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도현심-
dc.contributor.author김상은-
dc.creator김상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14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14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795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17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795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자기통제력 및 일탈또래와의 연합이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위치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학생 383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이용하여 개발된 척도를 민혜영(1990)이 번안한 척도를, 자기통제력은 Gottfredson과 Hirshi(1990)의 자기통제력 척도와 김현숙(1998)이 Kendell과 Willcox의 자기통제력 평정척도(SCRS)를 번안한 척도를 남현미(1999)가 재구성한 것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일탈또래와의 연합은 de Anda(2001)의 척도를 바탕으로 황숙영(2007)이 번안한 척도를, 청소년 비행은 Achenbach(1993)가 개발한 문제 행동 척도를 박진경(2001)이 번안한 비행 행동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AMOS를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청소년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은 청소년의 자기통제력과 일탈또래와의 연합을 통해 청소년 비행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부정적일수록 청소년의 자기통제력이 낮았으며, 낮은 자기통제력을 가진 청소년은 일탈또래와의 교류가 많았고, 일탈또래와의 연합이 높을수록 비행을 경험하였다. 셋째,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은 청소년의 자기통제력을 통해 청소년 비행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부정적이라고 지각할수록 청소년의 자기통제력이 낮았으며, 자기통제력이 낮을수록 비행이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은 일탈또래와의 연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아,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일탈또래와의 연합을 통해 청소년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적인 경로는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자기통제력 및 일탈또래와의 연합을 통해 청소년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확인함으로써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간접적 영향을 강조하였다. 동시에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자기통제력 및 일탈또래와의 연합 가운데 일탈또래와의 연합이 다른 두 가지 변인들에 비해 청소년 비행에 상대적으로 더욱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청소년의 자기통제력을 발달시키고 일탈또래와의 연합을 예방하는 것이 청소년 비행을 예측하거나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요인임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athways from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elf-control, and association with deviant peers to adolescents'delinquency. For this purpose, Four kinds of questionnaire were used to collect data from 383 adolescents(179 boys and 204 girls) enrolled in high school located at Gyeonggi-do.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was measured using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Barnes and Olsen(1982) and adapted by Min Hye-yeong(1990); self-control was measured using the self-control questionnaire of Gottfredson and Hirshi(1990) as well as the questionnaire created by Kim Hyeon-suk(1998) based on adaption of self-control rating scale(SCRS) of Kendell and Willcox and reorganized by Nam Hyeon-min(1999). In addition, association with deviant peers was measured using the questionnaire adapted by Hwang Suk-yeong(2006) based on the questionnaire of deAnda(2001); delinquency was measured using the index of delinquency developed by Achenbach(1993) and adapted by Park Jin-gyeong(2001).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nalyzed using AMOS for data analysi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direct path that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ffects the delinquency of adolescent was not found. Second,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has indirect effects on delinquency of adolescent through self-control and association with deviant peers. That is, the more negative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is, the lower self-control of adolescent is. The adolescent with lower self-control has higher association with deviant peers and the adolescent with higher association with deviant peers experiences delinquency. Third,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has indirect effects on delinquency through self-control of adolescent. That is, the more negative the adolescent regards his communication with parents, the lower self-control he has. The lower self-control he has, the higher delinquency he has. Finally, since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has no significant effects on association with deviant peers, no indirect effects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on delinquency through association with deviant peers were not identified ye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that increased or decreased the delinquency by checking the path that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ffects the delinquency through association with deviant peers and self-control. At the same time, it was confirmed that association with deviant peers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than the other two variables including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self-control. The result of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larified that development of self-control of adolescent and prevention of association with deviant peer would be the important factor in predicting the delinquency of adolescent or exploring the resolution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6 A. 청소년 비행 6 B.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자기통제력 및 일탈또래와의 연합과 청소년 비행 8 1.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청소년 비행 8 2. 자기통제력과 청소년 비행 10 3. 일탈또래와의 연합과 청소년 비행 11 C.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및 자기통제력과 일탈또래와의 연합 13 1.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일탈또래와의 연합 13 2. 자기통제력과 일탈또래와의 연합 14 D.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자기통제력 15 E.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청소년 비행 간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 및 일탈 또래와의 연합의 매개적 역할 16 Ⅲ. 연구문제 및 용어정의 18 A. 연구문제 및 연구모형 18 B. 용어정의 20 Ⅳ. 연구방법 22 A. 연구대상 22 B. 조사도구 24 C. 조사절차 및 자료 분석 27 Ⅴ. 연구결과 29 A. 예비분석 29 B. 측정모형 분석 30 C. 상관관계 분석 33 D. 구조모형 분석 33 Ⅵ. 논의 및 결론 38 A.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청소년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 경로 38 B.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자기통제력과 일탈또래와의 연합을 통해 청소년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 경로 39 C.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자기통제력을 통해 청소년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 경로 41 D.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일탈또래와의 연합을 통해 청소년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 경로 42 참고문헌 44 부록. 질문지 59 ABSTRACT 6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9762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자기통제력 및 일탈또래와의 연합이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xploring Pathways from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to Adolescents' Delinquency : The Mediating Effects of Adolescents' Self-control and Association with Deviant Peers-
dc.creator.othernameKim, Sang Eun-
dc.format.pageix, 6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아동학협동과정-
dc.date.awarded201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