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1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오영아-
dc.creator오영아-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34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34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06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14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063-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evaluation indicators on safety and health education programs provided to Korean industrial workers, by developing further. In order to develop the evaluation indicator 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program, the evaluation model was classified into Structure, Activity and Output. To develop the early evaluation indicator, the secondary analysis was made on 'Survey on Industrial safety & health trends', the national wide survey data product by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as well as the various examinations on literatures. To validate such developed evaluation indicator, the multistep-multimethod approach was made through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As the first step, 13 safety and health managers who have expertise and evaluation objectivity on the education programs within the industrial sites engaged in Focus Group discussion to prove the reliability of the content and to examine whether the developed indicators and evaluation items were properly composed. To confirm the face validity, the one-on-one interview with 6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experts was held to study the appropriateness of the content, and clarify the ambiguous or un-interpretable items. With the cooperation from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the structured survey was performed with the safety and health managers from 600 businesses who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 program for the later half of 2006. Then finally, 588 managers were screened to respond to the questionnaire in which unnecessary items were removed. In this study, the number of responses was randomly divided into 1:1 two groups, in which one group was for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other group was for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rough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questionnaire was verified and its structure was determined, to be derived to 37 evaluation indicators and 8 factors.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enabled us to check if the finally developed evaluation evaluators have relations to each evaluation area. To present the standard of its application, the priority and weight were calculated. As for such developed indicators, the evaluation categories of the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program were classified into three areas such as Structure, Activity and Output, including detailed evaluation factors by the categor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or the Structure category, 18 evaluation indicators were developed into 4 evaluation categories such as a preliminary examination, education staff and organization, education environment and rules/regulation. The preliminary examination include 「information and analysis on industrial accident」,「information on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whether as to prepare the business plan」, 「whether as to reflect the opinions from the field into planning」, 「whether as to survey on field safety and health education」 and 「survey on employer's interest in safety and health education」. The education staff and organization were composed of 「whether there is the person in charge of safety and health」, 「percentage of safety and health staff」,「whether there is the person in charge of education’,「Qualification of education staff’and「whether there is department in charge of education」. The education environment include 「whether as to have place and equipment」,「whether as to have education materials」,「whether as to operate various programs」 and「accessibility to related agencies and resources」. The rules/regulation was developed including「whether there is safety and health education rules」,「degree of safety and health education rule in practice」and「degree of safety and health education rule in practice」. Secondly, the Activity category was comprised 10 evaluation indicators with respect to 2 areas of curriculum satisfaction and program evaluation. The curriculum satisfaction include 「whether the workers recognize the goal」,「whether the workers understand the curriculum」,「whether as to satisfaction」,「whether to survey on the satisfaction on education」,「whether to survey the workers' participation ratio」,「whether there is communication channel」and「whether to use related agency and resources」. The program evaluation include the indicators such as「whether to set the education goal」,「whether to survey on the appropriateness of education theme」and「degree of completion of education plan」. Finally, for the Output category, 9 evaluation indicators were developed into 2 evaluation areas such as documentation and information share and education effects. The