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은진-
dc.creator이은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58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58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2525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12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5253-
dc.description.abstract수퍼비젼은 기관의 정책과 절차에 따라 질적으로나 양적으로 클라이언트에게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1995년 정신보건법의 제정 이후로 정신보건영역에 대한 관심과 욕구가 증가하면서 보다 전문화된 지식과 기술을 갖춘 인력이 필요로 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보건복지부에서는 동일한 수련체제를 가지고 정신보건사회복지사와 정신보건임상심리사, 정신보건간호사를 위한 수련을 각 전문직에 요구하였고, 본격적인 수련제도의 실시로 인해 정신보건 사회복지사의 양적 증가와 함께 수퍼비젼의 중요성이 인정되었다. 수퍼비젼은 중간관리자인 수퍼바이져와 일선 실천가인 사회복지사의 긍정적인 관계 속에서 수퍼바이져와 수퍼바이지 상호간의 자기인식을 통한 적절한 수퍼비젼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적절한 수퍼비젼은 사회복지사의 자질 향상을 통한 전문적이고 효율적인 업무수행과 클라이언트에게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 나라 정신보건시설에서 실시하는 수퍼비젼의 실태를 알아보고 행정적, 교육적, 지지적 수퍼비젼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현행 정신보건시설 수퍼비젼 제도의 개선방안에 유용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 동안 선행연구는 주로 사회복지관에서 실시하는 직원 수퍼비젼을 조사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정신보건영역에서의 수퍼비젼에 관한 기초 조사도 없는 실정이어서 본 연구를 통해 정신보건시설에서의 효율적이고 전문적인 수퍼비젼 체계 확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조사는 서울과 경기지역에 소재한 정신보건시설 119곳에 근무하는 직원인 일반 사회복지사와 수련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는 Kadushin의 수퍼비젼의 3대 기능인 행정적, 교육적, 지지적 수퍼비젼의 구조를 토대로 Middleman & Rhoders의 수퍼비젼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질문지로 재구성한 김윤정(1999년)의 척도를 그대로 사용하였고 총 30문항으로 Cronbach´ alpha 값 .9599으로 높은 신뢰도를 보여주고 있다. 조사내용으로는 ① 정신보건시설의 수퍼비젼 실태 ② 정신보건시설의 행정적, 교육적, 지지적, 수퍼비젼의 인식정도 ③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수퍼비젼 실태에 따른 행정적, 교육적, 지지적, 수퍼비젼의 인식차이 ④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사항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총 283부(일반 사회복지사 204부, 수련 사회복지사 79부) 중 186부(일반 사회복지사 126부, 수련 사회복지사 60부)가 회수되어 65.7%의 회수률을 보였으며, 불충분한 설문지를 제외한 181부(일반 사회복지사 122부, 수련 사회복지사 59부)를 분석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WIN PC 통계프로그램 10.0을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을 알아보는 기술적 분석, T-test, F 검증,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수퍼비젼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변량분석(ANOVA)을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퍼비젼 실태를 보면, 조사기관의 절반인 54.1%가 정도는 정기적으로 수퍼비젼이 실시하였고, 빈도는 주 1회 실시가 가장 많았다. 