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3 Download: 0

가정의 위험요인,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및 또래관계의 질이 청소년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Title
가정의 위험요인,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및 또래관계의 질이 청소년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Family Risk Factor, Adolescent's Ego-resilience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 on Adolescent's Problem Behavior
Authors
한현아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소비자인간발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주 목적은 가정의 위험요인,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및 또래관계의 질이 어떠한 경로를 통해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N시에 위치한 중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335명의 남녀 청소년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가정의 위험요인은 김택호(2004)가 개발한 ‘위험사건 생활척도’에서 ‘가족관련 위험’ 영역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은 Block과 Kremen(1996)이 개발한 자아탄력성 척도(ERS)를 번안하여 사용하였고, 또래관계의 질은 Furman과 Buhrmester(1985)가 사용한 NRI(Network of Relationships Inventory) 문항내용을 참고하여 김진경(2002)이 수정·번안한 또래관계의 질 척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청소년의 문제행동은 Achenbach(1993)가 개발한 척도 가운데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에 관한 문항들을 박진경(2001)이 번안한 척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문제의 분석을 위해 변인들 간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단순회귀분석 및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의 통제가능 위험요인과는 달리, 가정의 통제불가능 위험요인이 높을수록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은 낮게 나타났다. 둘째, 가정의 통제가능 위험요인, 통제불가능 위험요인,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가운데,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또래관계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정의 통제가능 위험요인 및 통제불가능 위험요인은 청소년의 또래관계의 질과 유의한 관계가 없었다. 다만, 가정의 통제불가능 위험요인은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을 통해 또래관계의 질에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정의 통제가능 위험요인, 통제불가능 위험요인,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및 또래관계의 질 가운데, 가정의 통제가능 위험요인과 통제불가능 위험요인이 높을수록 청소년의 내재화 문제행동이 높았으며,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또래관계의 질이 높을수록 내재화 문제행동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정의 통제가능 위험요인이 높을수록 청소년의 외현화 문제행동이 높았으며, 청소년의 또래관계의 질이 높을수록 청소년의 외현화 문제행동은 낮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가정의 통제가능 위험요인과는 달리, 가정의 통제불가능 위험요인은 청소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에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또래관계의 질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가정의 위험요인과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및 또래관계의 질이 청소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탐색함으로써 청소년의 긍정적인 성장과 발달을 저해하는 위험요인들을 확인하였다. 또한, 가정의 위험요인이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또래관계의 질을 통해 문제행동에 미치는 간접적 영향력을 살펴봄으로써, 개인의 내·외적 자원인 자아탄력성과 또래관계의 질이 청소년의 문제행동을 예측하는 데 중요한 요인임을 밝혔다는 점에서 학문적, 실용적 의의가 있다.;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family risk factor, adolescent's ego-resilience, quality of peer relationship on adolescent's problem behaviors. The subjects were 335 middle school students living in GyeongGi-Do and completed four kinds of questionnaires regarding family risk factor, adolescent's ego-resilience, quality of peer relationship and adolescent's problem behavior. Family risk factor, adolescent's ego-resilience, quality of peer relationship and adolescent's problem behavior was rated by adolescent themselves. Data were analysed by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simple regress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 First, when uncontrollable family risk factor were higher, adolescent's ego-resilience was low. Second, adolescent's ego-resilience were higher, quality of peer relationship was high. But uncontrollable risk factor of family influenced indirectly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hip through adolescent's ego-resilience. Third, when controllable risk factor of family and uncontrollable risk factor of family were higher, adolescent'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were high. And adolescent's ego-resilience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 were higher, adolescent'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were low. And when controllable risk factor of family were higher, adolescent's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were high, and adolescent's quality of peer relationship were higher, adolescent's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were low. Finally, uncontrollable risk factor of family indirectly influenced on adolescent'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through adolescent's ego-resilience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 This study clearly show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blem behavior and risk factor that impede positive development of adolescent, by searching the route how family risk factor and quality of relationship of peer groups affect adolescent's problem behavio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