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金慶男-
dc.creator金慶男-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2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2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556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27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5566-
dc.description.abstractRace has been classified in physiological, pathological, psycholog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body for a long time. Achieving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al rights and interests has become important national goals in capitalistic society, and genetic characteristics between races began to be abused. The case of blacks in America is a typical example, and they lived a special life as slaves based on genetic inferiority. Even after they were freed from slavery, racial discrimination has been maintained by the white people thinking they are superior. With the civil rights movements by the blacks, the participation of the whole black for escaping unfair status continued. In the 20th century, discriminating blacks appeared even in modern d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black-discriminating views in modern dance by studying racial discrimination toward black modern dancers in American modem dance. Accordingly, this thesis examined the concept of racialism and the political, social, economical status of American blacks in estimating black's modern dance. Also, race-discriminating stereotypes of the late 19th century's Minstrel affecting black modern dance were studied. The Following, I examined the definitions of black dance in the view of white theorists to extract discriminating factors from American modern dance, and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black modern dance discriminated by the white theorists. Black modern dancers attempted activities to overcome discriminating views by the white. The pioneers of black modern dance, Katherine Dunham, Pearl Primus, and their successors, Talley Beatty, Donald Mckayle, and Alvin Ailey made black modern dance recognized as a mainstream of serious art styles, and claimed a protest dance by working on the repressed lives of the black with the philosophy of modern dance haying social, moral, and protesting function. I studied antiracialism views against discriminating black people through the analysis of Alvin Ailey one of whom tried to overcome discrimination appearing in American modern dance. Ailey activated protest dance by informing the repressed lives of the black, and offered the various roles and images of black dancers. Through this, he suggested a positive direction toward the establishment of the blacks identity, and contributed to the acknowledgements of black dance and its artistic value. By adapting black culture to modern dance, this attempt can be seen as the reflection of a historical process where black people's consciousness is being developed, and that is why his recognition on the value of the black and their art is highly evaluted. Black-discriminating views in today's dance and other fields are being strongly challeged. However, there is a trend that the white people in a Dance field thinking of their superiorty still see relationship between the white and black as domination and subordination, and superiority and inferoirity. I think there should be a lot of work to define the history and value of black modern dancers based on right recognition on the black and their modern dance, and t believe this study will help understand black modern dance and American modern dance and suggest a direction to find things in common between the two.;인종(Race)은 오랜 세월동안 신체의 형태적인 특징과 함께 생리적, 병리적, 심리적, 생화학적 특징으로 분류되어 왔다. 