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형문정-
dc.creator형문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30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30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2528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16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528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자아존중감과 학업성취가 진로성숙도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자아존중감, 학업성취, 진로성숙도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보고, 특히 성별과 계열의 차이에 따라 자아존중감과 학업성취가 진로성숙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의 인문계 고등학교와 실업계 고등학교 2학년 학생, 626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총 626명의 자료 중 결측치가 있거나 응답이 불성실하다고 판단된 자료들을 제외하고 588명의 자료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성별에 따라 분류하면 남학생 313명, 여학생 275명, 계열에 따라서 분류하면 인문계 학생 350명, 실업계 학생 238명이다. 본 연구의 결과 및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자아존중감의 하위변인(자기비하, 가족과의 관계, 지도력과 인기, 자기주장성)들 중 대부분이 진로성숙도의 하위변인인 진로태도와 진로능력에 정적인 상관을 보였으며, 학업 성취변인은 진로성숙도의 하위변인인 진로 능력과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2. 남학생이나 여학생 모두 자기비하, 가족과의 관계, 자기 주장성 등이 진로태도나 진로 능력의 발달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남녀간의 차이를 살펴보면, 진로능력의 발달에서 남학생의 경우 학업성취 변인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것에 반해, 여학생의 경우 가족과의 관계변인이 중요한 예언변인이었다. 3. 인문계와 실업계 학생들간의 차이를 살펴보면, 인문계 학생들에서 진로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변인은 자기비하와 가족과의 관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 능력을 예언하는데 있어서도 가족과의 관계 변인이 유의한 변량을 설명하였다. 실업계 학생들의 경우, 진로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변인이 자기비하, 가족과의 관계, 자기주장과 불안인 것으로 나타났고, 진로 능력을 예언하는데 있어서는 학업성취 변인이 유의한 변량을 설명하였다. 진로 태도의 발달에 있어서는 인문계 학생들과 유사하게 스스로에 대한 자신감, 가족과의 관계에 대한 긍정적 지각, 자기 주장적인 태도가 중요하였다. 그러나 진로능력의 발달에 있어서는 인문계 학생들과 달리 학업성취가 중요한 예언변인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자아존중감이나 학업성취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은 성별이나 계열에 따라 조금씩 양상을 달리하였다. 따라서 학생들의 진로를 지도하거나 진로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각 집단별 특성에 따라 진로 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들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고, 각 집단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실제적인 학생 진로 지도가 교육장면에서 활용되어야 할 것으로 시사된다.;In order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elf-esteem and academic achievement on career maturity, this study has analyzed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m and concentrated especially on the difference between self-esteem, academic achievement and career maturity in regard to gender and academic divisions. To achieve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626 second grade students from humanity and vocational high schools in Kyung-Gi-do. Out of the 626 data collected, excluding some with low reliance and accuracy, 588 data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collected data can be grouped into two ways. If divided into genders, 313 male students and 275 female students participated and if categorized into academic divisions, 359 humanity and 238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ose under self-esteem, including self-criticism, family relationship, leadership and popularity, opinionated character, showed a significant interrelation between academic attitude and career ability and only academic achievements showed a statically fixed interrelation with career ability. 2. Male and female students both showed that their self-criticism, family relationship etc.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their career ability. The discrimination between the male and the female was that development of career ability was influenced greatly by academic achievement for males whereas family relationship acted as an important effecter for females. 3. The discrepancy between humanity and vocational high schools is that for students studying in humanity schools, self-criticism and family relationship influences academic attitude. Even in the areas of predicting academic attitude, regions that fall under family relationship showed great influence among the students. In the case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self-criticism, family relationship, self-opinion and fear showed great influence on the prediction of academic ability. Similar to students in humanity schools, they also shared that optimistic conception regarding self-confidence, family relationship and an opinionated personality as important factors in the development of academic attitude. But as an important predictor, they concluded to have academic achievement listed as top. In conclusion, the influence of self-esteem or academic achievement on career maturity differed between genders and divisions. Therefore we can assume that the development of career teaching or career enhancement programs must proce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and each characteristics must be understood beforehand. The understanding of each group must lie as a base for actual student career studies to be held in educational sit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B. 연구문제 = 2 Ⅱ. 이론적 배경 = 3 A. 진로성숙도의 개념 및 특성 = 3 B. 진로성숙도와 관련된 요인 = 6 1. 자아존중감의 개념 및 특성 = 6 2. 자아존중감과 진로성숙도 = 8 3. 학업성취와 진로성숙도 = 9 4. 성별·계열별 변인과 진로성숙도 = 11 Ⅲ. 연구방법 = 13 A. 연구대상 = 13 B. 연구절차 = 13 C. 측정도구 = 14 D. 분석방법 = 19 Ⅳ. 연구결과 = 20 A. 연구 변인들의 성별, 계열별 평균 및 표준편차 = 20 B. 자아존중감, 학업성취와 진로성숙도간의 상관관계 분석 = 22 C. 성별에 따른 자아존중감, 학업성취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 25 D. 계열에 따른 자아존중감, 학업성취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 27 Ⅴ. 논의 = 31 A. 자아존중감, 학업성취와 진로성숙도의 관계 = 31 B. 성별에 따라 자아존중감과 학업성취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33 C. 계열에 따라 자아존중감과 학업성취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35 D.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 37 참고문헌 = 39 부록 = 43 Abstract = 6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1373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자아존중감-
dc.subject학업성취-
dc.subject고등학생-
dc.subject진로성숙도-
dc.title자아존중감과 학업성취가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influence of self-esteem and academic achievement on career maturity-
dc.format.pageviii, 6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심리전공-
dc.date.awarded2002.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