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5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원선영-
dc.creator원선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52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52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555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19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5552-
dc.description.abstract自由에의 추구. 이것은 온 인류의 바램이자 변하지 않는 인간의 本性이다. 인류(homo sapiens)는 육체의 자유보다는 정신의 자유를 위하여 그토록 많은 사상을 만들어 냈고, 그리고 그 사상이 머물 곳으로 藝術은 넓은 쉼터를 제공해 주게 된다. 예술에서 자유를 찾고자 했던 인류의 꿈은 여러 가지 형태의 예술을 낳게 되어 東·西洋의 큰 물줄기를 이루었고, 서양의 그것이 좀더 적극적이고 직접적인 감정의 분출을 표현한 반면, 동양의 것은 정신의 조화와 내면의 합일을 위한 예술의 형태로 발전하게 되었다. 이러한 예술이 현대에 와서 반예술(Anti-Art)에 까지 이르게 된 것은 낙관적 미래의 표상이었던 과학기술이 현대인들을 궁지로 몰아넣는 '자기상실의 시대'에 들어서게 되면서부터이다. 역사상 인류는 매순간 절박한 위기에 맞닥뜨려왔지만, 20세기를 살아가는 현대인들만큼 다양하고 혼란스러운 가치(價値)를 한꺼번에 직면한 적은 없었다. 어제의 새로운 것은 오늘의 진부한 것이 되고, 전제조건들은 반대가능성과 반대명제들까지도 발견한 까닭에, 더 이상의 발전은 불가능한 것처럼 보인다. 따라서 현대의 예술은 이러한 사회상을 하나의 명제로 정의 내리기보다는 불확정성(不確定性)의 원리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 개개인의 방향대로 제각기 나아간다. 이같은 상황은 예술가들로 하여금 예술의 원리를 내면의 精神속에서 모색하게 만들었고, 세계를 지배하던 서구적 사고가 현상학을 필두로 서서히 변화하여 동양적 사상을 재고찰하게 되는 경향에 이르게 되었다. 본 논문은 위와 같은 세계적 경향에 個人吏를 결부시켜, 본인의 작품세계를 밝히고자 한다. 物質로서 보여지는 본인의 작품은 외양(外樣)상 현대의 시대상을 담고 있는 재료로써 표현되지만, 물성을 중시하고 순리에 따르는 자세와 개인적으로 본인이 갖고 있는 사고는 동양의 자연사상에서 유래한다. 여기에서 동양의 자연사상이라함은 사전적 의미의 自然(스스로 그러함)이 말해주듯이, 물질을 작가의 지배하에 두지 않고, 재료의 특성을 최대한 살리려는 작가의 태도를 반영하는 것으로, 莊子의 이상인 '無爲自然論'에서 찾아 볼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본인은 보여지는 것 없이 정신만을 강조하기를 원하지 않기 때문에, 물질의 특성 즉 物性이 전달한 직관(直觀)을 토대로 얼마간의 노동과 함께 자연의 아름다움을 도출해 낼 것을 의도한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전달된 정신이 물질로 하여금 물질을 넘는 그 무엇이 될 수 있게 하는 것이라 믿고, 이러한 과정을 道家에서 말하는 物化의 過程과 연결시켜 본 논문에서 다루어 보았으며, 작품을 생명체로 여기게 되는 물질의 변화 '과정'의 중요성을 서구의 Process Art와 비교해 보았다. 본인이 연구하는 물질인 고무는 매우 하찮은 재료로, 비예술적인 영역에 속한 것이었지만, 작가의 노동과, 우연성으로 나타나는 자연의 개입, 그리고 물성에 의하여 거듭나게되어, 제2의 생명을 얻게 된다. 이러한 물질의 변화는 또한 본인으로 하여금 예술적 승화의 기쁨을 누릴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제작 논문으로서 내용적 측면과 방법적 측면으로 나누어져 있다. 내용적 연구에서는 본인의 정신적 배경인 동양의 도가사상과 현대적 사고, 그리고 현대사회의 산물인 고무라는 재료를 사용하게 된 동기 및 그 의의에 대한 문제를 살펴보고자 하며, 방법적 연구에서는 본인 작품이 실재로 갖고 있는 바탕과 형상의 문제와 함께 작품을 생명체로 여기게 되는 근거와 '과정'에 대한 개념을 다루고자 한다.;The pursuit of freedom. This is the desire of all mankind and the permanent human nature. Homo Sapiens made so many thoughts and theories for freedom of spirits rather than for freedom of body and the arts provided the huge glowing place for these thoughts and theories. The mankind who looked for freedom through arts made various types of arts, which consist two main streams of arts, the Oriental and the Occidental. While the occidental arts expressed the feeling ejection more actively and directly, the oriental arts developed to the type of arts whose purpose is the union and harmony of mind and body. But the reason these kinds of arts developed to the stage of anti-art recently is that the technology, the symbol of optimistic future, drove the human being to the wall, the period of self-lost. Although historically mankinds were always isolate and at a crisis, no men were faced with the more various and confused value than men who live in 20th century. Because new things of yesterday become today's old ones and prerequisites developed to anti-possibility and anti-proposition. It seems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for development. So modern artists have their own directions because modern arts accept the theory of non reliability originally rather than define these current social situation by one preposition. These situation makes artists grope for nature of arts in their minds and gives the chance to rethink the oriental thought with the changes of occidental thought being started by phenomenology, what is called, the trend of 'West to Eas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he explanation of writer's works of arts based on the universal trend of modern-arts in relation to writer's personal history Although my works seen by substances are expressed by materials which have modern appearance, they are basically based on the oriental naturism. This oriental naturism represents the writer's attitude to make use of the specific natural character from materials instead of manufacturing. That is originated from the thoughts of Chuangtzu, 'Inactive Naturism'. But I don't want to stress the minds without being seen. Although my works are only mine, I intend to create the beauty of nature with some labor based on the specific natural character because my visible ability requires both endeavor and sense of beauty. And my minds originated through those processes can make the substance be on a different plane. I regard these processes as the process being substance which was taught by Chuangtzu and I compare the importance of this process with Process Art of the occidental world. Although the rubber which are used for my works is the material belonging to the non-artistic area, that gets the new life by adding artist's effort, the incidental nature intervention and the process of being substance. This change of material to substance give me the pleasure of doing ar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Ⅱ. 내용적 측면 = 4 1. 정신적 배경 = 4 2. 同時代的의식 = 8 (1) 현대적 사고 = 8 (2) 현대사회의 산물-고무 = 11 Ⅲ. 방법적 측면 = 15 1. 바탕과 형상 = 15 2. 생명체-過程개념 = 20 Ⅳ. 본인의 작품분석 = 24 Ⅴ. 결론 = 44 참고작품 = 46 참고문헌 = 47 ABSTRACT = 4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34974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물질-
dc.subject자연성-
dc.subject추구-
dc.title물질에 의한 자연성 추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pursuit of nature through materials-
dc.format.pagevi, 51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서양화과-
dc.date.awarded199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