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4 Download: 0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차별적 양육행동

Title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차별적 양육행동
Other Titles
(The) Parental Differential Treatment perceived by Children : Antecedents and its relations to their Self-Esteem
Authors
상미현
Issue Date
1998
Department/Major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Keywords
아동부모양육행동자아존중감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형제간 비공유환경인 부모의 차별적 양육행동의 선행변인(성, 출생순위, 형제간 성구성, 기질)이 무엇인가를 밝혀보고, 부모의 차별적 양육행동과 아동의 자아존중감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Daniels와 Plomin(1985)이 고안한 SIDE(Sibling Inventory of Differential Experience) 중 Differential Parental Treatment Scale과 Buss와 Plomin(1984)이 개발한 EAS(Emotionality, Activity, Sociability), 그리고 Coopersmith(1981)의 SEI(Self-Esteem Inventory)를 근거로 제작된 질문지들을 이용하여 한 명의 형제자매를 둔, 초등학교 5-6학년에 재학중인 310명의 남녀아동들(남아: 161명, 여아: 149명)을 대상으로 조사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애정적 차별행동은 아동의 출생순위에 따라, 어머니의 통제적 차별행동은 아동의 성과 출생순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첫째아는 둘째아보다 어머니의 애정과 통제를 더 많이 받는 것으로 지각하였으며, 남아는 여아보다 어머니의 통제를 더 많이 받는 것으로 지각하였다. 아버지의 통제적 차별행동은 아동의 성과 출생순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첫째아는 둘째아보다, 남아는 여아보다 아버지의 통제를 더 많이 받는 것으로 지각하였다. 아버지의 애정적 차별행동은 성과 출생순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어머니 및 아버지의 차별적 양육행동에 대한 성과 출생순위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적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형제간 연령차를 통제했을 때, 아동의 성구성은 어머니의 애정적 차별행동과 통제적 차별행동, 그리고 아버지의 통제적 차별행동과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었다. 남아-여아의 성구성에서 오빠의 경우 가장 어머니가 자신을 형제보다 더 편애하는 것으로 지각하였으며, 남아-남아의 형과 남아-여아의 오빠의 경우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가 형제보다 자신을 더 많이 통제하는 것으로 지 각하였다. 둘째, 아동의 성과 출생순위를 통제했을 때, 아동의 정서성, 활동성, 그리고 사교성 등의 기질특성은 어머니와 아버지의 차별적 양육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차별적 양육행동과 아동의 자아존중감간의 관계를 아동의 성별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남아의 경우 어머니의 애정 및 통제적 차별행동 모두에서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유의적인 관계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아버지의 차별행동에서도 아무런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즉, 남아는 어머니와 아버지의 애정과 통제적 차별행동에 따라 자아존중감이 유의적으로 달라지지 않았다. 반면에, 여아의 경우에는 어머니의 애정 및 통제적 차별행동은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어서, 어머니가 자신을 더 편애한다고 지각할수록 높은 자아존중감을, 어머니가 자신을 더 통제한다고 지각할수록 낮은 자아존중감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아버지의 차별적 양육행동은 여아의 자아존중감과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어머니와 아버지의 차별적 양육행동의 일치여부는 애정 및 통제적 차별행동에서 남아의 자아존중감과는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지 못한 반면, 여아의 경우에는 애정 및 통제적 차별행동 모두에서 일치여부에 따라 자아존중감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애정적 차별행동의 일치여부에서는 아버지의 차별적 양육행동에 상관없이 어머니가 형제를 더 편애한다고 지각하는 세 집단이 어머니가 자신을 더 편애한다고 지각하는 세 집단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자아존중감을 나타냈다. 또한 통제적 차별행동의 일치여부에서도 여아의 자아존중감은 아버지의 차별적 양육행동에 상관없이 어머니가 자신을 더 통제한다고 지각하는 세 집단이 어머니가 공평하게 대우한다고 지각하는 세 집단보다 자아 존중감이 낮게 나타나서, 여아의 자아존중감에는 어머니의 차별적 양육행동이 아버지의 차별적 양육행동보다 더 큰 영향력을 갖고 있었다.;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1)antecedents of parental differential treatment(sex, sibling order, sex composition, and the child's temperaments) and (2)the relations between parental differential treatment and the child's self-esteem. The subjects were 310 fifth and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Data were collected using three kinds of questionnaires on parental differential treatment, child's temperament, and child's self-esteem.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re was a main effect of birth order on differential maternal affection. Older siblings received more differential maternal affection than younger ones. There were main effects of sex and birth order on differential maternal control. Boys and older siblings received more differential maternal control than girls and younger ones.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of child's sex and birth order. Differential paternal affect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s a function of child's sex and birth order, while differential paternal control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s a function of child's sex and birth order.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of child's sex and birth order.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differential maternal affection and differential parental control as a function of sibling's sex composition. 2. Child's temperament(emotionality, activity, and sociability)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arental differential treatments. 3. Girls self-esteem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aternal differential treatments and accordance of parental differential treatment while boy's self-esteem we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arental differential treatment. The more differential maternal affection they perceive, the higher self-esteem they have. The more differential maternal control they perceive, the lower self-esteem they have. The most powerful predictor on girls self-esteem was differential maternal affection. In general, mothers had more powerful influences on self-esteem than fathers. In conclusion, child's sex, birth-order, and sibling's sex composition had influences on parental differential treatment and parental(especially maternal) differential treatment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children's self-esteem. differential maternal control than girls and younger ones.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of child's sex and birth order. Differential paternal affect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s a function of child's sex and birth order, while differential paternal control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s a function of child's sex and birth order.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of child's sex and birth order.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differential maternal affection and differential parental control as a function of sibling's sex composition. 2. Child's temperament(emotionality, activity, and sociability)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arental differential treatments. 3. Girls self-esteem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aternal differential treatments and accordance of parental differential treatment while boy's self-esteem we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arental differential treatment. The more differential maternal affection they perceive, the higher self-esteem they have. The more differential maternal control they perceive, the lower self-esteem they have. The most powerful predictor on girls self-esteem was differential maternal affection. In general, mothers had more powerful influences on self-esteem than fathers. In conclusion, child's sex, birth-order, and sibling's sex composition had influences on parental differential treatment and parental(especially maternal) differential treatment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children's self-estee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