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1 Download: 0

취업모의 직업관련 특성, 탁아기관의 질 및 심리적 안정감이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Title
취업모의 직업관련 특성, 탁아기관의 질 및 심리적 안정감이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Authors
임미리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Keywords
취업모직업특성탁아기관심리적 안정감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working mother's job characteristics, day care qua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the maternal childrearing behaviors. For thi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ing mother's job characteristics and day care qua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as examined.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job characteristics, day care quality, psychological well-being, and maternal childrearing behavior was examined. Finally,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job characteristics a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ay care quality a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 were mediated by mo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examin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2 working mothers who have enrolled their kids in a day care center for more than 6 months. Data were gathered using questionaires on mother's job characteristics, day care quality, psychological well-being, and childrearing behaviors responsed by mothers, Data were analysed by one-way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test, regression, and path analysis, and reliability was based on Cronbach's alpha value.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1, Higher pay, professional job, self-challenging job, 8-10 working hours plus commuting hours, supportive work place policies on childrearing, and husbands support resulted in higher job satisfaction. Supportive work place policies on childrearing, and husbands support resulted in higher maternal parenting satisfaction. Husband's support and 8-10 working hours plus commuting hours resulted in higher day care satisfaction. In addition, higher day care quality resulted in higher job satisfaction, parenting satisfaction, and day care satisfaction. 2. Maternal childrearing behavior differs according to the working mother's job characteristics. Husbands support and flexibility in working hours resulted in reasonable guidance, and work place policies on childrearing and husbands support resulted in warm and active involvement. In contrast, the effect of mother's job characteristics on maternal authoritative and over protective childrearing behavior did not show any significance. In addition, higher day care quality resulted in maternal reasonable guidance and warm and active involvment, but didn't result in authoritative and overprotective childrearing behavior. And higher psychological well-being resulted in more reasonable guidance, warm and active involvment and less authoritative and overprotective childrearing behavior. 3. Psychological well-being completely mediated husband's support- which is one of the job characteristics-and mother's reasonable guidance, and completely mediated husband's support and mother's warm and active involvement. Psychological well-being also completely mediated day care quality and reasonable guidance, and also day care quality and warm and active involvement. Considering the job and day care environment surrounding working mothers, this study examined the working mother's childrearing behavior according to each environments. This study showed that psychological well-being is important in mediating these environments and childrearing behavior, and showed that working mo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is important in understanding childrearing behavior.;본 연구는 취업모의 직업관련 특성, 탁아기관의 질 및 심리적 안녕감이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첫째, 취업모의 직업관련 특성과 탁아기관의 질이 심리적 안녕감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았고, 둘째, 취업모의 직업관련 특성, 탁아기관의 질 및 심리적 안녕감은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밝혀보았다. 또한 마지막으로, 취업모의 직업관련 특성 및 탁아기관의 질과 어머니의 양육행동과의 관계는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에 의해서 매개되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자녀를 6개월 이상 어린이 집에 위탁한 취업모 202명이었다. 연구에서 사용한 취업모의 직업관련 특성은 연구자가 구성하였으며, 취업모의 심리적 안녕감에 해당되는 직업만족도 척도는 황현주(1993)의 연구에서 발췌하여 수정한 후 사용하였고, 부모역할만족도 척도는 현온강·조복희(1994)가 개발한 척도에서 발췌하였으며, 탁아만족도는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연구자가 고안하였다. 탁아기관의 질은 김교연(1994)의 척도를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양육행동 척도는 박성연·이숙(1990)의 척도에서 발췌하여 수정한 후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빈도분석, t-test, 일원분산분석, Duncan의 사후검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 및 경로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Cronbach's α 값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모의 직업관련 특성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어머니의 직업만족도는 월급이 많을수록, 경영관리직, 전문직에 종사하는 경우에,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기 위해서 취업한 경우에, 근무시간 및 출퇴근시간이 8시간~10시간에 해당되는 경우에, 육아와 관련된 직장의 복지수준이 좋을수록, 부인의 직업에 대한 남편의 지지정도가 높을수록 직업만족도가 높았다. 부모역할 만족도는 육아와 관련된 직장복지여건이 좋을수록, 남편이 부인의 직업에 대해 지지할수록 어머니는 자신의 부모역할에 더 만족하였다. 탁아만족도는 남편의 지지도가 높을수록, 근무시간 및 출퇴근시간이 8시간 이상~10시간 미만에 해당되는 경우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전반적인 탁아기관의 질과 취업모의 심리적 안녕감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탁아기관의 질과 심리적 안녕감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즉 탁아기관의 전반적인 질적 수준이 높을수록 직업만족도, 부모역할 만족도, 탁아만족도는 높았다.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물리적 환경과 건강과 안전 영역은 직업만족도, 탁아만족도와, 교육과정, 교사의 자질 및 아동과의 관계, 부모와의 협력관계 영역은 심리적 안녕감 제영역과 유의한 정적상관을 나타내었다. 둘째, 취업모의 직업관련 특성에 따른 어머니 양육행동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직장생활에 대한 남편의 지지도가 높을수록, 근무시간 융통성이 많을수록 어머니의 합리적 지도가 많이 나타났으며, 육아와 관련된 직장의 복지여건이 좋을수록, 남편의 지지도가 높을수록 어머니는 애정·적극적 참여를 많이 보였다. 반면에 직업관련 특성에 따른 어머니의 권위·과보호적인 양육행동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한편, 탁아기관의 질과 어머니의 양육행동간의 관계를 분석을 한 결과, 전반적인 탁아기관의 질과 어머니의 양육행동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하위 영역별로 보면 '교육과정'의 수준이 높을수록 합리적 지도와 애정·적극적 참여는 증가하였고, '교사의 자질 및 아동과의 관계', '부모와의 협력관계'의 수준이 높을수록 어머니는 합리적 지도, 애정·적극적 참여를 많이 보였고, 권위·과보호를 적게 보였다.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과 양육행동간에도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전반적인 심리적 안녕감 점수와 합리적 지도, 애정·적극적 참여간에는 정적 상관을 권위·과보호간에는 부적 상관을 보여, 심리적 안녕감이 높을수록 어머니의 합리적 지도와 애정·적극적 참여는 증가하였고, 권위·과보호는 감소하였다.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 제변인은 어머니의 합리적 지도, 애정·적극적 참여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고, 권위·과보호는 부모역할만족도, 탁아만족도간에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전반적인 심리적 안녕감이 직업관련 특성과 어머니의 양육행동, 탁아기관의 질과 어머니의 양육행동간에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분석해 본 결과, 심리적 안녕감은 직업관련 특성 중에서도 남편의 지지도와 어머니의 합리적 지도간의 관계와, 남편의 지지도와 어머니의 애정· 적극적 참여간의 관계에서 완전한 매개역할을 하였다. 탁아기관의 질과 어머니의 양육행동과의 관계에서도 심리적 안녕감은 탁아기관의 질과 합리적 지도간의 관계와, 탁아기관의 질과 애정·적극적 참여간에 완전한 매개역할을 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취업모의 직업관련 특성, 탁아기관의 질, 심리적 안녕감은 서로 밀접한 관계를 맺으면서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심리적 안녕감은 직업관련 특성과 양육행동간의 관계와, 탁아기관의 질과 양육행동간의 관계에서 완전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취업모를 둘러싼 직업환경과 탁아환경을 함께 고려하여 환경과의 관계속에서 취업모의 양육행동을 살펴보고, 취업모를 둘러싼 환경과 양육행동과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인으로서 심리적 안녕감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취업모의 심리적 특성이 양육행동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요인임을 밝혔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