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전윤희-
dc.creator전윤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8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8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2944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32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442-
dc.description.abstract현재까지 진행되어 온 문학교육, 특히 소설교육은 감상과 이해의 수준을 벗어나지 못했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소설교육을 받았거나 현재 받고 있는 중이지만 배우지 않은 소설을 접하게 되었을 때 비판은 커녕 의미 파악조차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것은 소설교육을 통해 소설을 읽는 법을 배운 것이 아니라 소설속에 나오는 단편적 지식만을 수동적으로 배워왔기 때문이다. 학생들은 스스로 결과를 찾아내는 과정이 없이 의도된 결과에 이르는 방법만을 배워왔다. 본고는 이러한 교사중심의 주입식 교육방법을 비판하는 데에서 시작하였다.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종전의 '이해와 감상'이라는 표현 대신 '수용과 창작'이라는 썼고, '문학 작품의 이해'와 '작품 감상의 실제'를 각각 '문학의 수용과 창작', '작품의 수용과 창작의 실제'로 바꾸어 다른 영역에 비해 상당한 변화를 보이고 있다. 이는 문학교육이 작품의 감상과 이해에서 그칠 것이 아니라 표현의 실제에 이를 것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소설의 수용과 창작의 두 측면에 관하여 고찰해보았다. 소설의 감상과 이해는 단순히 읽는데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그들 스스로가 읽고 어떻게 느꼈는지를 표현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은 다른 학생들과 서로의 견해를 교환하며 토의를 하는 과정에서 실현될 수 있다. 또한 단순히 의견을 교환하는 차원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바탕으로 모둠 활동을 통해 소설 작품을 다시 써보고 교사와 학생들의 공동 활동 속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가능할 것이다. 창작교육은 전문적인 작가를 양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창작교육이 아니라 창작교육을 통해 소설을 써봄으로써 문학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함이다. 그러나 창작교육은 과거 교육과정에서 제외되었기 때문에 현장에서 활용할만한 교수-학습 방법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고는 창작의 순서를 단순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창작의 과정을 교사와 학생 모두가 공유함으로써 보다 창의적으로 글을 쓸 수 있기 위한 방안을 고찰해보았다. 먼저 2장에서는 현재 소설교육의 실태와 문제점을 현재 고등학교 재학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분석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제7차 교육과정에서의 문학교육의 내용과 목표를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교수-학습 방법의 이론적 배경이 된 토의 수업 모형과 창작을 위한 창의적 문제해결법의 특징과 수업 모형을 소개했다. 4장에서는 문학수업에서 중요시되고 있는 문학 수업의 원리를 살펴본 후 학습자가 중심이 되는 모둠 토의 수업의 교수-학습 방안을 모색해보았다. 기존의 구조화되지 않은 전통적인 소집단 학습에서 역할이나 책임이 특정 학생에게만 집중되지 않기 하기 위하여 개인, 동료, 모둠 상호 평가지를 제시하였고, 역할분담도 균등하게 배분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창작을 위한 소설지도 방안에서는 고든(Gordon)의 창의적 문제해결법의 두 전략 중 '새로운 것을 창안하기'를 활용하여 고등학생들과 함께 수업을 진행해보았다. 소설 교육에서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평가의 방안을 수행평가와 포트폴리오 평가의 차원에서 살펴보았으며 이러한 수업에서 기대되는 효과와 문제점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5장에서는 교사의 설명 중심이 된 주입식 수업에서 탈피하여, 비판력과 창의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학습자 중심의 수업이 이루어져야 함을 밝혔다. 또한 이러한 연구는 지속되어야 하며 그 몫은 다름 아닌 현장의 교사에게 있음을 언급했다.;Up until now, the education in literature, that of novels, in particular, hasn't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appreciation and comprehension. Most students have studied, or now studying, the novels but when it comes to a story they haven't learned, they have difficulties critically thinking about it, or even analyzing the story. This is because they have only learned the pieces of knowledge that are already in the book and not the reading method. Students only learn the way to get to the analysis already derived by the other people and not the way to get their own analysis. This a thesis is meant to point out the problems of the instructor-centered cramming system of education. The seventh educational curriculum shows a considerable change compared to other fields, using 'Reception and Creation' instead of 'Comprehension and apprehension', 'Reception and creation of Literature' and 'Facts of reception and creation of Literary works' rather than 'Comprehension of Literary works' and 'Facts