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0 Download: 0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교과목 내용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Title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교과목 내용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f the development for the subject of business communication
Authors
김세경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비서학과
Keywords
비즈니스커뮤니케이션교과목내용개발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21 세기의 기업들은 인터넷의 발달로 국가간 경계가 사라지면서 빈번하게 국가 간 비즈니스 교류를 하고 있다. 최근 기업에서 조직들이 팀제로 운영되는 일이 많아지고 있다. 팀간의 커뮤니케이션에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전문 비서에 있어서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무척 중요하다. 이러한 상황적 요구에도 불구하고 대학 교육은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교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는 않은 듯하다. 본 연구는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의 주요 이슈를 파악하고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교과목의 종류와 내용을 파악하여 21세기 기업 문화에 맞는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교과목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최근 수요가 높아지고 있는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의 주요 이슈를 파악하려 한다. 또한 국내와 미국의 종합대학에서의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교육과정을 조사하여,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교육이 제공해야 하는 내용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문제로는 첫째,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관련 학술지 조사를 통해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주요 이슈를 파악한다. 둘째, 국내의 대학에서 개설하고 있는 교과목을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관련 과목의 내용을 파악한다. 셋째, 미국 대학에서 개설하고 있는 비즈니스 관련 과목의 내용을 파악한다. 넷째,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교과목의 내용을 국내와 해외를 비교하여 차이를 알아본다. 다섯째,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이슈와 교과목 내용을 비교하여 차이를 알아본다.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이슈는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관련 학술지에 실린 논문의 주제를 중심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 대상 학술지로 국내 1997년부터 2003년까지의 학위 논문을 주제별로 분류, 빈도를 파악하였다. 같은 방법으로 해외 학술지 1997 년부터 2003 년까지의 논문을 주제별로 분류하고 빈도를 파악하여 쟁점이 되고 있는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이슈와 교과목 내용에 포함이 되어야 할 내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대학에서 제공하고 있는 교과목의 종류와 내용을 파악하기 위해서 인터넷으로 국내 서울시내 4년제 대학 43 개 대학의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관련 교과목을 모두 검색하였다. 국내 교과목 효과적인 비교 분석을 위해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에 높은 관심과 또 가장 빠른 정착을 보이고 있는 미국 대학의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과목을 조사하였다. 미국 대학의 경우 국내 교과목과의 비교 분석을 위한 우수한 교과과정을 검색하기 위하여 U.S Today 가 발표한 미국 상위대학 10 개를 먼저 선정하였다. 선정된 조사 대학에서 제공하고 있는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교과목을 인터넷으로 검색하여 내용분석을 통한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관련 학술지 분석 결과로는 비즈니스 문서작성, 사내 커뮤니케이션, 비즈니스 말하기, 비즈니스 윤리, 수행평가, 교육과 훈련, 환경의 변화, 문화의 다양성 인식등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성비를 살펴보면 비즈니스 문서작성(n=40), 18.6%, 비즈니스 말하기(n=17), 9.1%, 사내 커뮤니케이션(n=22), 16.4%, 비즈니스 윤리(n=11), 7%, 수행평가(n=9), 4.6%, 교육과 훈련(n=16), 8.5%, 환경의 변화(n=16), 8.5%, 문화의 다양성 인식(n=22), 11.9%, 기타 7.5%로 나타났다. 국내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교과목 내용은 구성비가 4%이며 학습 내용은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이론 학습, 비즈니스 매너, 발표력, 문장 표현력, 컴퓨터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능력, 커뮤니케이션 수단과 방법, 비즈니스 서식, 프로젝트 브리핑, 프리젠테이션 테크닉, 발표, 회의, 협상 등의 능력을 학습한다. 국내의 교과목은 언어적,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커뮤니케이션 기술에 대한 내용의 학습은 이루어지고 있지만 효과적인 조작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리더쉽, 효과적인 관리기술, 대인간 커뮤니케이션, 조직 내 목표설정, 경력관리, 스트레스 관리, 의사결정 능력, 직무만족, 조직행동, 위기관리, 홍보, 효과적인 팀워크 형성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미국의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은 교과목의 내용이 세부적이고 명확하게 이루어져 있다. Cornell 대학을 제외하고는 주로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과목이 학과에 개설되어 있지 않고 평생 교육원이나 직업 훈련원 등 학교 산하의 기관에서 개설이 되어있다. 조직에서 정신적인 가치를 중요시하여 상사와의 멘토 관계를 형성하여 조직원의 신뢰감과 자신감을 심어주는 방법이나 생산성 고취를 위한 효과적인 방법이 학습되고 있다. 고객의 불평과 요구에 신속하게 대처를 하는 방법이나 전화 응대 등의 내용이 학습된다. 그러나 급격한 환경변화에 비해 컴퓨터를 활용한 사내 교육이나 전자문서, 이메일, 텔레커뮤니케이션 등의 내용이나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폭넓은 학습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의 후속 연구자는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과목이 현장에서 어떻게 이루어지는 지를 직접 조사하여 국내의 기업 환경에 적절한 교과목 내용 개발 모형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교과목이 현대 사회와 조직에서 적응력을 신장시키는데 기여하며 개인의 경쟁력을 높이는 교과목으로써 그 입지를 굳힐 수 있다고 기대한다. 