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8 Download: 0

장의존성/독립성과 자아개념 및 사회적 동기와의 관계

Title
장의존성/독립성과 자아개념 및 사회적 동기와의 관계
Other Titles
(A) STUDY ON SELF ESTEEM AND SOCIAL MOTIVES IN RELATION TO FIELD-DEPENDENCE AND FIELD-INDEPENDENCE
Authors
이승희
Issue Date
199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심리학과
Keywords
의존성독립성자아개념사회적 동기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nect the cognitive style-field dependence and field independence- with the levels of self esteem and two types of social motives-need for achievement, fear for failure, need for affiliation, and fear for rejection. The subjects were 556 female college students in the class of Adolescence Psychology, and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Group Embedded Figures Test (Chang & Chun, 1980). Among those who had the GEFT, only 105 students of first grade who were classified in field dependent and field independent were assigned to the study #1, and tested by the Measures of Motives(Cha, l984) and the Measures of Self Esteem(Chung, 19??). In study 2,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conformity in self esteem, cognitive styles and motives, subjects were tested on their attitude change toward thd possibility of genuine friendship between men and women. In this experiment, subjects were given the opposite state of opinion to their beforementioned opinions of about the problem, and listened to the tapes of dialogue of male students in opposite opinions. The results of overall 80 subjects(40 field dependent/ 40 field independent) were analyzed, except 25 subjects who had the trouble in the procedure or were not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study #1,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 esteem between field depdendent arid field independent group, but the mean scores of th former group were slightly higher than those of the latter. Second, in fear of rejection scale, field dependent group had the higher scores than field independent group and amohg those who had relatively low scores in self esteem in field dependent group had lower scores. Third, in fear for rejection scale, those who had relatively low self esteem scores in field dependent group had higher scores than those who had relatively high self esteem scores in the same group ; and that group had lower affiliation mean score than this. Fourth, in study #2, the changes of attitudes were greater when fear for rejection scares were greater ; so, fear for rejection had main effect on the change of attitude. Fifth, field dependence-independence and the level of self esteem had not much significant effect on the attitude change. On the problem or an attitude, opinion or something that has to do with certain values, the experience of some similar situation with the problem, and the attitude before they had had. When there are the experience of similar problem, further belief that the presented information is true, and more unstable attitude which they had had, the attitude changes were greater.;본 연구는 장의존/장독립적인 인지양식을 자아개념과 친애/성취동기의 수준에 연관시켜 보고, 태도 변화에 있어서 이들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E 대학교 교양청년심리 수강생 431명 중 '집단잠입도형검사'(장 혁표, 전윤식,1980)를 실시하여 분류한 장의존적인 학생 40명과 장독립적인 학생40명이다. 1차 연구에서 이들에게 자아개념검사(정 원식,1989)와 동기진담검사 (차 재호,1984)를 실시하였으며, 1주일 후에 있은 2차 연구에서 동기진단검사를 재실시하고, 태도의 변화량을 측정하였다. 연구 1은 자아개념 점수의 상/하위 2수준과 장의존성/독립성의 2가지 인지양식유형을 독립변인으로 놓고 동기의 수준을 보는 조사연구이다. 결과는 요인변량 분석을 하였으며, 각 수준별 차이의 확인을 위하여 t-test를 하였다. 연구 2는 자아개념 점수의 상/하위 2수준과 인지양식의 2가지 유형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피험자의 의견에 반대되는 자료를 제시한 후 자료제시 전과 제시 후의 태도변화량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요인변량분석을 하였다. 또한 각 수준별 차이의 확인을 위하여t-test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1에서 장독립적인 집단과 장의존적인 집단간에 자아개념 점수의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장의존적 집단이 조금 높았다. 2. 성취동기에서 인지양식의 주효과[ F(1,76)=7.35, p<.01]가 나타났고, 인지양식과 자아개념의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F(1,76)=5.50, p<.05]. 장의존적인 집단이 장독립적인 집단보다 실패회피 경향성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으며, 장독립적인 집단 내에서 자아개념 점수가 높은 집단보다 상대적으로 자아개념 점수가 낮은 집단에서 더욱 낮은 실패회피 경향성을 보였다. 3. 친애동기 척도에서, 장의존적인 집단내에서 자아개념 점수의 수준이 낮은 집단은 자아개념 점수가 높은 집단보다 배척민감성의 수준이 높았으며 [ F(1,76)=7.35 p<.01], 친애경항성의 수준은 낮았다[ T(38)=2.0612, p<.05]. 이는 자아개념 점수의 수준과 인지양식의 상호작용에 의한 결과이다. 4. 연구 2에서 태도의 변화량에 있어서 장의존성/독립성과 자아개념점수의 수준, 그리고 이들의 상호작용은 유의한 차이를 유발시키지 않았다. 5. 태도의 변화량에 대하여 성공추구 경향성과 배척민감성의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으며 [ F(I,71)=5.86, p<.05], 배척민감성이 높을 수록 태도의 변화량이 컸다. 6. 가치의 문제에 있어서, 그에 대한 태도변화는 그 가치와의 관련된 경험의 유무에 의해 영향을 받게되며 [ F(1,62)=5.17, p<.05], 그러한 관련경험의 유무와 반대되는 의견제시 이전에 지녔던 태도는 자료에 대한 신뢰성과 각각 상호작용을 하며[ F(2,62)=3.62, p<0.5 ; F(2,62) ], 관련경험이 없을수록, 자료를 믿을만한 것이라고 판단할 수록 더 많은 태도변화를 보였으며, 자료제시 이전의 태도가 확고할 수록 적은 영향을 주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