일반 사회복지사의 경우 결재나 보고 시 수시로 수퍼비젼이 이루어지는 반면, 수련사회복지사의 경우엔 수퍼바이져와의 정기적인 수퍼비젼 시간에 대부분 이루어진다고 응답해 정신보건시설의 직원 수퍼비젼이 전문적인 수퍼비젼 보다는 업무지시의 형태로 이루어진다는 것으로 알 수 있었다. 개별 수퍼비젼, 수퍼바이져에 의한 집단 수퍼비젼의 유형이 주를 이루었고 그 형태는 구두, 서면·기록 순이었으며, 수퍼비젼의 내용은 담당 사례관련 내용과 행정적 업무지시가 많이 차지하였다. 수퍼비젼에 임하는 태도에 있어서 수퍼바이져, 수퍼바이지 모두 65% 이상이 적극적 태도라고 응답했다. 특히, 전체 응답자의 93.2%가 수퍼바이져를 위한 교육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응답했으며, 그 교육 내용으로는 담당 사례관련내용, 실천이론과 기법, 수퍼바이지의 개인적 성장과 인간관계 등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수퍼비젼에 대한 평균 만족도는 3.39로 나타나 그다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수퍼비젼에 대해서 만족하는 이유는 '업무와 관련된 문제를 수퍼바이져와 상의할 수 있어서 도움이 되었다.'는 의견이 많은 반면에 만족하지 못하는 이유는 '수퍼바이저가 사회복지사로서의 성장에 많은 도움을 주지 못하는 것'과 '수퍼비젼 시간이 충분하지 못하다'는 의견이었다. 수퍼비젼의 장애요인으로는 35.4%가 수퍼비젼 시간의 부족을 꼽았고, 수퍼바이져와의 관계형성의 어려움과 슈퍼바이지 자신의 지식과 기술 부족을 들었다. 대부분의 수퍼바이지들은 주 1회 이상의 정기적인 수퍼비젼을 원하였다. 둘째, 수퍼비젼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인식정도를 분석한 결과 행정적 수퍼비젼의 역할과 기능 인식이 평균 3.69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교육적 수퍼비젼이 3.60, 지지적 수퍼비젼 3.56으로 대체로 차이가 적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수련 사회복지사의 경우, 수련과정이므로 교육적 수퍼비젼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은 반면 일반 사회복지사의 경우 행정적 수퍼비젼 다음으로 지지적 수퍼비젼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왔다. 결과적으로 행정적 기능과 역할에 대한 인식이 높은 이유는 조사 대상자의 근무경력이 많지 않으므로 실천현장에서 행정적 수퍼비젼이 더욱 요구될 수 있으며, 일반 사회복지사의 경우 수퍼바이저의 지식과 기술이 더욱 필요한 교육적 수퍼비젼 보다는 업무와 연관된 행정적 수퍼비젼의 실시가 용이하여 이와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볼 수 있고, 수련 사회복지사의 경우는 전문적인 사회복지로 성장할 수 있는 필수적인 교육과정이라는 것 자체가 그 이유라고 보여진다. 행정적 수퍼비젼의 인식도를 살펴보면, 사회복지사의 전문적인 발달보다는 업무와 관련된 행정적 부분의 인식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교육적 수퍼비젼의 인식도를 분석하면 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개별화된 지도나 업무수행에 요구되는 지식, 기술 제공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지적 수퍼비젼 인식 결과를 보면 사회복지사의 업무로 인한 스트레스와 소진을 예방하는 지지적 수퍼비젼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퍼비젼 실태와 수퍼비젼 인식도와의 차이를 살펴보면, 수퍼비젼 시간이 정례적으로 '있다'고 응답한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전체, 행정적, 교육적, 지지적 수퍼비젼의 기능과 역할 인식에 대해 모두 유의미하게 긍정적으로 반응했다. 수퍼비젼 빈도가 많은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행정적·교육적·지지적 수퍼비젼 기능과 역할에 관한 인식에 있어 모두 유의미하게 긍정적으로 지각하였다. 수퍼비젼 시기에 따라서도 전체, 행정적·교육적·지지적 수퍼비젼 기능과 역할에 관한 인식에 유의미하게 차이를 보였다. 특히, 수퍼비젼이 정기적이거나, 수퍼바이져가 원할 때 수퍼비젼을 실시할 때 수퍼비젼의 기능과 역할에 있어 유의미하게 보다 긍정적으로 지각했다. 수퍼비젼의 유형이 개별과 집단 수퍼비젼 모두인 경우와 개인 수퍼비젼 일수록 수퍼비젼 기능과 역할 중 전체, 행정적·교육적·지지적 수퍼비젼 모두에 대해 보다 유의미하게 긍정적으로 반응했다. 