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53 Download: 0

10대와 20대 미혼모의 자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Title
10대와 20대 미혼모의 자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Other Titles
Influence factors to self-esteem of teenage and twenties unmarried mothers
Authors
한영주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Keywords
미혼모자존감10대20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우리나라 미혼모의 실태를 파악하고 미혼모 자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이들에 대한 연령차, 자존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이 미혼모 연령에 따라 차이가 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미혼모의 자존감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관계, 친구관계, 성행동 과정, 사회적 지지원을 살펴보고, 미혼모 연령에 따라 이러한 요인들이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자료는 전국 미혼모 기관에 수용의뢰된 미혼모 296명을 대상으로 1996년 서울시 부녀복지 연합회에서 미혼모 현황과 실태 연구에 사용한 자료를 2차 분석한 것으로서, 1984년 한국 여성개발원에서 미혼모 실태에 관한 연구에서 사용한 척도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일원변량분석, t-test분석, 상관관계분석, 교차분석을 통해 분석하였고, Cronbach's Alpha로서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미혼모 중 10대가 차지하는 비율과 10대의 성경험 현상이 두드러졌으며, 성이나 피임에 대한 지식이 무지한 상태이며 출산후 대부분 입양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10대와 20대 미혼모 모두 아버지의 학력, 부모의 자녀에 대한 신뢰, 부모의 성적 개방성이 높을수록 미혼모의 자존감이 높게 나타났으며, 가족에 대한 구조적, 정서적 불만이 낮을 때 자존감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친구관계 변인에서 친구의 성적 허용성은 미혼모의 자존감과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지만, 친구와 성에 대한 대화를 자유롭게 할수록 미혼모의 자존감이 높았다. 넷째, 성관계 원인의 외부귀인 성향이 낮을수록 미혼모의 자존감이 높게 나타났지만, 연령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또한 사랑과 결혼을 전제로 한 성관계에서 임신한 미혼모가 강제나 충동에 의한 성관계로 인해 임신을 한 미혼모보다 자존감이 높았다. 다섯째, 임신사실에 대한 가족의 인지와 임신 후 가족의 온정적 태도, 도움의 유무에 따라서 미혼모의 자존감은 차이가 없었지만, 임신후 가족과 상의한 미혼모가 다른 사람과 상의한 미혼모보다 자존감이 높았다. 여섯째, 10대 미혼모의 경우 미혼모 아버지의 학력이 높을수록, 부모의 자녀에 대한 신뢰와 부모의 성적 개방성이 높을수록, 가족에 대한 구조적 불만이 낮을수록, 임신 후 가족과 상의한 미혼모가 다른 사람과 상의한 미혼모에 비해 자존감이 높았다. 20대 미혼모의 경우 아버지의 학력이 높을수록, 부모의 자녀에 대한 신뢰와 부모의 성적 개방성이 높을수록, 가족에 대한 구조적 불만이 낮을수록, 친구와 성에 대한 대화를 자유롭게 할수록, 사랑과 결혼은 전제로 성관계에서 임신을 한 미혼모가 강제나 충동에 의해 임신을 한 미혼모에 비해 자존감이 높았고, 가족이 임신사실을 모르고 있는 미혼모가 가족들이 임신사실을 알고 있는 미혼모에 비해 자존감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미혼모의 자존감에 가족관계의 질이 중요하며, 특히 10대 미혼모의 경우 가족의 지지와 긍정적 관계가 출산 후 적응과 재출발에 중요한 요소라는 점은 시사하고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ent condition of the unmarried mothers in Korea and their adapt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ir self-esteem. In this study, family structure and the relationtship, peer relationship, sexual activity process, social support, and age differiences in these factors were examined. The data in this study is based on the secondary analysis of the Seoul Women's Welfare Associates' study in 1996, the subjects were 296 unmarried mothers in Korean institutions for unmarried mother. The statistic analysis for this study were frequency, chi-squares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ANOVA). Cronbach's Alpha was used to test the reliability of the scale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 1. Teenage unmarried mothers and sexual activity among teenagers were on the rise. They were devoid of adequate sexual knowledge and method of contraception, and most of them chose to give up their babies for adoption. 2. The higher the father's level of education, parents' trust in their children, sexual openess of their parents, the higher was the unmarried mothers' self-esteem. And the lower fundamental and instrumental dissatisfaction, the higher was the unmarried mother's self-esteem. 3.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exual permissiveness of their friends and the unmarried mothers self-esteem, but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freedom to discuss sexuality with their friend and unmarried mothers' self-esteem. 4. The lower the external attribution, the higher was the unmarried mothers' self-esteem And those who entered into sexual relations our of love or with the promise to get married had higher self-esteem than others. 5. Unmarried mothers' family's awareness of the pregnancy, family's warm attitude and help had no bearing on the unmarried mother's self-esteem. But those unmarried mothers who discussed their situation with their family after getting pregnant had higher self-esteem than those who did not. 6. Among teenage unmarried mothers, the higher of the father's level of education, parents' trust in their children, sexual openess of the parents and the lower of the fundamental dissatisfaction of the family, the higher was the self-esteem. And those who discuss family after pregnant had higer self-esteem than those who did not. Among twenties, the higher of the father's level of education, parents trust in their children, the freedom to discuss sexuality with their friends, and the lower of the fundermental dissatisfaction, the higher was the self-esteem. And those who entered into sexual relations out of love or with the premise to get married, and those who their family have no recognition of their pregnancy was higher self-esteem. This result suggest that the importance of the family relationship of quality high self-esteem of the unmarried mothers, especially to the teenage unmarried mothers for the adaptation and new start after deliver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