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류선옥-
dc.creator류선옥-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35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35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498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17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4989-
dc.description.abstract설화는 민족적 집단의 공동 생활 속에서 문자 생성 이전부터 구전되어 온 문학으로 그 속에는 민중의 사상, 감정, 풍습 및 세계관이 투영되어 있다. 집단의 생활과 경험 속에서 우러나온 삶의 지혜가 축적되어 그 속에 융해되어 있기 때문에 문자 교육 이전부터 수 천년 동안에 걸쳐서 민중들에게 바른 문제 해결력과 가치관, 도덕성을 가르쳐 주었다. 설화는 이러한 교육적 가치뿐만 아니라 현재 학교 교육에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사고력 증진의 학습에도 효율적인 제재로 적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설화 교육이 학습자의 사고력 증진에 효율적인 제재로 학습될 수 있다는 인식아래 설화 교육의 바람직한 학습 방법을 제시해 보았다. 이에 따른 학습자들의 창조력, 상상력, 통찰력 등이 실험 연구를 통해 증진되는가를 밝히고자 한다. 제 I장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및 연구 문제를 밝히고 본 연구의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제 Ⅱ장에서는 설화의 성격과 의의를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의 목표에 비추어 살펴보고,이를 토대로 설화의 교육적 의의를 정립하였다. 최근의 설화 교육 연구 상황 검토를 통해 설화 교육 연구가 초등 학교 과정에 치중되어, 중 ·고등학교의 설화 교육 연구가 필요함을 인식할 수 있었다. 이러한 비판을 통해 기존의 학습 방법에서 진일보하여 사고력 신장을 위한 새로운 학습 방법의 필요가 요구되었다. 최근 학교교육에서 사고 교육이 중요한 영역을 차지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하여 설화 교육을 통한 사고력 교육의 실제를 살펴보았다. 사고 교육에서 중요한 요소인 '바람직한 사고 성향' 과 다양한 '인지적 조작 능력' 에 따른 창조력, 상상력, 통찰력 함양을 중점으로 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이에 따른 설화 교육의 실제 방안으로 구연을 통한 지도, 읽기에 의한 지도, 교수-학습에 의한 지도 등 구체적인 수업 방법을 모색해 보았다. 제 1차 교육과정기에서 제 5차 교육과정기의 초·중등 국어 교과서와 문학 교과서의 설화 제재 수록 상황을 검토하여 통시적으로 고찰해 보았다. 이를 통한 교과서 설화 제재 수록의 문제점을 밝히고 사고력 신장을 위한 새로운 제재의 개발이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이러한 학습을 실시한 후 실험 집단에 의한 사고력 구조의 증진을 실험하여 그 결과를 Ⅲ장에서 논의하였다. 먼저 연구 대상자의 설화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의 배경 분포를 살펴보고 설화 학습을 통해 사고력 증진에 유의미한 변화를 결과로 가질 수 있었다. 국어교육에서 다른 영역도 사고력 증진에 기여할 수 있으나 지금까지 홀대되어 오던 설화가 사고력 증진에 효율적인 제재임을 밝히고, 고등학교 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하여 진보적이고 개방적인 자세로 새로운 설화 제재를 발굴한다면 설화 교육이 다각적인 관점에서 실현 될 수 있을 것이다. 제 Ⅳ장 결론에서는 이상의 논의를 요약하여 정리하고 설화 교육에 대한 제언을 통해 교수-학습자들의 새로운 시각의 정립을 촉구했다. 설화의 교육적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설화 교육이 본 궤도에 오를 것을 바라면서 본고에서 논의된 문제들이 교육현장에 반영되어 설화교육에 보탬이 될 것을 기대해 본다.;A tale is the literature which has been handed down orally before the formation of letters in the common life of cultural groups, and it contains ideas, emotion, custom, and the view of the world. As the intelligence which is derived from group life and its experience is accumulated and dissolved, a tale taught us the ability to solve the problems and moral through thousands of years, before literal education. A tale tends to have educational value, and to be used as effective materials for the progressing thought power: the mainly interested model in school education. This study shows the ideal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a tale education according as a tale education may be used as effective materials for progressing thought power. Also, this study intends to disclose that learners can progress creation, imagination, and insight making use of these tests. In Chapter One, I both disclose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is study and show limit. In Chapter Two, I try to find out the significance and character of tale in terms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high school and I arrange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ale, based on them. In the first period of educational curriculum, I review and study tale material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I try to find out the problems of tale in the textbooks and to point out the necessity of new materials. A recent study on tale education shows that as the study on tale education is aimed at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I can recognize that we should study tale education. As thought educ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a school education recently, I try to study the real thought education through tale education. This study is based on creation, imagination, and insight from intuitive controlling ability, and desirable thought tendency, a factor in thought education. So I try to find out the adequate teaching methods; that is to say, oral, reading teaching-learning methods by ideal methods of tale education. After performing these methods, I test the progress of thought power making use of groups, and I discuss the results in Chapter Three. At first, I looked for the generally distributed backgroun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other spheres can contribute to the progress of thought power, but I disclose the fact that a tale we have ignored until now is effective materials for the progress of thought power, and taking the scholarship level of high school students into consideration, if we can find out new tale materials with advancement and opening, the tale education will come true in various points of view. In Chapter Four, Conclusion Chapter, I summarize and arrange mentioned discussion, and I advise teachers and learners to arrange the new points of view on tales through the advice on tale education. Also, I advise an educational study of tale to be done continuously, expecting to the original sphere. Finally, I expect that above mentioned ideas can be reflected in the scene of teaching and they can help the tale edu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 목적과 연구 문제 = 3 C.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설화의 성격과 교육의 의의 = 5 1. 설화의 성격과 기능 = 5 2. 설화 교육의 목적과 의의 = 8 1)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의 목표 = 8 2) 설화의 교육적 성격과 교육의 의의 = 10 3. 최근의 설화 교육 연구 상황 = 16 B. 사고력 신장을 위한 설화 교육 방안 = 20 1. 사고 교육의 의의와 요소 = 20 1) '사고 성향' 영역 = 23 2) 사고 교육의 목표로서의 '인지적 조작' 영역 = 25 2. 설화 교육의 실제 = 28 3. 사고력 신장을 위한 제재 연구 = 33 Ⅲ. 연구방법과 결과 = 39 A. 연구 방법 = 39 1. 연구 대상 = 39 2. 실험 집단의 처치 = 39 3. 측정 도구 = 45 4. 연구 절차 = 46 5. 연구 가설 = 46 6. 분석 방법 = 47 B. 연구 결과 = 48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배경 분포 = 48 2. 집단 유형에 따른 교육적 효과의 차이 = 55 Ⅳ. 결론 및 제언 = 64 참고문헌 = 69 Abstract = 73 부록 1. 설문지 = 76 부록 2. 학생의 글 = 8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13267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설화교육-
dc.subject학습자-
dc.subject사고구조-
dc.subjectTale Education-
dc.title설화 교육이 학습자의 사고구조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influence a tale education on the thought structure of learner-
dc.format.pagev, 84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199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