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명경-
dc.creator이명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58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58Z-
dc.date.issued198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506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24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5066-
dc.description.abstractConcurrent with the increase in general interest about Korean Mask Dance/Drama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both the outer and inner aspects of kang Ryoung Tal Chum and specifically one representative portion of this mask dance. Originally this research was prompted by the fact that Kang Ryoung Mask Dance/ Drama is the only mask dance/drama among Korea's many varieties which features a separate performance by only two dancers, without only dialogue. However as the latter portion of this paper will show, research upon this topic suggests that a much deeper, even spiritual interpretation (an element than has up until now been largely neglected) of the dance is warrented. This paper has been divided into the following chapters. The first chapter serves as an introduction and includes a description of research methods used and the purpose of the paper. The second chapter broadly traces the history of Kang Ryoung (a small village located in Hwang Hae Province, Korea) and the folklore surrounding the transmission of mask dance. Since it was only recently that any written records concerning this dance were made, the oral tradition kept the memory of the dance movements and dialogue alive. Chapter three goes on to analyse specifically the Malttuki Kwa Chang. This Part of Kang Ryoung Mask Dance/Drama is Particularly worthy of attention because it not only features an exciting, highly dynamic dance between two dancers, but also because KRMD/D itself is unique for this "dance-only" portion. Each movement, its relationship to the accompanying music and the symbolism of the props: the Malttuki, (a servant whose name comes from the fact he usually tends, among other duties, his master's horse) carries a long, narrow board, which he exchanges for a whip during the course of the dance, next his costume; very flamboyant and finally his mask which is large, topped by a straw hat and bright flowers are discussed. From this point of view, Chapters four and Five consider the less obvions aspects of this dance. To begin with, who really was "Malttuki" and what was his relationship to the other members of society, for example, an upper class Yang Ban from whom he must endure physical abuse and insults? Finally in the last chapter conclusions are draw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conditions which produced these forceful movements and its artistic value as a dance. Thus it is hoped that this paper will not only add to existing sholarship on the subject of Mask Dance/Drama but also will reveal something about the spiritual world of the people who originally choreographed its movements.;탈춤에 대한 다각적인 관심이 기울어지는 오늘날 종합 예술로서의 무용의 범주에 속하는 탈춤을 공연의 차원을 떠나 학문의 차원에서 조명해 본다는 것은 무용계에 던져진 하나의 과제라 여겨진다. 