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윤여향-
dc.creator윤여향-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6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6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2674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31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6745-
dc.description.abstract예술이란? 인간의 사상과 감정을 전달하는 미적 표현활동의 총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예술은 모방이라 했다. 신(神), 자연, 이성의 모방이다. 예술은 표현형식(significant form)을 의미한다. 이것은 사물과 자연에 대한 영감(靈感)을 통한 통찰(洞察)로서 '감정이입' 시키는 표현(表現)이다. 예술작품의 형식을 빌려 정신을 통해 감정이입과 의미 부여의 동적(動的)인 형상성을 갖는다. 예술가는 내면세계 속에서 끊임없이 미적 경험을 쌓아가며 모든 경험과 상상을 표현 할 수 있는 조형요소를 찾는다. 따라서 예술작품 속에는 예술가가 처한 시대적 상황과 환경 그리고 자기자신에게서 발견된 것이 표현되어진다고 하겠다. 본 연구자의 작품표현에 있어서 자연에의 관심에서 출발하여 자연의 깊은 아름다움과 신비로움 생성과 소별이라는 보이지 않는 움직임과 내재된 힘을 작품에 표현하였으며, 끊임없이 변화하는 자연의 이미지를 섬세한 감성으로 받아들여 이를 내적인 심상을 통해 서정적으로 표현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있어 한국의 예술에 있어서의 자연주의 특성, 60년대이후 현대 한국화의 흐름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통하여 본인의 작품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우리의 미술은 인위적인 요소는 가능한 제거하고 그냥 거기에 본래 있었던 것처럼 자연스럽게 작품을 제작한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그야말로 무엇을 만들어 낸다는 의미보다는 형태가 스스로 생명력을 발휘하도록 돕는 것은 우리 작가들에게서 두드러진 자연주의적 특성이라고 아니할 수 없다. 그러면서도 절제된 감정과 과장 없이 자연스럽게 조화를 이루는 편안함과 깊이가 있다. 한국화의 추상화 과정 속에서도 이러한 자연주의 특성과 함께 작품표현의 시대적 변화와 다각적 연구가 과감히 시도 되었다. 한국화의 추상화 과정의 가장 특징적인 수묵화 운동은 20세기 서양미술의 새로운 도입 속에서도 동양의 고유한 정신성을 작품에서 강조하고 수묵을 통한 작업으로 보다 폭 넓은 발전과 가능성을 모색하며 오늘날의 한국화의 방향에 어떠한 구심점 가지고 변화한 문화운동이라 하겠다. 이러한 한국화의 시대적 상황 속에서 본인 작업으로 연결 작품의 조형요소 들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새로운 모색과 고찰의 계기를 마련 함으로서 현대적 표현으로서 나아갈 작업방향을 재점검 하고자 하였다. 작품표현 기법에 있어서 자연 소재의 넝쿨, 들풀, 나뭇가지등을 화면에 구성하여 이의 표현을 위해 화선지의 특성을 살린 수묵의 미묘한 변화와 함께 선의 변화 속, 성김과 빽빽함 점으로 이루어진 공간의 여백의 변화와 함께, 먹의 느낌을 부각시키는 담채기법을 통하여 계절변화와 생명의 느낌을 화면에 나타내려 하였으며 새로운 추상적 표현을 도입함으로서 현대적인 표현들의 가능성을 추구하고자 하였다. 본인의 작품을 통하여 현대적 추상표현방법을 모색하고 지, 필, 묵이 갖는 재료적 특성을 살리며 소재와 표현의 다양성을 이용한 실험적 방법으로 한국화의 내용과 표현한계성을 극복해 보고자 하였다.;Artists ceaselessly acquire aesthetic experience in their inner world and seek for formative elements that they may represent their experience and imagination through. In this thesis, I wanted to express the depth of the beauty and soul of the nature from the viewpoint of curiosity to the nature and show the variable image of nature through delicate feeling. This work has its theoretical foundation on the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turalism in the art of Korea and the contemporary literature of oriental painting since 1960. There are the harmony of depth and relief in Korean art and the naturalism with out artificial elements. These are also tested in the oriental painting abstract-expressionism process. The oriental painting movement, most remarkable in the said process, was the cultural movement, which emphasize the unique oriental spirit and long for the expanded progress and possibility in the works, affecting modern Korean painting. Based on the recognition of the study, I tried to present concrete formative elements and build a motive for new consideration in my work. From the presentational point of view, I used delicate change of India ink which optimize Chinese drawing paper, density and tightness of line, change of space which consists of dots and light coloring to show change of season and feeling of life in my work, and tried new abstract way of expression in order to pursue possibility of modern expression. To sum up, I wanted to look for modern abstract-expression and overcome the limitation of expression of Korean painting through unique characteristics of each materials; paper, writing brushes and Chinese ink, and experimental methods using variety of express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목적 = 1 B. 연구 내용 및 방법 = 2 Ⅱ. 본론 = 3 A. 이론적 연구 = 3 1. 한국현대회화의 자연주의 특성 = 3 2. 1960년대 이후 현대 한국화의 흐름 = 5 B. 방법적 연구 = 11 1. 선묘의 조형성과 자율성 = 11 2. 수묵담채의 점엽법(点葉法) = 12 3. 여백의 의미와 수용 = 13 Ⅲ. 작품 분석 = 18 Ⅳ. 결론 = 36 참고문헌 = 38 ABSTRACT = 3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6450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서정-
dc.subject자연표현-
dc.subject미술-
dc.subject한국화-
dc.title서정적 자연표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xamining the lyrical expression of nature-
dc.format.pagevi, 4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학부한국화전공-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