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柳吉子-
dc.creator柳吉子-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58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58Z-
dc.date.issued198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506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24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5069-
dc.description.abstract이 硏究의 目的은 中學校 新入生의 學業成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變因들간의 關係를 分析하여 學業成就를 豫言해 주는 要因을 밝히고자 하는데 있다. 中學校 新入生들의 學業成就에 關聯된 變因들을 선정하고 그 變因들과의 關係를 先行硏究와 先後關係 등을 고려하여 學業成就 豫言要因을 分析하기 위한 模型을 設定하였다. 그리고 積率相關과 重多回歸分析을 통하여 關聯變因들간의 相關 程度와 變因들이 學業成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의 程度를 검토하였다. 이 模型에서 父母의 敎育水準, 家庭의 社會· 經濟的 地位(SES), 自我槪念, 家庭環境, IQ, 配置考査成績, 國民學校鹿績, 敎育에 대한 關心 및 期待를 豫言變因으로, 中學校의 學業成積을 基準變因으로 設定했다. 이상의 硏究를 수행하기 위하여 서울시내 中學校 男學生 204명을 無選標集하였으며, 使用된 測定道具로는 家庭의 SES를 알아보기 위하여 自作한 質問紙와 標準化된 自我槪念 檢査, 家庭環境 診斷檢査, 知能 檢査를 使用했으며, 資料는 符號化(coding)를 거쳐 電算처러 하였다. 硏究에 의해 나타난 結果는 다음과 같다. 첫째, 中學校 新入生의 學業成就 豫言 要因을 分析하기 위한 關係模型에서 各 變因들간에는 상당히 높은 正的 相關을 보이고 있다. 特히 配置考査 咸績과 中學校 學業成就와의 相關이 r = ·78로 가장 높으며 國民學校 成績과 IQ와도 各各 r = ·71 , r = ·62로 역시 높은 相關을 보여주고 있다. 반면에 家庭環境과 自我槪念 要因과는 낮은 相關을 나타냈다. 둘째,學業成就에 대한 이들 7個 變因들의 重多相關係數는 ·856으로 學業成就를 說明하는 變量은 73.3%나 된다. 이들 變量中 配置考査 成績이 60.1 %로 學業成就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나머지 變因이 13.3%를 추가로 설명하고 있다. 이는 先修學習인 國民學校 成積보다, 그리고 IQ보다, 配置考査 成績이 직접적인 많은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세째, 配置考査 成績에 대한 變因들의 重多相關係數는 ·618로 이들 變因들이 配置考査 成績을 說明하는 變量은 38.2%이다. 그중 IQ가 32.3%를 說明하고 있으며, 父母의 敎育水準과 自我槪念이 各各 3.6 %와 1.4%를 추가로 설명하고 있다. 넷째, 國民學校 成積을 豫言하는 變因들의 程度는 36.6%로서 그중 IQ가 21.7 %로 가장 많고 나머지 15 %정도를 自我槪念과, 아버지의 職業, 父母의 敎育程度, 家庭環境의 순서로 영향을 주고 있다. 다섯째, 父母의 敎育程度나 아버지의 職業과 같은 歸屬的 要因은 子女의 IQ를 13.2 % 밖에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IQ는 이 模型밖에 있는 要因에 의해서 더 많은 영향을 받고 있음을 말해준다. 여섯째, 父母의 敎育程度나 아버지의 職業은 子女의 自我槪念이나 家庭環境(價値指向, 集團性格, 心理的 過程)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結果는 測定道具의 使用時 問題點이 있었거나, 測定道具 自體의 不適合性에 기인한 것이 아닌가 하는 疑問을 다른 先行硏究의 結果와 비교해 볼 때 갖게 된다. 일곱째, 中學校의 學業成就에 영향을 주는 家庭의 SES, 父母의 敎育程度의 下位變因들과의 關係를 보면 家庭의 文化施設과, 아버지의 敎育程度, 家庭의 心理的 過程 變因이 그중에서 많은 영향을 學業成就에 주고 있다. 여덟째, 宗敎 出生順位, 公私立別 國民學校 區分이 中學校 學業成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豫想과는 달리 아무런 意味있는 差異를 發見할 수 없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unctional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which are supposed to affect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first year and to clarify the variables for prediction of their academic achievement. A tentative e model of academic achievement was formulated on the basis of previous findings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s as a research framework. This model consists of 8 variables related with academic achievement, that is, level of parents education, socio-economic status(SES), self concept, family environment, IQ, scholastic aptitude test for the middle-school,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and academic achievement of the middle-school. The specific questions to be investigated in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What kinds of relationships exist between each of variables and academic achievement? (2) When these variables are considered simultaneously in predicting the academic achievements as criteria, what is maximum relationship to be expected in terms of multiple correlation coefficients on the basis of linear assumption? (3) How are the relationships among these variables related to the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 school? The number of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204 students drawn from the first grade of middle - school in Seoul All measures on family environment were obtained through questionaire and standardized test responded by the subjects and variables on IQ and self concept were also secured from responses to the standardization test. All scores on academic achievement were obtained from the middle-school. The main results on the data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l) All,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variables and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school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beyond 0.1 % level. Achievement score for placement among variables proves to be a major influencing variable to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school in the model. (2) The multipl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predicting variables as predictor and academic achievement as criteria are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 표삽입▷ (원문을 참조하세요) (3) The socio-economic status of the family and level of parents education shows no direct effec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it directly affects family environments and self concept. (4) Religion, sibling and kinds of elementary school are shown not to have any relation to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school. According to these results, it Is desirable to define and develop the academic achievement test tool elaborately. To say in other words, we should take all actions to understand studen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ⅶ Ⅰ. 緖論 = 1 A. 硏究의 目的 및 意義 = 1 B. 硏究問題 = 4 Ⅱ. 理論的 背景 = 5 A. 學校學習의 決定要因과 槪念模型 = 5 B. 學習者 要因과 學業成就 = 12 C. 授業過程과 學業成就 = 17 D. 家庭環境과 學業成就 = 18 E. 學校環境과 學業成就 = 25 Ⅲ. 硏究 方法 = 28 A. 基本 模型 및 變因 = 28 B. 標集 = 31 C. 道具 및 分析方法 = 31 Ⅳ. 結果 및 解釋 = 37 Ⅴ. 結論 및 提言 = 56 參考文獻 = 59 附錄 = 62 ABSTRACT = 6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81780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중학교-
dc.subject신입생-
dc.subject학업성취-
dc.subject예언요인-
dc.title中學校 新入生의 學業成就 豫言要因分析-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ALYSIS OF VARIABLES IN PREDICTING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SCHOOL STUDENT-
dc.format.page6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교육심리분야-
dc.date.awarded1984.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