documentation and information share include 「whether as to document the education contents and results」,「whether to share the contents, results and information」and「survey whether to achieve the goal」. The education effects include 「survey whether to have useful contents」,「survey whether the worker s are satisfied by education」,「evaluation on the indicators」,「evaluation on whether there are changes in knowledge on safety and health」,「evaluation on whether there are changes in attitude toward safety and health」and「evaluation on whether there are changes in acts toward safety and health 」. The evaluation indicators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will possibly develop and be applied to evaluation tools on safety and health education program, which may further become the standardized indicators to better operate the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programs.;현대 사회는 다양한 형태의 위험에 직면해 있어 안전과 사고가 주요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특히 성인들이 하루 중 많은 시간을 보내는 산업장은 국민보건의 차원에서 안전보건관리가 우선적으로 필요한 곳이다. 이러한 산업장에서 발생하는 사고와 재해를 예방하기 위해서 안전보건교육의 효율적인 운영이 필요한 가운데, 산업장 안전보건교육을 활성화하고 프로그램의 질을 제고하기 위하여 평가지표 개발의 필요성이 점차 중요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업장 안전보건교육 프로그램의 평가지표를 개발하고 타당도를 검증하여, 일선 산업장 안전보건교육을 효율적으로 평가 및 관리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산업장 안전보건교육 프로그램 평가지표를 개발하기 위하여 로직(Logic)모형과 PRECEDE-PROCEED 모델을 이용한 평가모형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평가모형을 근거로 평가지표를 개발하기 위하여 한국산업안전공단 자료인‘2005년 산업안전보건동향조사’를 2차 분석하였으며, 국내외 문헌고찰을 실시하였다. 개발한 평가지표의 타당도 검증을 위해 질적조사와 양적조사를 통한 다단계 다방법론적(multistep-multimethod) 접근을 하였다. 우선 내용타당도 검증을 위해 산업장 내 교육프로그램의 전문성을 겸비하고 평가의 객관성을 갖춘 산업장 안전보건관리자 13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토의(Focus Group Discussion)를 실시하였으며, 안면타당도 검증을 위해 산업안전보건교육 전문가 6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구성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588개 산업장의 안전보건관리자를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응답수를 무작위로 1:1 두 집단으로 나눈 후, 한 집단은 실험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고, 또 다른 한 집단에는 검증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또한 평가지표 활용을 위한 기준을 제시하기 위해, 중요도 순위와 가중치를 산정하였다. 이를 통해 개발한 본 연구의 평가지표는 산업장 안전보건교육 프로그램 평가 영역을 진단평가, 과정평가, 결과평가의 세 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여, 각 영역별로 세부 평가요인을 포함하였다. 개발한 평가지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진단평가는 사전진단, 교육인력과 조직, 교육환경 및 규율/규제의 4가지 하부 영역으로 나뉘었으며 18개의 세부 평가항목으로 구성되었다. 사전진단에는 「산업재해 정보수집 및 분석여부」,「안전보건관리체계 정보수집」,「사업계획서 작성여부」,「계획수립 시 현장의견 반영여부」,「사업장 안전보건교육 실태조사 여부」,「경영자의 안전보건교육 관심도 조사」를 포함하고 있으며, 교육인력과 조직은「안전보건 담당자 유무」,「안전보건 담당인력 비율」,「교육담당자 유무」,「교육담당자의 자격」,「교육전담부서 유무」로 구성되어 있다. 교육환경에는「교육장소 및 기자재 확보 여부」,「교육자료 확보 여부」,「다양한 교육프로그램 운영 여부」,「관련기관 및 자원이용 접근성」을 포함하였다. 규율/규제에서는「안전보건교육 규제유무」,「안전보건교육 규제실천정도」,「안전보건교육 규제실천정도」를 포함하여 개발하였다. 둘째, 과정평가는 교육과정 만족도와 프로그램 평가 2가지 평가영역에 10개의 평가지표로 구성되었다. 교육과정 만족도에는「근로자 목표인지 여부」,「근로자 교육내용 이해 평가여부」,「교육내용 만족도 조사여부」,「교육방법 만족도 조사여부」,「근로자 교육참여율 조사여부」,「의사소통경로 유무」,「관련기관 및 자원활용 여부」로 구성되었으며, 프로그램 평가에는「교육목표 설정여부」,「교육주제설정의 적정성 조사여부」,「교육계획 수행정도」지표를 포함하였다. 셋째, 결과평가는 문서화 및 정보공유와 교육효과 2가지 평가영역에 9개의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문서화 및 정보공유에는「교육내용 및 결과 문서화 여부」,「교육내용 및 결과 정보공유 여부」,「교육목적달성여부 조사」가 포함되었다. 교육효과에는「교육내용의 유용성 조사여부」,「근로자 교육만족도 조사여부」,「교육강사에 대한 평가여부」,「안전보건 지식변화 평가여부」,「안전보건 태도변화 평가여부」,「안전보건 행위변화 평가여부」지표가 포함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산업장 안전보건교육 프로그램 평가지표를 통해 산업장에서의 안전보건교육과 관련된 요인 파악이 이루어졌으며, 이는 향후 산업장에서의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데 있어 요인들을 점검하고 관리해야 할 요인들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또한 산업장 안전보건교육 활성화와 질 제고방안을 위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평가지표를 통한 규모별, 업종별 교육운영 기반의 차이를 해소하기 위해 정부나 기업의 적극적인 지원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산업장 안전보건교육에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안전보건교육 프로그램 평가도구의 개발과 적용이 이루어지길 기대하며, 개발한 평가지표가 산업장의 표준화된 지침이 될 수 있도록 이에 대한 후속연구가 이어져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4 C. 연구문제 = 5 D. 용어의 정의 = 5 E. 연구의 제한점 = 8 Ⅱ. 이론적 배경 = 9 A. 산업장 안전보건교육 = 9 B. 교육프로그램 평가 = 18 C. 로직모형(Logic Model)과 PRECEDE-PROCEED 모델 = 24 D. 국내외 산업장 안전보건교육 평가지표 선행연구 = 29 Ⅲ. 연구 방법 = 33 A. 연구설계 = 33 B. 연구의 이론적 모형 = 33 C. 연구의 흐름 = 37 D. 연구내용 및 방법 = 39 1. 지표구성 단계 = 39 2. 타당도 검증 단계 = 43 Ⅳ. 연구 결과 = 53 A. 산업장 안전보건교육 프로그램 평가지표 초안 개발 = 53 1. 국내 산업장 안전보건교육자료 2차 분석 = 53 2. 평가지표 내용 = 67 3. 평가지표 초안 개발 = 84 B. 타당도 검증 = 86 1. 산업장 안전보건관리자 초점집단토의 = 86 2. 산업안전보건교육 전문가 면접조사 = 95 3. 산업장 안전보건관리자 설문조사 = 99 C. 최종 평가지표 및 세부항목 = 115 Ⅴ. 고찰 = 118 A. 평가지표 개발 방법에 대한 고찰 = 118 B. 산업장 안전보건교육 프로그램 평가지표에 대한 고찰 = 121 Ⅵ. 결론 및 제언 = 127 참고문헌 = 130 부록 1. 산업산업장 안전보건교육 프로그램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설문조사 = 146 Abstract = 14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4787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53-
dc.title산업장 안전보건교육 프로그램 평가지표 개발-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 on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Program-
dc.creator.othernameOh, Young Ah-
dc.format.pageⅲ, 152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보건교육학과-
dc.date.awarded200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보건관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