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6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도현심-
dc.contributor.author이선희-
dc.creator이선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7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7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6971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17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9710-
dc.description.abstract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arenting behavior scale for parents of school-age children. In order to develop the scale, the study considered some possible subscales of parenting behavior style, which was followed by the validation of the scale. The study also classified parenting types, based on the subscales. Data were collected with a sample of mothers of 1st-3rd graders in four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using the questionnaire. 778 mothers were administered the parenting behavior scale, and 779 mothers were ask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scale. There were two types of questionnaires regarding parenting behavior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Doh, 1994) to ascertain the validity. The former was composed of 123 preliminary items, including factors of warmth, reasoning, intrusiveness, coercion, and neglect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latter comprised four factors of outgoing behavior, popularity/leadership, interpersonal adjustment, and social participa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one-way ANOVA, and K-means clustering.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45-item parenting questionnaire included the following subscales: 9 items of warmth (i.e., parental acceptance and affection), 10 items of reasoning (i.e., parental use of rational reasoning for guiding their children), 9 items of intrusiveness (i.e., parental interference), 7 items of coercion (i.e., physical punishment), and 10 items of neglect (i.e., parents' ignorance of their children and lack of physical, and emotional support). The final parenting behavior scale was verified through concurrent validity and cross-validation. In the case of concurrent validity,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parenting behaviors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rough the cross-validation, it was found that the scale is applicable to parents of lower-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a similar demographic background. Four distinct types of parenting style emerged from the analysis, such as authoritative, ambivalent, authoritarian, and abusive/neglecting. Authoritative parents listen to their children's opinions and express affection. Not only do ambivalent parents express affection and use rational reasoning, but also punish their children and interfere with their children's behavior. Authoritarian parents interfere with children's behaviors and punish them when they misbehave. Abusive/neglecting parents guide their children by punishment rather than by reasoning. Frequency for authoritarian, authoritative, ambivalent, and abuse/neglect types were calculate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varied as a function of parenting styles. The parenting behavior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is a reliable and valid instrument. Parenting behavior was categorized as warmth, control, and neglect, and the control factor included reasoning, intrusiveness, and coercion. This study also classified four parenting styles of authoritative, ambivalent, authoritarian, and abusive/neglecting. This scale would be useful in assessing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child development.;본 연구는 학령기 자녀의 부모용 양육행동 척도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양육행동 척도의 하위요인이 몇 가지로 구성되는지를 살펴보고, 개발된 양육행동 척도의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또한 개발된 척도의 하위요인을 근거로 양육행동 유형이 어떻게 분류되는지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의 네 개 구에 위치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1~3학년 남녀 아동의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참가자는 양육행동 척도 개발과 개발된 척도의 교차타당도 검증을 위해 각각 778명과 779명이 표집되었다. 