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도연-
dc.creator김도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3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3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2667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28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6676-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understand the stress of adolescents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personality variables(instrumentality, expressiveness), envioronment resource(family support) and coping response on depression related with stress.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530 high school boys and girls in 4 schools in Seoul by survey. The measurement scales used were from PAQ(Personal Attributes Questionnare), FES(Family Environment Scale), The Coping Check1 ist and CES-D (the Center f o r Epidemicologic StudiesDepression Scale). For data processing, Frequency analysis, χ^(2), two-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 on Analysis Here used with SPSS PC^(+). The results from this research read as follows: 1. The types of stress which were reported by high school students were in the order of studies problem(26.1%), family problem(24.9%), and friend problem(18.6%). 2. Adolescents in the group of higher rank in instrumentality level cognize less depression compared to lower rank group regardless; of the stress conditions. Stress buffering effect of Instrumentality proved meaningful. That is as instrumentality increased, the positive relation between negative events and depression weakened. 3. The analysis revealed the main effect of significant family support. The higher they perceived family support the less they felt depression. 4. With regards to the coping responses, depression decreased with problem-focused coping, whereas depression increased with emotion-focused coping. 5. Regression was used to evaluate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instrumentality, expressiveness, family support, perceived stress and coping. The variables explained 24 percent of the total variance of depression. According to the Beta, instrumentality, family surpport and problem-focused coping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psycholgical symptom, Whereas perceived stress and emotion-focused coping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however, expressiveness itself had no influence. As the result of th s research, we may suggest that when we provide programs emphasizing the reinforcement of instrumentality and adative patterns of coping, and when adolescents are supported by family, then they can remain healthy under life stress.;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스트레스의 본질을 이해하고, 성격 변인으로서의 도구성과 표현성, 환경 자원으로서의 가족지지와 함께 대처가 스트레스와 연관된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본 연구의 자료는 서울 소재 4개 고등학교 학생 53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수집되었다. 검사 도구는 PAQ(Personal Attributes Qestionnaire), FES(Family Environment Scale), The Coping Checklist 와 CES-D(the Center for Epidemic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를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 PC^(+) 빈도 분석, 카이 검증,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온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 결과 우리나라의 고등학생들은 학업문제, 가정 문제, 친구 문제 순으로 스트레스를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도구성 수준이 높은 집단은 도구성 수준이 낮은 집단보다 우울을 낮게 지각하였으며, 특히 도구성의 스트레스 완충효과가 나타났다. 즉, 스트레스의 지각 정도가 증가한다면 도구성이 낮은 집단은 현저한 우울 수준의 증가를 보이는데 비해서 도구성이 높은 집단은 우울 수준의 증가를 별로 보이지 않는다. 3. 스트레스 상황에서 가족지지의 우울에 대한 주효과가 유의미했다. 즉, 가족지지가 높은 집단은 가족지지 수준이 낮은 집단보다 우울을 낮게 지각하였다. 4. 대처 방식이 우울과 어떤 관계를 갖는지 살펴보면, 문제 지향 대처가 증가할수록 더 적은 우울을 보이며, 정서 지향 대처가 증가할수록 우울이 높게 나타났다. 5. 심리적 부적응(우울)에 대한 성격 변인, 가족지지, 스트레스 정도와 대처의 상대적 기여도를 알아본 결과, 변인들이 우울을 설명하는 비율은 전체 변량의 24%였다. B 계수를 고려해보면, 도구성, 가족지지, 문제 지향 대처는 우울과 부적인 관계가 있으며 스트레스 정도와 정서지향 대처는 우울과 정적인 관계가 있다. 그러나 표현성 변인는 우울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지 못했다 본 연구 결과 개인의 도구적 특징을 증진시키며 적응적인 대처 방식을 강조하는 훈련 프로그램과 가족지지를 통해서 스트레스 상황에서도 청소년들의 심리적 적응을 도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5 A. 성격 변인으로서의 도구성 = 5 B. 가족 지지 = 8 C. 대처 방식 = 11 D. 우울 = 15 Ⅲ. 연구 방법 = 17 A. 연구 대상 = 17 B. 측정 도구 = 18 C. 자료 처리 = 22 Ⅳ. 연구 결과 = 23 A. 스트레스 유형 = 23 B. 도구성의 스트레스 완충 효과 = 26 C. 가족 지지의 스트레스 완충 효과 = 28 D. 대처와 우울과의 관계 = 29 E. 매개 변인들과 우울과의 상호관계 = 31 Ⅴ. 결론 및 논의 = 33 참고문헌 = 40 부록 = 47 ABSTRACT = 5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6948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교육심리-
dc.title성격특성, 가족지지 및 대처 방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고교생의 스트레스를 중심으로-
dc.format.pagevi, 5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심리학과-
dc.date.awarded199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