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3 Download: 0

읽기장애아의 정보처리과정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Title
읽기장애아의 정보처리과정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Analysis of Information Processing Patterns in Specific Reading Disability
Authors
김영의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심리전공
Keywords
읽기장애아정보처리과정특성분석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정보처리적인 관점에서 읽기과정을 분석하여 읽기장애아들의 기초 인지 정보처리과정의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읽기장애를 포함한 학습장애에 대한 이해와 이들을 위한 교육적 판별 준거가 부족한 우리나라의 현상황에서 본 연구는 읽기장애를 중심으로 정보처리과정상의 특성을 규명하고 연구 결과를 기초로 읽기장애 판별을 위한 참조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은 물음에 대한 답을 얻기위한 것이다. ① 학년이 동일한(grade-matched) 2학년 읽기장애집단과 읽기우수집단간에 주요한 차이를 보이는 정보처리적 변인은 무엇인가? ② 읽기 수준이 동일한(reading-level-matched) 4학년 읽기장애집단과 2학년 읽기우수집단간에 주요한 차이를 보이는 정보처리적 변인은 무엇인가? ③ 2학년 읽기장애집단과 4학년 읽기장애집단간에 주요한 차이를 보이는 정보처리적 변인은 무엇인가? ④ 읽기장애집단의 정보처리과정상의 집단내 강점과 약점이 무엇인가? 본 연구는 서울지역 소재 초등학교에 재학중인 2학년, 4학년 아동 123명을 대상으로 1차, 2차 선별과정과 평가를 통해 2학년 읽기장애집단, 4학년 읽기장애집단, 2학년 읽기우수집단 각각 16명을 선정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하위정보처리과정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두 단계로 수행되었다. 첫번째 단계는 읽기장애아와 읽기우수아를 선별하는 단계로서, 학교에서의 평소 관찰과 성적을 근거로 교사에 의해 1차적으로 선별된 아동을 대상으로 지능검사, 비언어지능검사, 읽기성취검사에서 얻은 점수를 근거로 두 집단을 선정하였다. 두번째 단계에서는 읽기장애아들과 읽기우수아들의 정보처리과정상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읽기 정보처리과정을 청각/언어정보처리과정, 시각/상징정보처리과정, 언어/상징연합처리과정으로 구분하여 각 하위 과정에 해당되는 검사를 집단적으로 그리고 개별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2학년 읽기장애집단(grade-matched)과 4학년 읽기장애집단(reading-level-match)은 유사한 정보처리 특성을 보였다. 1) 청각/언어정보처리과정과 시각/상징정보처리과정의 영역에서 음소지각과 단기기억/작업기억의 결함을 보였다. 2) 시각정보처리과정중 시공간관계능력, 시각운동통합력에서 결함을 보였다. 3) 언어상징연합처리과정에서 자소-음소대응규칙의 적용성에 결함을 보였다. 2. 2학년 읽기장애집단은 2학년 읽기우수집단과의 비교에서 정보처리 과정의 여러 영역에서 차이를 보였다. 정보처리과정에서 음운처리과정, 시각.청각 자극의 기억과 시각적 부호와 청각적 부호간의 통합에 의한 처리과정(부호화/해부호화과제에 요구하는 자소-음소 대응)과 기억에서 차이를 보였다. 3. 4학년 읽기장애집단은 정보처리과정의 여러 영역에서 읽기수준이 같은 읽기우수집단과 유사한 정보처리특성을 보였다. 그러나 전체 22개 하위검사중 14개 하위검사의 평균이 2학년 읽기수준집단보다 낮은 분포를 보였다. 또한, 정보처리과정에서 시각,청각 자극의 기억과 시각적 부호와 청각적 부호간의 통합에 의한 처리과정(부호화/해부 호화과제에 요구하는 자소-음소 대응)에 있어 차이를 보였으며 RAN검사(Rapid Automatized naming)에서는 2학년 읽기우수집단에 비해 빠른 반응속도를 보였다. 4. 2학년 읽기장애집단과 4학년 읽기장애집단은 의미이해를 요하는 단기기억 /작업기억에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에서 알 수 있는 것은 일반적으로 읽기에서의 곤란을 보이는 경우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극복될 수 있으리라는 낙관적인 전망이 어떤 아동들에게 있어서는 가능한 경우도 있지만 읽기 학습에 요구되는 정보처리과정의 결함이 있는 경우에는 연령증가에 따른 자연적인 극복이 어려움을 의미한다. 또한 연령증가와 더불어 읽기성취와 생활연령간의 불일치가 커진다는 것은 초기 읽기학습에서 치료적 중재(intervention)가 개입되지 않으면 읽기문제는 더욱 심화될 수 있음을 암시한다. 또한 본 연구에 참여한 읽기장애아들이 학교학습에서 저조한 성적을 보이는 것은 읽기곤란이 전반적 학습성취에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옴을 알 수 있는 실증적 예가 될 것이다. 본 연구 결과는 읽기장애아동이라는 일반적 범주에 속하는 아동들이라도 세부적인 정보처리에 있어서 각 개인이 지니고 있는 이질적인 요인들을 밝혀내므로서 개개인의 정보처리상의 강점과 약점을 판별할 수 있는 일차적인 준거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This study investigated specific processing strengths and weaknesses among three groups of readers who ranged in grade from 7 through 10 years. The study examined the potential contribution of a range of processing factors to reading success and failure at early and later stgrades of reading development. This was achieved by comparing the performance of second graders who were meeting with success in reading acqusition(successful readers) with the performance of both grade-matched and reading-level-matched students who were experiencing difficulty(unsuccessful readers). The study was guided b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 1. What information-processing variables differentiate groups of grade-matched second-grade RD(reading disability) and successful second grade readers? 2. What information-processing variables differentiate groups of reading-level-matched successful second grade readers and older disabled readers? 3. What information-processing variables differentiate groups of second grade unsuccessful readers and older disabled readers? Subjects were drawn from an elementary school in Seoul. The study was conducted in two phase : (a) a pretest phase, in which subjects were selected who met general reasoning, intelligence, reading achievement criteria ; and (b) a testing phase, subjects were assessed on measures that tapped underlying auditory/ linguistic processes, visual/symbolic processes, and processes requiring the integration of auditory/linguistic and visual/symbolic information. There was a total of 48 subjects, with 16 in each of the three groups.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second grade unsuccessful and the older unsuccessful readers had similar information-processing patterns. But they differed significantly from the second-grade successful readers on short-term auditory/working memory and decoding/encoding. 2. When separately compared to the successful readers, the grade-matched group showed weakness remembering auditory/visual stimuli(digit span, visual memory, visual sequential memory), phonological coding, visual-motor coordination as well as at processing auditory/visual stimuli(letter-sound connections required by the decoding/encoding tasks) 3. Like the unsuccessful readers, the older weak readers had problems in recalling series of numbers(digit span) and figures(visual sequential memory). In addition, they showed inferior performance compared to the successful readers(reading-level-matched) on tests of visual-motor integration and nonword reading. They attained lower mean scores on 14 of the 22 variables. 4. The younger readers(successful and unsuccessful readers) showed inferior performance compared to the older readers in speed of sequential repetitive naming of letters and numbers. Speed on the RAN tasks improved with grade, probably both because exposure to letters and numbers increases with grade and because reaction time decreases with grade. 5. When separately compared to the second grade unsuccessful readers and the older readers, the second grade unsuccessful readers showed weakness auditory memory(semantic proce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