자본주의 사회가 도래하면서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이권의 획득이 중요한 국가적 목표가 되었고 인종 간의 유전학적 특징은 그 목표를 위해 악용되기 시작했다. 미국의 흑인에 대한 경우가 대표적인 예로써 이들은 유전학적 열등함을 근거로 노예라는 특수한 삶을 살아왔다. 노예생활에서 해방된 후에도 뿌리깊은 인종차별은 백인우월주의자들에 의해 유지되어 왔다. 이에 지각있는 흑인들의 움직임이 흑인민권운동으로 전개되면서 불평등한 지위에서의 도약을 위한 전 흑인들의 참여가 계속되었다. 20세기에 들어오면서 흑인에 대한 인종차별은 현대무용계 안에서도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에 본 논문은 미국현대무용계에서 흑인현대무용가에게 가해진 인종차별을 연구함으로써 현대무용에서의 흑인차별적 시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미국현대무용계에서 흑인들의 현대무용을 평가하는데 있어 하나의 이론적 배경이 된 인종주의에 대한 개념과 미국 흑인의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지위에 대해 살펴보고 19세기 말엽에 등장한 백인연예단(Minstrels)의 활동이 흑인현대무용에 미친 인종차별적 정형(stereotype)에 대해 연구해 보았다. 다음으로, 미국현대무용계에서 흑인현대무용에 대한 차별적 요소를 추출해 내기 위하여 백인이론가들의 관점에서 본 흑인무용의 정의를 살펴보고, 백인이론가들의 주장으로 인해 차별화된 흑인현대무용의 특징들을 연구해 보았다. 흑인현대 무용가들은 이러한 백인무용계의 흑인차별적 시각을 극복하기 위한 활동을 시도한다. 흑인현대무용의 선구자인 캐더린 던햄(Katherine Dunham), 펄 프리머스 (Pearl Primus)와 텔리 비티(Talley Beatty), 도널드 맥케일(Donald Mckayle), 앨 빈 에일리(Alvin Ailey) 등의 계승자들은 인종차별을 극복하기 위해 흑인현대무용을 진지한 예술 양식의 주류로 인정받게 하였고, 사회적, 도덕적 항의 기능을 갖는 현대무용의 철학을 매개체로 하여 흑인들의 억압받는 삶을 작품화함으로써 저항무용(protest dance) 성격을 표방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미국현대무용계에 나타난 흑인차별적 요소를 극복해내려는 흑인무용가 중에서, 그 성향을 뚜렷이 선보인 앨빈 에일리의 작품 분석을 통해 흑인차별에 대항하는 반인종차별적 관점을 연구하였다. 에일리는 작품 속에서 흑인들의 억압받는 삶을 사실적으로 고발함으로써 저항무용을 활성화시켰고, 흑인무용수들의 역할과 이미지를 다양하게 제공하였다. 이를 통해서 흑인들의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긍정적인 방향을 제시해 주었고 흑인문화를 현대무용과 접목시킴으로써 흑인현대무용의 예술성을 인정받도록 공헌하였다. 이러한 노력은 흑인들의 의식이 발전해가는 역사적 과정의 반영으로 볼 수 있을 뿐아니라 그가 지닌 흑인의 가치와 예술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 평가하게 되는 이유이다. 오늘 날의 무용계와 그 밖의 분야에서 흑인차별적 시각은 크게 도전받고 있다. 그러나 무용계내 백인우월주의자들은 여전히 백인과 흑인의 관계를 지배와 종속, 우월과 열등의 관계로 보려는 경향이 두드러진다. 이럴 때일수록 흑인과 흑인현대무용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토대로 백인 중심의 무용계에서 잊혀져가는 흑인현대무용가들의 역사와 가치를 밝히려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며 본 연구가 흑인현대무용과 미국현대무용 간의 이해를 돕고 공통점을 찾아나서는 앞으로의 연구에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표목차 = ⅴ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및 의의 = 1 B. 연구의 방법 및 범위 = 3 Ⅱ. 인종주의 개념에 비추어 본 미국 흑인의 정형성 = 4 A. 인종주의 개념에 대한 일반적 이해 = 4 B. 미국 흑인의 지위 = 12 1. 정치적 지위 = 13 2. 사회적 지위 = 15 3. 경제적 지위 = 19 C. 백인연예단(Minstrels)에 의한 흑인무용의 정형화 = 22 Ⅲ. 미국 현대무용계에 나타난 흑인차별적 시각과 그 극복 시도 = 38 A. 흑인무용의 정의에 대한 접근 = 38 1. 흑인무용과 흑인의 동격화 = 39 2. '흑인무용'의 정의에 대한 역사적 배경과 그 영향 = 43 3. 흑인무용의 정의에 대한 새로운 시도 = 46 B. 백인이론가에 의한 흑인현대무용의 분리 양상 = 49 C. 인종차별 극복을 위한 흑인현대무용가들의 활동 = 61 Ⅳ. 앨빈 에일리(Alvin Ailey)의 작품에 나타난 반인종차별주의 = 78 A. 앨빈 에일리의 작품세계 = 78 B. 앨빈 에일리의 대표 작품 분석 = 89 1. <블루스 조곡 Blues Suite, 1958> = 89 2. <계시 Revelation, 1960> = 96 3. <절규 Cry, 1971> = 101 C. 대표 작품을 통해 본 반인종차별적 관점 = 106 Ⅴ. 결론 = 113 참고문헌 = 117 ABSTRACT = 12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61366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미국 현대무용계-
dc.subject흑인차별-
dc.subjectAlvin Ailey-
dc.title미국 현대무용계에 나타난 흑인차별적 시각과 그 극복 움직임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Alvin Ailey의 작품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f Black-Discriminating Views and its overcome movement in American Modern Dance : focuse on choreography of Alvin Ailey-
dc.format.pagevii, 126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학과-
dc.date.awarded199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