수퍼비젼을 받는 수퍼바이지의 태도가 보다 적극적일수록 수퍼비젼 기능과 역할 중 행정적, 교육적, 전체에 대해 보다 유의미하게 긍정적으로 반응했고, 수퍼비젼 기능과 역할 중 지지적 수퍼비젼도 유의미한 경향으로 긍정적으로 반응했다. 특히 수퍼바이지의 태도가 적극적일수록, 그렇지 않은 수퍼바이지에 비해 수퍼비젼 기능과 역할에 있어 행정, 교육, 전체점수에 있어 모두 유의미하게 점수가 높았다. 또한 수퍼바이져의 태도가 보다 적극적일수록 수퍼비젼 기능과 역할 중 행정적·교육적·지지적 수퍼비젼과 전체에 대해 보다 유의미하게 긍정적으로 반응했다. 특히 수퍼바이져의 태도가 적극적일수록, 그렇지 않은 수퍼바이져에 비해 수퍼비젼 기능과 역할에 있어 행정, 교육, 지지, 전체점수에 있어 모두 유의미하게 점수가 높았다. 넷째, 수퍼바이져의 특성에 따른 수퍼비젼 인식도와의 차이를 살펴보면, 여성 수퍼바이저를 둔 응답자들이 남성 수퍼바이져를 둔 응답자들에 비해 교육적 수퍼비젼 기능과 역할에 긍정적으로 지각했다. 수퍼바이져의 나이가 적을수록 수퍼바이지가 보다 전체 수퍼비젼 기능과 역할과 지지적 수퍼비젼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지각에 있어 긍정적으로 지각했다. 수퍼바이져가 사회복지사인 경우 타 분야의 전문가를 수퍼바이저로 둔 응답자에 비해 행정적·교육적·지지적 측면에 대한 지각에 있어 모두 유의미하게 차이가 났으며, 긍정적으로 지각하였다. 수퍼바이져의 학력이나 자격, 사례담당여부에 따른 응답자의 수퍼비젼 기능과 역할에 대한 지각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고, 단지 행정적 수퍼비젼 기능과 역할에 있어, 사례를 담당하는 수퍼바이저져 둔 응답자자가 사례를 담당하지 않는 수퍼바이져를 둔 응답자에 비해 행정적 수퍼비젼의 기능과 역할에 대해 긍정적으로 지각하는 경향을 보였다. 다섯째, 수퍼바이지의 특성에 따른 수퍼비젼 인식도와의 차이를 살펴보면, 수퍼바이지의 성별에 있어 남성 수퍼바이지들이 여성에 비해 행정적·교육적 수퍼비젼 그리고 전체 수퍼비젼 역할에 대해 보다 긍정적인 지각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퍼바이지의 현 근무지가 병원일수록 정신보건센터에 비해 전체, 행정적, 교육적 수퍼비젼 인식에 대해 유의미하게 긍정적으로 지각했다. 수퍼바이지의 학력이나 나이에 따른 응답자의 수퍼비젼 기능과 역할에 대한 지각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수퍼바이지 중 비 정신보건사회복지사와 정신보건사회복지사 간의 수퍼비젼 기능과 역할에 대한 인식 중 교육적 수퍼비전에 대해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나머지 행정적·지지적 수퍼비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즉 비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인 정신보건 수련생이 정신보건 사회복지사에 비해 교육적 수퍼비전의 기능 및 역할에 대해 보다 유의미하게 긍정적으로 반응했다. 여섯째, 수퍼바이져는 67%가 여성이었고, 평균 연령은 41.2세였으며 응답자의 87.3%가 석사과정 이상으로 높은 학력이었다. 전체응답자의 76.8%가 사회복지사였고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자격증 소지자는 그 중 87%였고, 타 전문직이 수퍼바이져인 경우도 23.2%나 되었다. 수퍼바이져의 사회복지 경력은 평균 9년 5개월로 나타났고, 현 근무지에서 평균 64.8개월로 재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형태는 대부분이 전일제였으며, 수퍼바이져로서의 경력은 평균 52.32개월(4년 3개월)로 나타났고, 담당 수퍼바이지의 수는 일반 사회복지사의 수퍼바이져는 평균 3.9명의 수퍼바이지를 담당하였고, 수련 수퍼바이저는 학회 규정과 동일하게 평균 2.98명을 관리하고 있어 비교적 적정 수준의 수퍼바이지를 관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수퍼바이저 중 77.9%가 현재 직접 사례를 담당하고 있었다. 일곱 번째, 본 조사의 응답자들은 일반 사회복지사가 122명으로 67.4%, 수련 사회복지사가 59명으로 32.6%에 해당해 일반 사회복지사의 수가 많았으며, 성별로는 81.8%가 여성으로 정신보건 영역에서는 대부분 여성이 남성보다 많이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연령은 일반 사회복지사가 27.66세, 수련 사회복지사가 26.71세를 나타냈으며, 석사과정이상의 학력을 소지한 자가 전체 응답자의 43.1%로 나타나 타 사회복지분야보다 높은 학력분포를 보였다. 