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1 Download: 0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귀인성향이 내재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Title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귀인성향이 내재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Adolescent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dolescents' self-esteem and Attributional Style
Authors
황윤조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아동학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도현심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귀인성향이 청소년의 내재화 문제행동에 어떠한 경로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 소재 남자 중학교와 여자 중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인 남녀 청소년 400명을 대상으로 하여, 질문지법을 이용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Schaefer(1965)의 CRPBI(the Child Report of Parent Behavior Index)에 기초하여 Barber(1996)가 개발한 PCS-YSR(Psychological Control Scale-Youth Self-Report)을 조주연(2010)이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은 Tafarodi와 Swann(2001)의 SLCS-R(Self-Liking and Competence Scale)을 조혜진(2006)이 번안한 척도를, 청소년의 귀인성향은 Levenson(1981)이 개발한 귀인성향 검사를 기초로 해서 유기섭(1990)이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청소년의 내재화 문제행동은 우울 및 불안으로 구분되는데, 우울은 Radloff(1977)의 CES-D(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Depression Scale)를 기초로 하여 전겸구ㆍ최상진ㆍ양병창(2002)이 한국판으로 수정ㆍ번안한 것을, 불안은 La Greca와 Stone(1993)이 개발한 SAS-A(Social Anxiety Scale For Adolescents)를 양재원ㆍ양윤란ㆍ오경자(2008)가 번안 타당화한 한국판 청소년용 사회불안척도(Korean version of Social Anxiety Scale for Adolescents: K-SA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AMOS 18.0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청소년의 내재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귀인성향을 통해 청소년의 내재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을 통해 귀인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 경로는 유의하였다. 즉, 어머니의 지지가 높고 심리적 통제가 낮을수록 청소년은 높은 자아존중감을 가지고 있었으며, 높은 자아존중감을 가질수록 내적 귀인성향을 보였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을 통해 내재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 경로는 유의하였다. 즉, 어머니의 지지가 높고 심리적 통제가 낮을수록, 청소년은 높은 자아존중감을 보여 결과적으로 내재화 문제행동을 덜 보였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청소년의 귀인성향을 통해 내재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행동,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귀인성향 가운데 자아존중감과 어머니의 양육행동 순으로 청소년의 내재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함으로써, 청소년의 내재화 문제행동에 있어 청소년의 개인 내적 특성과 부모의 양육행동의 영향력이 특히 중요함을 밝혔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청소년의 내재화 문제행동을 예방하기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및 상담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athway that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dolescents' self-esteem and attributional Style affect on adolescent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The subject were 400 3rd grade junior high school and girls´ junior high school living in Seoul. Data were gathered via four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s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18.0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aternal parenting behavior didn't directly affect on adolescent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Seco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 didn't find affection on adolescent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through adolescents' self-esteem and attributional Style. But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ppeared in the indirect effects that affected on attributional Style through adolescents' self-esteem. Therefore, as mother had high support and low parenting behavioral of psychological control to their children, adolescents' self-esteem was high so it was showed internal attribution style. Third, it appeared the indirect effects that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ffected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through adolescents' self-esteem. Therefore, as mother had high support and low parenting behavioral of psychological control to their children, adolescents had high self-esteem. So it decreased problem behavior. Finally, it didn't appear the indirect effects that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ffected on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through adolescents' internal attribution. In conclusion, among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dolescents' self-esteem and attribution, as it is found that it affected on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Through this finding, it could find especially importance of adolescents' personal internal attribute and influence of maternal parenting behavior. This study is focused on basic information by processing method of parent-education program, consultation to prevent adolescent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and the necessity of program development for improving adolescents' self-esteem through result of indirect influe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