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7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한소영-
dc.creator한소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58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58Z-
dc.date.issued199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665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24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6657-
dc.description.abstract1980년대 이후의 한국무용계는 '전환의 시대'로 자리잡으면서 전통무용과 신무용적 특성을 점진적으로 배제하거나 개량해 나가는 새로운 쟝르의 춤이 대두되기 시작하였고 86아시안게임과 88올림픽의 국제적인 교류와 다매채를 통해 서구의 새로운 기법들이 도입되기 시작하였다. 1960년대 이후 서구의 포스트 모더니즘(post-modernism)이 형성되었던 당시 상황과 비슷한 현상들이 우리나라 무용계에서도 나타나면서 일부 안무가들의 작품 속에서 포스트 모더니즘적 표현양상을 찾아 볼 수가 있다. 포스트 모더니즘은 20세기 초 모더니즘 사상이 그 한계와 함께 변형적 발전의 변화에 의한 붕괴과정으로서 새롭게 등장한 일종의 현대 후기의 시대사조로서 모더니즘의 기본입장을 계승 발전시키는 문화적 복고주의 성향과 모더니즘의 대중성 결핍을 극복하고자 하는 문화적 대중주의 그리고 모든 구분과 경계를 없애는 탈 장르적인 성향을 내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예술적 차편에서의 문화적 성향은 무용계에서도 예외는 아니었다. 엄격한 형식과 논리적인 정형성 무용이 되어버린 현대무용(Modern dance)에 대해 새로운 대응책이 요구되어지면서 포스트 모던 댄스(Post-modem dance)라는 새로운 기법을 추구하는 움직임이 일어났다. 본 연구의 목적은 1980년대 이후 공연되어진 한국무용작품에 있어서의 포스트 모더니즘 표현양상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포스트 모더니즘의 본질과 발전과정을 보다 명확하게 규명하고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제 I장 서론에서는 연구의 동기 및 목적과 연구의 범위와 방법을 제시하며, 제 II장에서는 포스트 모더니즘의 발생면에 촛점을 맞추어 이론적 배경과 개념 및 특성 그리고 포스트 모던 댄스의 형성과 전개과정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포스트 모던 댄스의 전개과정은 먼저, 1950∼1960년의 형성기반을 마련한 머스 커닝햄(Merce Cunningham)과 둘째, 1960∼1970년의 포스트 모던 댄스의 중추적 역할을 한 저드슨 그룹(Judson Group), 셋째, 1970년 이후 다양한 스타일로 등장하는 트와일라 샤프(Twyla Tharp)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한국의 포스트 모던 댄스에 관하여 살펴보기 위해 한국무용의 전개과정인 1920년대∼1950년대 신무용기와 둘째, 창작의 꽃을 피운 1960년대∼1970년대 셋째, 한국무용의 전성기인 1980년대 이후로 나눠 살펴보았다. 제 III장에서는 한국무용에 나타난 포스트 모더니즘적 표현양상을 세 가지 측면-주제적인 면, 움직임 면, 표현양식적인 면-으로 분류하여 살펴봄으로써 이러한 표현양상을 수용하는데에 있어서 발생하는 문제점까지도 고찰해 보았다. 제 4장은 결론으로서 앞에서 지적한 문제점에 수행되어져야 할 4가지 과제를 제시하면서 한국무용에 이미 수용되어진 포스트 모더니즘을 우리의 것으로 토착화시키고 우리시대에 살아 숨쉬는 미학으로 발전시켜야 한다는 것에 대해 제언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atters of characteristics, development, appropriation and transformatons of post-modern dance in Korean dance. In this perspective, the works of Korean dance performed over the past 10 years were analyzed in terms of expressive aspect in dance. Since 1980s, a new pattern's of dance movement, which were ruled out and developed the traditional dance and Neue Tanz(New dance), were slowly and steadily tried out to performed in the stage. It seemed that this kind of movement reflected the aspect and techniques of Western modem dance. In Chapter Ⅱ, the origin and historical development of Post-modern dance were reviewed, focusing the works of MCunningham, Judson Group, T.Tharp, as a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Especially,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Korean dance were reviewed through the various literatures for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Post-modern aspect of Korean dance: 1) Neue Tanz stage(1920-1950), 2) Creative Stage(1960-1970), 3) Development Stage(1980-Now). The folling characteristics from the three categories were found out as a result of the Post-modem aspect in Korean dance: 1) Aspect of Theme: The following themes such as dehumanization of social situation or inner aspects of human-being were generally expressed in various works since 1980s. It was focused the directions on democratic society and on the well-being society. 2) Aspect of Movement Pattern : It seemed that aggressive and rush movement pattern were found rather than round style movement pattern 3) Aspect of Expressive Technique: Various techniques from science and technology were adopted in the filed of dance. It seemed that the gap among each arts genre were gradually broken out as a rflection of mass-culture. In conclusion, it seemed that there are various post-modern tendency in Korean dance. However, it was suggested that post-modern dance in Korean dance should face up the following implications when Korean dance appropriate and creatively develop the Western post-modern dance: 1) Dance educators and choreographer should build up own their identities from ow traditional background for creating post-modem dance in Korean dance. 2) Quite understanding and attitude about the quality of movement were required for developing post-modem dance. 3) It was requested that expressive techniques in post-modern dance should appropriate in our own style. 4) To develop the post-modern dance in Korean dance, polices and supports concerning dance from government were needed positivel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A. 연구의 동기 및 목적 = 1 B. 연구의 범위와 방법 = 3 Ⅱ. 포스트 모더니즘(post-modernism)의 본질 = 4 A. 포스트 모더니즘의 이론적 배경 = 4 B. 포스트 모더니즘의 개념 및 특성 = 9 C. 포스트 모던 댄스(Post-moden dacne)의 형성과정과 전개과정 = 17 D. 한국무용의 전개과정 = 28 Ⅲ. 한국무용작품에 나타난 포스트 모더니즘적 표현양상 - 1980년 이후 = 38 A. 주제를 통한 포스트 모더니즘 = 38 B. 움직임을 통한 포스트 모더니즘 = 46 C. 표현양식을 통한 포스트 모더니즘 = 55 D. 한국무용의 포스트 모더니즘 수용에서 나타난 문제점 = 61 Ⅳ. 결론 = 68 참고문헌 = 72 ABSTRACT = 8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90719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포스트모더니즘-
dc.subject현대무용-
dc.subject무용-
dc.title한국무용의 포스트 모더니즘 수용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표현양상을 중심으로-
dc.format.pagev, 6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학과-
dc.date.awarded199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