자격에서는 조사 대상자의 99.4%가 사회복지사 1 급 자격증으로 소지하였고, 일반 사회복지사 중 정신보건 전문요원 자격증을 소지한 자가 57.4%인 것으로 나타나 높은 자격증 소지률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나온 결과를 토대로 정신보건시설에서 이루어지는 직원 수퍼비젼과 수련 수퍼비젼의 개선방안을 위해 다음과 같이 기관, 수퍼바이저, 정책적 차원에서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수퍼비젼을 실시하고 있는 기관 차원에서 살펴보면, 연구 결과에서 나타나듯 수퍼비젼의 올바른 확립을 위해 기관의 제도적인 측면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기관에서는 수퍼비젼을 기관의 공식적인 업무규정으로 공식화시키는 것이 시급하다. 수퍼비젼은 기관마다 실시여부를 선택할 사항이기보다는 사회복지사로서의 전문성을 발달시키기 위해서 필수적인 요소이다. 수퍼비젼에 대한 수퍼비젼에 대한 일반 사회복지사와 중간 관리자의 올바른 인식과 태도도 요구되지만 그보다 기관 차원의 배려와 이해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수퍼비젼을 권고사항이 아닌 의무규정으로 공식화시켜야 할 것이다. 둘째, 수퍼바이져의 재교육과 수퍼비젼을 하나의 업무로 받아들이는 작업이 필요하다. 정신보건시설에서의 수퍼바이저는 보다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이 요구되고, 소진되기 쉬운 대상에게 개입하는 수퍼바이지를 지도감독하고 수퍼바이지가 전문가로써 성장하기 위해 본연의 역할을 담당하기 위해서는 이들을 위한 지속적이고 체계화된 교육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러한 수퍼비젼 실시의 장애요인으로 수퍼비젼 시간부족을 둘 수 있는데, 수퍼비젼을 중요한 하나의 업무로 .인식하여 실시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정책적인 차원에서 수퍼비젼을 기관의 필수적인 업무로 제시하여 기관 평가에 실질적인 측면으로 작용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ⅸ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 1 B. 연구목적 및 내용 = 3 C.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수퍼비젼의 개념 및 정의 = 5 B. 수퍼비젼의 목표 = 6 C. 수퍼비젼의 기능과 역할 = 6 1. 행정적 수퍼비젼의 기능과 역할 = 9 2. 교육적 수퍼비젼의 기능과 역할 = 14 3. 지지적 수퍼비젼의 기능과 기능 = 20 D. 수퍼비젼 모델과 수퍼비젼 스타일 = 25 1. 수퍼비젼 모델 = 25 2. 수퍼바이져의 스타일 = 28 3. 수퍼바이져의 특성 = 32 4. 수퍼바이져의 특성 = 34 Ⅲ. 연구방법 = 38 A. 연구질문 = 38 B. 연구대상 및 표집방법 = 38 C. 용어의 정의 = 39 D. 조사도구 = 40 E. 연구절차 = 40 F. 분석방법 = 41 Ⅳ. 연구결과 = 42 A.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 42 1. 연구대상의 연구사회학적 특성 = 42 2. 기관의 특성 = 46 3. 수퍼바이져 특성 = 47 B. 수퍼비젼 실태 = 52 C. 수퍼비젼 기능과 역할 인식도 = 59 1. 행정적 수퍼비젼 기능과 역할 인식도 = 60 2. 교육적 수퍼비젼 기능과 역할 인식도 = 60 3. 지지적 수퍼비젼 기능과 역할 인식도 = 61 D. 수퍼비젼의 만족도 = 62 E.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수퍼비젼 역할 인식의 차이 = 66 F. 수퍼비젼 실태에 따른 수퍼비젼 기능과 역할 인식의 차이 = 77 Ⅴ. 결론 및 제언 = 83 A. 연구결과 = 83 B.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 88 참고문헌 = 89 부록 = 9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64423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c.subject정신보건시설-
dc.subject수퍼비젼-
dc.subject정신보건-
dc.title정신보건시설의 수퍼비젼 실태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xiii, 9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02. 8-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