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심귀섭-
dc.creator심귀섭-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4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4Z-
dc.date.issued199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668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29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6686-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was set up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the present situation of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hereinafter GSE) which has greatly influenced on the education system in Korea by assuming in-service education to the teachers and then, to suggest materials for a desirable educational environment to enhance the quality of education in a G5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took the followings; First,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researcher reviewed the general object and function of GSE, the present condition of domestic GSE, the concept and the domain of graduate school's educational environment. Second, the concrete research of GSE's educational environment was divided and studied into five sections of (1) teaching-studying activity. (2)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ors and graduate students, (3) curriculum management, (4) the management of educational affairs and the course of getting a degree and (5) the material circumstance for education and study. Third, the researcher surveyed the characteristics of GSE's educational environment with its variant factors and the problem which should be solved preferentially related to the environment. Fourth, on the basis of the above findings, the researcher suggested materials actualize a desirable educational environment for enhancing the quality of GSE. As the Methods for this study, documents and related statistical data were inquired and analysed. Also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to the students of 5 private GSE in Seoul in order to draw the distinctive feature of the GSE's educational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nnected with teacher's training institutions, a GSE is carrying out reeducation and continuous education toward the incumbent teachers, the training function for higher education professionals and preservice education for teachers. Second, in the GSE's curriculum, the drawing up of major subjects are managed without any distinction to an ordinary graduate school. Third, it is revealed that the graduate students' leading motives of entrance into a GSE is their interest in a major field of study and needs for the new knowledge of student education. Fourth, it is indicated that the educational graduate students in Korea have generally positive perception of the teaching-studying activity, the management of educational affairs, and the course of taking a degree, while they have negative sense of the material condition to manage curriculums and study. Fifth, it shows that it is the woman graduate student, the young students, and the full-time students without any occupation who are not more satisfied with a GSE's educational environment Finally, the students of a GSE indicate that the urgentest problem to be settle for improvement of a GSE's educational environment is, in turn, to diversify and deepen the curriculum, to secure and improve the supporting facilities of education & research, and to assure the full-time professoriate. In conclusion, on the basis of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as follows: First, the curriculum should be reorganized to make a GSE establish its own natural shape. The subject for the teaching profession has to be reorganized to include all the basic principles and methods of education, and the major subject, to intensify the substance of the course of study. Second, it's desirable to set up the linkage of curriculums between a teacher's college & a graduate school and the cooperative system for both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Third, the principal subjects of lectures, studies and theses should be selected to be helpful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education on the spot. Fourth, in relation to the assurance of the material conditions such as an exclusive space and facilities for graduate students' study, an improvement in a long and a short terms should be required. Fifth, the members of a GSE including professors, students and school personnels will periodically evaluat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the school, and make the results of this evaluation be useful for improving the environment.;본 연구는 현직교원에 대한 계속교육을 담당하여 우리나라의 교육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교육대학원의 특성과 현황을 분석해보고 교육대학원 교육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바람직한 교육환경을 조성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인 배경으로서 교육대학원의 목적과 기능, 우리나라 교육대학원의 현황, 교육대학원 교육환경의 개념 및 영역을 고찰하였다. 둘째, 교육대학원의 교육환경에 대한 구체적인 조사는 (1) 교수-학습활동, (2) 교수-원생간의 인간관계, (3) 교과과정 운영, (4) 학사운영 및 학위취득과정, (5) 교육·연구를 위한 물질적 여건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세째, 교육대학원 교육환경과 관련하여 가장 우선적으로 해결되어야 할 문제 및 변인별 교육대학원 교육환경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네째, 이상을 토대로 교육대학원 교육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바람직한 교육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자료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문헌조사 및 관련 통계자료의 분석과 교육대학원의 교육환경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시내 5개 사립 교육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이 시행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학원은 교원양성기관과 연계성을 가지고 교원을 대상으로 재교육, 계속교육과 교사양성 및 교직에서의 고급전문인력 양성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둘째, 교육대학원의 전공과목 편성과 운영이 일반대학원과 구분되는 뚜렷한 차이 없이 운영되고 있다. 세째, 교육대학원생들의 주된 진학 동기는 전공분야에 대한 관심과 학생교육을 위한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기 위한 것으로 나타났다. 네째, 우리나라 사립 교육대학원생들은 교육대학원의 교육환경 중에서 교수-학습활동영역과 학사관리 및 학위취득과정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있는 반면, 교과과정 운영 및 연구를 위한 물질적 여건의 영역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전반적으로 여자 대학원생, 연령이 낮은 대학원생, 별도의 직업이 없는 종일제 대학원생이 교육대학원의 교육환경에 대해 더욱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육대학원생들은 교육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가장 우선적으로 해결되어야 할 문제로 교과과정의 다양화 및 심화, 교육·연구지원 시설의 확보와 개선, 전임교수진의 확보 순으로 지적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한다. 첫째, 교직과목은 모든 교육의 기본원리와 방법을 포함하도록 재편성하고, 전공과목에 대해서는 교과교육의 내용을 강화하는 등 교과과정을 재편성하여 교육대학원의 정체성을 정립한다. 둘째, 사범대학 및 일반대학원과 교육과정의 연계성, 인적·물적 자원활용을 위한 협동체제를 마련한다. 세째, 교육대학원의 강의, 연구, 논문 등의 주제는 학교현장의 교육의 질을 향상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선정되어야 한다. 네째, 교육대학원생을 위한 전용 연구공간 및 편의시설의 확보등 물질적 여건과 관련하여 장·단기적인 안목에서의 개선이 필요하다. 다섯째, 교육대학원의 구성원인 교수, 학생, 교직원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교육대학원의 교육환경 평가를 정기적으로 실시하며, 평가결과가 교육환경을 개선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B. 연구내용 = 2 C. 연구방법 = 3 D. 연구의 제한점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교육대학원의 목적과 기능 = 4 B. 교육대학원의 현황 = 9 C. 교육대학원의 교육환경 = 19 Ⅲ. 연구의 방법 = 24 A. 연구의 대상 = 24 B. 조사도구 = 24 C. 통계자료 처리 = 26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28 A. 조사대상 집단의 특성 = 28 B. 진학동기 및 수강신청 기준 = 30 C. 전반적인 교육환경에 대한 분석 = 33 D. 교육환경 영역간 상관 = 36 E. 교육환경에 대한 변인별 반응 = 37 F. 교육환경 문제에 대한 반응 = 43 Ⅴ. 요약 및 결론 = 48 A. 요약 = 48 B. 결론 = 50 참고문헌 = 53 부록 = 56 ABSTRACT = 6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4507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교육행정-
dc.subject교육대학원-
dc.subject교육환경-
dc.subject사립 교육대학원생-
dc.title교육대학원의 교육환경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사립 교육대학원생들의 의견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 THROUGH THE OPINION OF GRADUATE STUDENTS-
dc.format.pagevii, 6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교육행정분야-
dc.date.awarded1993.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