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안소영-
dc.creator안소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6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6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2947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30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477-
dc.description.abstract다가오는 21세기의 세계화·정보화 시대를 대비하고 우리 나라 교육의 현안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신교육체제가 구상되었다. 이런 맥락에서 개정·추진되고 있는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의 구체적인 방안의 하나로서 수준별 교육과정을 제시하고 있다. 수준별 교육과정의 정착과 발전을 위해서는 현재 교육 상황에 대한 실태 및 인식 조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초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수준별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현재의 수준별 교육과정의 운영 실태를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성남 지역의 초등학교 18개교에 재직중인 초등 교사 285명을 대상으로 임의 표집 방법을 사용하여 설문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준별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수준은 대체로 높은 편이고 수준별 교육과정을 적용해 본 교사일수록 이해 수준이 높았다.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수준별 교육과정의 특징 중에서 수준별 교육과정의 취지 및 의의, 수준별 교육과정의 특징에 대해서는 이해 수준이 높고, 단계형 교육과정 운영, 평가 방법,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활용방법, 반편성 및 교사 조직에 대한 이해 수준은 낮다. 수준별 교육과정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에서 초등학교와 관련한 수준별 교육과정의 아이디어에 대해서는 교사들이 대체로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심화·보충 학습에 대한 찬성의 정도가 높은 편이다. 제7차 교육과정에 대한 일반적인 평가는 부정적이다. 즉 '제7차 교육과정이 수준별 교육과정의 이념을 잘 반영하고 있는가'와 '제7차 교육과정이 학교 현장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제7차 교육과정의 실제 운영에 따른 효과'에 대해서도 부정적이었다. 둘째, 수준별 교육과정의 운영에 따른 개인차 고려 실태에 대한 의견은 대체로 부정적이다. 교사들은 수업 준비 및 운영과 관련하여 대체로 어려움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특히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활용에 대한 부담이 큰 것으로 보인다. 학생 변화와 관련하여 학생들의 학습량이 전체적으로 가중되고 학생의 수업 참여도나 학업 성취도, 학업 성취 수준 향상에 효과를 가져오지 못한다고 하였으나 초등학교 수준에서는 수준별 교육과정에 따른 수업을 실행하는 데 있어 정서적인 면에서 부정적인 영향은 별로 미치지 않는다고 인식하고 있다. 교사들은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에 있어서 교사의 능력이 매우 요구된다고 인식하고 있고 경력이 높을수록 필요의 정도를 낮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에 필요한 능력을 자신이 어느 정도 갖추고 있는가에 대한 인식은 대체로 긍정적이었으나, 교과서 이외의 교수·학습 자료 개발능력은 별로 충분하지 않다는 의견이 47.4%, 거의 갖춰지지 않았다는 의견이 5.6%로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교사들이 수준별 교육과정 적용을 하기 전에 교수·학습 자료 개발에 대한 부담이 크며 적용을 해 본 후에는 어느 정도 자신감을 갖는다고 하겠다. 셋째, 교사들은 수준별 교육과정의 장애요인으로 과밀학급, 과중한 업무 및 수업 부담, 교수·학습 자료의 부족, 획일적인 학교 운영 풍조, 교사 교육 프로그램의 부족 등을 꼽았다. 수준별 교육과정의 성공적인 현장정착을 위해서는 수준별 교육과정의 적용과정에서 지속적인 현장 연구와 실험을 거쳐 제반 문제점들을 수시로 보완해야 하며, 이를 위한 현장 교원들의 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또한, 교사 협의회의 활성화로 자율 연수 및 동료 장학을 통해 교수·학습 자료의 부족과 교사 부족 등의 문제점들을 최소화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며, 명예교사의 활용 방안은 다인수 학급, 교사 부족, 교수·학습 자료개발 및 부족 등의 어려움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 밖에 지원 체제의 측면에서 학급당 학생 수를 줄이고, 교사의 확보 및 교과 전담 교사의 확대, 교사의 업무 및 수업 부담을 경감시키는 등의 제반 여건들이 개선되어야 한다.;The 21st century is the era of the globalism and the information oriented society. In order to prepare this era and to solve pending problems of education in Korea, a new educational system is planned. That is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nd it is presented as a learner centered curriculum- 'the curriculum differentia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this curriculum differentiation, it is required to study about the present circumstance of educational situation and the recognition of teac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the present state of the management of the curriculum differentiation and the recognition of primary school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285 primary school teachers of 18 primary school in Sungnam city, Kyonggi province by purposive sampling.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 (1) Most of teachers presented a positive recognition about the curriculum differentiation. They were affirmative to the necessity of curriculum differentiation, but they were negative to a general evaluation of the 7th curriculum. (2) Teachers answered that they have many difficulties to prepare and administrate the class. Especially, they were seemed to have a heavy burden about developing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using them efficiently. (3) Teachers answered that impeding factors in carrying out the curriculum differentiation were overcrowded class, the teacher's overburden for sundry duties and teaching schedule, the lack of teaching-learning materials, the tendency of regimentation in governing a school and the lack of program for teacher's training. The activating plan of the curriculum differentiation is to improve the current conditions of the education that is the overcrowded class, the teacher's overburden etc. It is also required that the study about the effect of the curriculum differentiation through the continuous on-the-spot research.-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내용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제7차 교육과정의 특징 = 6 1. 개정의 기본 방향 및 중점 = 6 2. 중점 개정 내용 = 7 3. 초등학교의 중점 개정 내용 = 8 B. 수준별 교육과정의 특징 = 9 1. 수준별 교육과정의 개념과 유형 = 9 2. 외국의 사례로 본 교육과정 운영상의 개인차 고려 방식 = 12 3. 제7차 교육과정과 수준별 교육과정 = 17 4. 수준별 교육과정과 관련한 쟁점 사항과 발전 과제 검토 = 22 C. 선행 연구 분석 = 31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34 A. 연구 대상 = 34 B. 조사 도구 = 36 C. 조사 방법 = 37 D. 자료 처리 = 37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40 A. 수준별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 40 1. 수준별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수준 = 40 2. 수준별 교육과정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 44 3. 제7차 교육과정에 대한 일반적 평가 = 46 B. 수준별 교육과정의 운영 실태 = 50 1. 개인차 고려에 관한 실태 = 51 2. 수업 준비 및 운영 관련 실태 = 53 3. 학생 변화 관련 실태 = 55 4.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교사의 준비 실태 = 57 C. 수준별 교육과정의 장애요인에 대한 인식 = 65 Ⅴ. 결론 및 제언 = 69 참고문헌 = 77 부록 = 80 부록 1 설문지 = 80 부록 2 예비면담 조사에 참여한 교사의 특성 = 90 부록 3 예비 면담지 구성 내용 = 91 부록 4 예비 면담지 = 92 ABSTRACT = 9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50034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초등학교-
dc.subject제7차 교육과정-
dc.subject현장 적용 실태-
dc.subject교육과정-
dc.title초등학교 제7차 교육과정의 현장 적용 실태에 대한 교사 인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수준별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eacher's Perception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Differentiation at the Primary School-
dc.format.page9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과정전공-
dc.date.awarded2001.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