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5 Download: 0

결과지식후 지연간격중 간삽활동의 과제성격별 운동학습 효과 검증

Title
결과지식후 지연간격중 간삽활동의 과제성격별 운동학습 효과 검증
Other Titles
(The) Effect of Interpolated Activity during Post-KR Delay Interval on Motor Learning
Authors
백지연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대학원 체육학부 

체육학전공
Keywords
결과지식지연간격간삽활동운동학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이 연구는 결과지식후 지연간격(post-KR delay interval)중의 간삽활동(interpolated activity)이 과제의 성격별로 운동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구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자는 문헌과 선행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결과지식후 지연간격 중의 간삽활동은 분절 과제(discrete task)의 수행과 학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결과지식 후 지연간격 중의 간삽활동은 연속 과제(continuous task)의 수행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학습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 대상은 여대생 자원자 40명으로 이들은 각각 간삽활동의 유무와 과제의 성격에 따라 10명씩 무선 배정되었다. 실험과제는 일정한 거리를 정해진 준거시간(500ms)에 맞추어 동작하도록 하는 타이밍 과제(timing task)였으며, 실험기자재는 연구자가 제작하였다. 본 실험의 실험설계는 습득단계에서는 2(간삽활동의 유무) × 2(과제의 성격) × 10(분단) 반복 요인설계(factorial design with repeated-measures on block)를, 파지단계에서는 2(간삽활동의 유무) × 2(과제의 성격) 요인설계(factorial design)를 하였다. 그리고 종속변인으로 준거시간과 동작시간과의 절대오차(absolute error)(AE)를 측정하였으며, 종속변인의 분석을 위해서 습득단계에서는 반복측정에 의한 삼원변량분석(3-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on the last factor)을, 파지단계에서는 이원변량분석(2-way ANOVA)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 결과 유의하게 나온 부분에 대해서는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1) 습득단계에서 결과지식후 지연간격 중에 간삽활동을 한 집단이 이 간격동안 휴식의 취한 집단보다 수행오차가 크게 나타났다. 2) 습득단계에서 분절과제와 연속과제 모두 시행에 따라 수행오차가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모든 분단에서 연속과제의 수행오차가 분절과제의 수행오차보다 작게 나타났다. 3) 습득단계와 파지단계에서 분절과제의 수행오차가 연속과제의 수행오차보다 크게 나타났다. 4) 파지단계에서 간삽활동의 유무와 과제의 성격간에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분절과제에서 간삽활동을 하지 않은 집단의 수행오차가 가장 컸고, 연속과제에서 간삽활동을 하지 않은 집단의 수행오차가 가장 작았다. 실험 결과 결과지식후 지연간격중의 간삽활동은 분절과제와 연속과제의 수행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이 시기의 간삽활동은 연속과제의 학습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분절과제의 학습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experimentally test the motor learning effects of interpolated activity during the post knowledge of results(KR) delay interval as a function of task(discrete vs. continuous). Forty right-handed volunteer female university students were randomly and equally assigned into four different experimental groups in a 2(interpolated activity) × 2(task type) × 10(trial blocks) factorial design with repeated-measures on the last factor. The experimental task required of subjects was to tap between two buttons with the right hand with goal movement time being 500msec either discretely(discrete task condition) or continuously(continuous task condition) with and without an interpolated activity during 15-sec post-KR delay interva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