이 과제를 수행하는 단계적 작업의 일환으로 本稿에서는 강령 말·뚝·이·과·장·을 대상으로 삼아 고찰하기로 한다. 강령 탈춤에는 다른 탈춤에서와는 달리 말·뚝·이·과·장·이 춤만으로 독립되어 존재하며, 두 명의 말뚝이가 곤장과 채찍을 들고 나와 대사없이 춤만으로 과장을 엮어 가는데, 본론 부분에서 이 과장의 심층적 의미와 말뚝이 신분의 이중성을 자세히 다루었다. 탈춤의 기원설과 강령 탈춤에 대한 개괄적 이론을 소개하고, 앞에서 언급한 대로 말·뚝·이·과·장·의 과장 독립의 의미와 설화적·공간적·춤사위적 의미를 표면과 심층면에서 자세히 다루어 그 예술적·미학적 가치를 밝혔다. 이들은 모두 한 가지 결론을 이끌어 나가며 춤의 문학적·미학적·무용 예술적 차원에서의 고찰 가능성을 시사한다. 강령 말뚝이는 다른 말뚝이들과 비교해 볼 때, 언어면에서는 소극적 묘사로 상황을 처리해 가나 그의 행동과 자세는 어느 말뚝이에도 뒤지지 않는 적극성과 대담성을 갖추고 있어 그 내면에 강한 의식과 사상이 잠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양반을 향한 강한 적대감으로 신분제도를 부정하고 반항하는 자세를 표현하는데 있어서의 한계, 즉, 못다푼 응어리가 춤에서, 제약없는 움직임으로 말뚝이만의 비밀스러운 한풀이를 탈판에 모여든 서민들과 무한한 공감대를 형성하며, 드러난 표면적 동작은 양반 말뚝이과장의 언어상의 제약, 극적행동의 제약이라는 한계에서 심층적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말뚝이춤이 추어진 목적은 폭로하고 호소하는 데 있었다. 억울한 사정과 추악한 사회상을 말뚝이는 더 이상 견디어 낼 수가 없었던 것이다. 그러나, 말뚝이가 표현할 수 없는 제약을 극복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말뚝이 신분의 이중성을 지적할 수 있다. 즉, 말뚝이가 절대적 약자인 천민의 입장에서 양반의 부패상을 폭로, 호소하는 한편 말뚝이가 같은 양반의 입장에서 양반의 부패상을 풍자폭로하고 있다. 탈춤을 처음 만든 者는 양반계급에 속한 者였으나, 여러가지 이유에서 자신의 신분을 숨겨야 했으므로 가면을 쓰고 춤을 추었 듯, 선비(양반)는 말뚝이의 이름을 빌어 탈춤을 만들었을 것이다. 그것은, 탈춤 대본들에 나타나는 풍자와 해학의 문장이 지식을 바탕으로 하고 있음에서도 알 수 있으며, 말뚝이의 당당한 자세와 대담성에서도 알 수 있다. 또한, 서민의 대표자로서 자기자신이 속한 신분계층의 억압된 감정을 대변하고 천민 말뚝이가 아닌 인간 본연의 애정을 지니고 다른 신분계층까지도 돌아보는 선비 말뚝이의 모습이 드러난다. 즉, 인간 본연의 정의를 실현하려는 말뚝이로서 진정한 예술이 추구하는 眞과 善의 기본자세를 지니고 있음이 강·령·탈·춤· 말·뚝·이·과·장· 춤·사·위·의 진정한 의미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춤사위에 있어서나 공간에 있어서도 무한한 의미-현실과 초현실이라는 측면과 시작과 끝이라는 측면-를 유추해 낼 수 있는데, 이것은 춤사위 형성의 필연성과 당위성을 주장할 요소가 되는 것이며, 인접학문에서의 무용예술의 분석이라는 점에서도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머리말 = 1 A. 연구 목적 = 1 B. 연구방법 = 2 Ⅱ. 탈춤의 기원설 = 3 A. 山臺劇 起源設 = 3 B. 伎樂 起源設 = 5 C. 풍농굿 起源設 = 6 Ⅲ. 강령탈춤의 배경 = 8 A. 지리적 배경 = 8 B. 민속적 배경 = 10 C. 설화적 배경 = 11 Ⅳ. 강령탈춤의 내용 = 15 A. 진행절차 = 15 B. 가면과 의상 및 소도구 = 21 C. 장단 = 29 Ⅴ. 말뚝이 과장의 춤사위 의미 연구 = 30 A. 말뚝이 과장 독립의 의미 = 30 1. 표면적 의미 = 30 2. 전체 과장 속에서 말뚝이 과장이 갖는 극적 의미 = 34 3. 심층적 의미 = 36 B. 설화에 의한 심층적 고찰 = 37 1. 행위·내용·대상 = 37 2. 주체, 갈등신분 = 38 C. 말뚝이 2人 출연의 의미 = 39 D. 춤사위에 의한 심층적 고찰 = 40 1. 춤사위의 명칭 및 설명 = 40 2. 무보 = 48 3. 춤사위에 나타난 특징 및 의미 = 75 4. 무용공간에 나타난 의미 = 77 Ⅵ. 맺음말 = 83 참고문헌 = 85 ABSTRACT = 8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28617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강령-
dc.subject말뚝-
dc.subject과장-
dc.subject춤사위-
dc.title강령 말뚝이 과장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춤사위의 의미론적 연구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F KANG RYOUNG MALTTUKI KWA CHANG-
dc.format.page8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학과-
dc.date.awarded198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