조사도구에는 양육행동 척도 개발을 위한 척도와 공인 타당도 검증을 위한 사회적 능력 척도(도현심, 1994)가 포함된다. 전자는 문헌고찰, 전문가의 검토, 예비조사를 바탕으로 온정, 통제, 그리고 방임 등 세 개의 잠정적 요인으로 구성된 총 123개의 예비문항으로 구성된다. 후자는 사교성, 인기도/지도력, 대인적응성, 사회적 참여 등 네 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된다. 자료분석을 위해서는 AMOS 18.0과 SPSS 18.0을 사용하였으며, 양육행동 척도를 개발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 일원분산분석을, 양육행동 유형을 분류하기 위해 비계층적 군집방법인 K-평균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개발된 양육행동 척도는 온정, 논리적 설명, 개입, 강압, 그리고 방임 등 다섯 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었다. 각 요인의 문항 수는 온정 9문항, 논리적 설명 10문항, 개입 9문항, 강압 7문항, 방임 10문항이며, 전체 문항 수는 총 45개이었다. 온정은 부모가 자녀를 수용해주고 애정을 표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논리적 설명은 자녀를 지도하는 데 있어서 합리적 규준이나 이유에 근거한 훈육을, 개입은 자녀의 행동을 비난, 지시, 간섭하는 행동을, 강압은 자녀에게 신체적으로 처벌하고 벌을 주는 행동을 의미한다. 방임은 자녀에게 무관심하고 신체적, 정서적 측면에서 필요한 욕구를 제공하지 않는 비양육적 측면을 의미한다. 개발된 척도의 타당도는 공인타당도와 교차타당도를 통해 검증되었다. 공인타당도와 관련하여, 조사대상 어머니들은 자녀에게 온정과 논리적 설명을 많이 보인다고 지각할수록 자녀의 사교성, 인기도/지도력, 대인적응성, 사회적 참여를 높게, 개입, 방임적인 행동을 많이 보일수록 자녀의 사교성, 인기도/지도력, 대인적응성, 사회적 참여를 낮게 보고하였다. 또한 강압적 양육을 많이 보인다고 지각할수록 자녀의 인기도/지도력, 대인적응성, 사회적 참여를 낮게 보고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개발된 양육행동 척도의 공인타당도를 확보하였다. 교차타당도의 검증을 통해, 개발된 양육행동 척도가 본 연구 참가자와 사회인구학적 배경이 유사한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의 부모들에게 적용될 수 있는 척도임을 확인하였다. 다섯 가지 하위요인을 기초로 한 부모의 양육행동 유형은 민주적, 양가적, 권위주의적, 학대/방임적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민주적 유형은 온정과 논리적 설명은 높고, 개입, 강압, 방임은 낮은 경우이고, 양가적 유형은 온정, 논리적 설명과 개입, 강압이 모두 높고, 방임은 낮은 경우이며, 권위주의적 유형은 온정, 논리적 설명, 방임은 낮고, 개입과 강압이 높은 경우이다. 학대/방임적 유형은 온정, 논리적 설명은 낮고, 개입, 강압, 방임은 높은 경우이다. 양육행동 유형의 분포를 살펴보면, 권위주의적(38%), 민주적(31.2%), 양가적(18.6%), 학대/방임적(12.1%) 유형 순으로 나타나 조사대상 어머니들 가운데 권위주의적 양육행동 유형에 속한 어머니들이 가장 많았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양육행동 척도는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로서 양육행동의 개념을 크게 온정, 통제, 방임 등 세 가지로 구분하여 온정과 통제 외에도 방임을 포함하여 살펴보았을 뿐만 아니라, 통제를 논리적 설명, 개입, 강압으로 보다 세분화하였다. 그 외에도, 민주적, 양가적, 권위주의적, 그리고 학대/방임적 유형 등 네 가지 양육행동 유형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부모의 양육행동 척도는 부모자녀관계와 아동발달에 관한 후속 연구의 유용한 자료로서 활용되리라 기대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II. 이론적 배경 5 A.학령기 자녀의 발달과업에 적합한 양육행동 5 B.양육행동 척도의 구성 요소 8 1.온정 8 2.통제 10 3.방임 13 C.양육행동 척도의 타당화 14 D.양육행동의 유형 19 III. 연구문제 및 용어정의 23 A.연구문제 23 B.용어정의 23 IV. 연구방법 25 A.연구참가자 25 B.측정도구 27 1.부모의 양육행동 27 2.아동의 사회적 능력 28 C.조사절차 29 D.자료분석 33 V. 연구결과 34 A.양육행동 척도의 요인분석 결과 34 1.탐색적 요인분석 34 2.확인적 요인분석 38 B.양육행동 척도의 타당도 검증 46 C.양육행동의 유형화를 위한 군집분석 결과 48 1.유형수 지정 48 2.양육행동 유형의 분포 49 VI. 논의 및 결론 53 A.양육행동 척도의 요인 및 문항 구성 53 B.양육행동 척도의 타당화 55 C.양육행동의 유형 58 참고문헌 64 부록 83 ABSTRACT 9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5922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학령기 자녀의 부모용 양육행동 척도 개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tudy for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Parenting Behavior Scale' Parents with School-Age Children-
dc.creator.othernameRhee, Sunhee-
dc.format.pageviii, 99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아동학협동과정-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