사회적인 요구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각 조직에 보편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을 학습함으로써 더 나은 조직 환경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The introduction of the internet has broken the: boundaries among countries and languages leading to the recent trend of the 2l^(st) century which has come to understand the diversity of various cultures around the world. This understanding has increased the trade and the business society into a more effect community. One's ability in this field comes from backgrounds of English capability and the know-how in expressing ideas in the internet. This new trend culture demands one to be efficient in these new cultural backgrounds. Also one can not be excused from the analog mammers wasdrdbes and active persuasion of work such as communication skills in this digital age. The working society has adopted a system of various cells or teams to efficiently work each problems. The demand for a simpler but efficient communication is thus required to communicate with each teams. This stresses the importance of the secretarial work who is in charge of communication between each teams. But the truth of the matter is that education thus not supply the need for these demands. If a proper education be given to the ones who will be in charge of communicating with each teams, then the actual social training period for this work can be shortened and faster adaptation can be expect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literate the status of business communication in the educational field and to visualize the educational curriculum fit for the new trend of the 21St century business communication. The lack of domestic work in business communication has led the research to evaluate the journals regarding business communication from 1997 to 2003. The research involves areas such as recent advances, controversies, and the current issues. These fields were evaluated to compare the current status in Korea. This paper tries to define the meaning to appropriate to the Korean Business communication status and evaluate the basic structures. The second phase study evaluated the current status of the 43 universities giving lectures related to business communication and the few domestically published articles in this field but the references were scarce. Thus most of the reference were based on the subjects related to business communication of the top 10 universities (ranked by USA today) in the states. The American literature shows that the education society has researched this field for more than 10 years and the trend of their research were kept in close pace with the economic development and the trend of the business society. The evaluation of business communication were emphasized in the field of English capabilities and communication skills. First, the actual subject course with titles of ''business communication" were less then 2percent of the entire evaluation. The lack of source added the difficulty for wide-range evaluation. Second, the research field of business English (English for Specific Purpose) relating to subjects which led to business communication were shown to have a proportion of 68 percent but lacked the curriculum of effective communication. The lack of education regarding the proper business communication demands the necessity of this field. Third, the subjects related to communications were covered by courses which elaborate social mass-communication. This field literates the actual phenomenon and philosophy of communication and the ripples caused in the social1 life from the basic communication research. But the idea differs from business communication that the communication taught in this field emphasizes the skills which addresses the public as a whole rather than individual. The business communication knowledge is provided by education centers, social centers, or life-long centers for education programs in America. The contents are divided specifically to supply the demands. I feel that this reference can provide the foundations for education backbones in this new field in Korea. The selection of right subjects and subjects with substance will be essential in supplying the knowledge for this field in the Korean education future. The substance of the subject ''Business Communication" should include; the development of graduates who will be armed with the understanding of 21^(st) century organization, second, minimize the confusion by elaborating specifically between the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third, provide the current business issues regarding communication and to allow versatile adaptation in this field The role of business communication can be more demanding in a conservative society such as Korea to make the communication ladder a more horizontal rather than vertical step ladder. The study of business communication can provide such demands and develop graduates to lead the economical society by improved efficiency and productiv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제사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