and clothe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Staphylococcus was isolated from the nursery room air regardless of time. 2. The ten aseptic washbasins before their use and those after use were examined. No growth of microorganisms from the former ten, but the latter ten, Gram positive diplococcus(4 basins), Bacillus subtilis(2 basins) and Gram negative bacillus(4 basins) were isolated. 3. From the ten cuffs of arm hole before their use, there were no growth of microorganisms, but from the ten after use, Staphylococcus(4 cuffs) and Gram negative bacillus(6 cuffs) were isolated. 4. four microorganisms; Staphylococcus, Diplococcus, Bacillus, Subtilis and Gram negative bacillus were respectively isolated from the hands of four nurses of the ten in the nursery room immediately after their hands were washed, while the remainder six were aseptic. And from the hands of five nurses among the ten after their contacts with infants, Staphylococcus(4 nurses), Bacillus subtilis(1 nurse), and Gram negative bacillus(3 nurses) were isolated. Two of them had both Staphylococcus and Gram negative bacillus, and other one had both Bacillus subtilis and Gram negative bacillus; i.e. three of them had two microorganisms. And the remainder five were aseptic. 5. From the nipples of the ten mothers before being cleared by steriled water sponge, Staphylococcus(8mothers) and Bacillus subtilis(1 of these 8) were isolated, and aseptic were two. After clearing, Staphylococcus(10 all) and Bacillus subtilis(1 of them) were isolated. 6. Staphylococcus(3 nurses), Gram positive diplococcus(2 nurses), and Bacillus subtilis(3 nurses) were isolated from the throats of ten nurses. One of the above had both Gram positive diplococcus and Bacillus subtilis, and so three were aseptic. 7. And from the throats of ten mothers, Staphylococcus (2 mothers), Gram positive diplococcus (4 mothers), Bacillus subtilis (2 mothers) and Gram negative bacillus (3 mothers) were isolated. Two of them had respectively two kinds of Microorganism; One had both Bacillus subtilis and Gram negative bacillus, and the other had both Staphylococcus and Gram negative bacillus. 8. From ten sheets of cleaned blanket, Staphylococcus (7 sheets), Bacillus subtilis (1 sheet) and Gram negative bacillus (2 sheet) were isolated. 9. From ten suits of cleaned clothes, Staphylococcus (4 suits), Gram positive diplococcus (3 suits) and Bacillus subtilis (4 suits) were isolated. One suit had both Staphylococcus and Bacillus subtilis. 10. All of the Staphylococcus were identified as negative in coagulase test and they were all non-pathogenic. 11. E. coli (26.3%) and Aerobacter aerogens (5.26%) were isolated from Gram negative bacillus by biochemical tes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간호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