of Literature appreciation'. This requires the education of literature to advance further from merely enjoying and understanding the work and reach the state of expressing it. We have examined the two sides of reception and creation of novel. To appreciate and understand the literature one should not only read the work but know how to express the afterthoughts. This can be obtained from discussions with other students. And along with group discussion, writing stories and finding solutions with the instructors and with each other will help. Education in story writing is not to make students professional writers but to give the students the opportunity to understand literature better by writing from that education. But this education in story writing was excluded in the past; there is not enough teachers or teaching method for students. In this thesis we have studied not simply the method of creating stories but the ways to write more creatively by sharing the process of story writing of teachers and students. First, in chapter Ⅱ, we have surveyed the high school students to analyze the problem of current literature education and based on the result, studied the contents and purposes of literature education in the seventh Educational curriculum. In chapter Ⅲ, we have introduced a model lecture of a discussion class, which is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teaching method for instructo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solution to problems of originality and a model lecture for creativity. In chapter Ⅳ, we have seeked the teaching method for instructors for student-centered group discussion after studying the principles of literature study that has been considered important in literature classes. Also, in the teaching methods of literature for creation, we have had a lecture with high school students using 'Creative thinking and Problem soving in gifted education' from Gordon's two strategies for solutions for problems of originality. We have studied the evaluation devices in the study evaluation and the portfolio evaluation and discussed the expected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from these. In chapter Ⅴ, we have emphasized that we are to rid ourselves from the old cramming system of education the instructor was the center of the lecture, and progress for a student-centered lectures to improve the students' critical thinking and creativity. We have also commented that the study should be continued, and the instructors are responsible for i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사 개관 = 4 C. 연구의 방법 = 8 Ⅱ. 제7차 교육과정과 소설교육 = 11 A. 소설교육의 실태와 문제점 = 11 1. 소설교육의 실태 = 11 2. 소설교육의 문제점 = 26 B. 소설교육의 목표 = 30 C. 제7차 교육과정과 소설교육 = 34 1. 제7차 교육과정과 소설교육 = 34 2. 제7차 교육과정과 창작교육 = 44 Ⅲ. 이론적 배경 = 47 A. 소설 감상을 위한 토의 수업 모형 = 47 1. 문학교육에서의 학습자의 특성 = 47 2. 토의의 방법과 수업모형 = 48 3. Co-op Co-op 학습 전략 = 55 B. 창작을 위한 창의적 문제 해결법 수업 모형 = 61 1. 창의성의 개념 = 61 2. 창의적 문제해결법 수업 모형 = 62 Ⅳ. 창의력 신장을 위한 소설교육의 교수-학습 방안 = 70 A. 문학 수업의 원리 = 70 B. 모둠토의 학습을 통한 소설지도 방안-작품의 수용 = 72 1. 모둠토의 교수-학습 방안 = 72 2. 모둠 토의 수업의 실제 = 85 C. 창의성 신장을 위한 소설지도 방안 - 작품의 창작 = 91 1. 소설창작 교수-학습 방안 = 91 2. 창작 수업의 실제 = 95 D. 소설교육의 평가 = 110 1. 문학교육에서의 평가 = 110 2. 평가의 실제 = 114 E. 기대 효과 및 문제점 = 118 Ⅳ. 결론 = 121 참고문헌 = 125 Abstract = 128 부록 = 13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79591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창의성-
dc.subject소설교육-
dc.subject작품수용-
dc.subject창작-
dc.title창의성 신장을 위한 소설교육 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작품의 수용과 창작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for Novel Education Teaching Method to Improve Creativity : Centered on Reception and Creation of novel-
dc.format.pageix, 13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