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9 Download: 0

시내 일부 중학교의 보건교육 요구도 조사

Title
시내 일부 중학교의 보건교육 요구도 조사
Other Titles
(The) study on needs accessment of health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 for health education curriculum development
Authors
윤영옥
Issue Date
1998
Department/Major
대학원 보건교육학과
Keywords
중학교보건교육교육과정개발요구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중학교 3년간의 교육과정과 이에 따른 경험은 평생 건강관리를 위한 지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이 크며, 잘못된 건강습관및 행동의 변화를 통해 바람직한 건강행동양식으로 고취될 수 있다. 그리고 1997년 12월 30일 발표된 제7차 교육개정안에서조차 중학교 교육과정의 목표를 전인적 성장과 조화로운 심·신의 발달로 서두에서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이를 효과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보건교육은 단지 교장 재량의 여러 선택과목 중 하나로 제시될 뿐 실제 보건교육을 지도하려 할 때 필요한 교육내용과 방법 및 평가 등이 구체적으로 정립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보건교육 교육과정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1998년 3월 20일에서 4월 7일까지 18일 동안 학생 611명과 교사 200명에게 건강에 관한 흥미와 교육방법, 평가 등을 기초조사에서 수정된 설문지를 도구로 직접 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전산 부호화한 후 spss 7.0 package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 중 성별분포는 남학생 51.1%, 여학생 48.9%이었으며, 교사는 여교사가 59.0%로 남교사보다 18% 더 많았으며 평균 연령이 37.4세였고 과학담당과목 교사가 42.5%로 가장 많았다. 2. 학생들의 건강인식은 85.9%가 건강한 편이라고 인식하였으며 건강행위의 경우 편식하는 학생이 19.5%, 흡연 경험이 있는 학생이 12.9%, 음주경험이 있는 학생이 35.0%, 각성제 사용경험이 있는 학생이 3.3%가 있었고, 여학생에 비해 남학생일수록 그리고 학년이 높을수록 많았다. 3. 보건교육 현황은 학생들의 86.5%가 보건교육에 관한 수업을 받았으며, 83.7%가 보건교육전문가 흑은 양호교사로부터 배웠고, 보건교육 내용 중 성교육(86.8%)에서 인지도가 가장 높았다. 응답학생의 학생 62.7%, 교사 95.9%가 보건교육은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학생 43.3%, 교사 62.1%가 보건교육 수업시간을 주당 1시간씩이 적당하다고 하였으나 응답교사의 85.2%가 보건교육 수업과 그 평가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하였다. 교사의 46.9%가 대학교에서 보건관련 교육내용을 배웠으며, 42.3%가 가르치기에 교육내용이 부족함을 지적하였다. 4. 보건교육 교육내용에 대한 흥미 및 요구도는 학생들의 경우 남녀학생 모두 정신건강, 일상생활습관, 가정과 성, 신체발육발달과 영양의 순이었고 6위부터는 성별 차이가 있었다. 교사들의 경우는 약물오남용, 환경보건, 정신건강, 가정과 성의 순으로 응답학생과 차이가 있었다. 학년별로는 모든 학년에서 정신건강의 요구도가 제일 높았으며 다음으로 일상생활습관, 신체발육발달과 영양, 가정과 성 등이 학년별로 다소 순위가 다르게 보였다. 5. 교사들의 보건교육 수업 방법은 강의, 토론 순이었으며, 달리 개선하고 싶은 방법은 토론, 조사 순이었으며, 현재는 주로 주·객관식 시험과 객관식 시험으로 평가되고 있지만 그 방법에 대하여 81.6%가 만족하지 않았으며, 시험보다는 보고서 검토 및 관찰과 면담 등 실기를 겸한 개선방법을 선호하고 있었다.;Health education is necessary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however, it is just described in 7th curriculum revision edition about middle school, While the middle school student's health education isn't really operated in curriculum of school. Therefore this research has been attempted to measure on the health status, perception, experience and needs for health education by 811 respondents,; 611 students and 200 teachers of middle school in Seoul. 1. There were 611 students, 51.2% in male, 48.9% in female. and 200 teachers, 51% in male, 49% in female there was 42.5% science teachers 2. For the student's acknowledge of health, 85.9% students thought that they 're in a good health. but for the students' health behavior, 19.5% of students had a unbalanced diet, 12.9% of smoking, 35.0% of drinking and 3.3% of stimulant experience.; the numbers of girl-students in smoking, drinking, stimulant experience, and drug abuse were more than those of boy-studen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moking, drinking, stimulant experience, and drug abuse of students on school year. 3. For the health education class, 86.5% of students had taken health education class.; the majority(83.7%) was by health educator or school nurse, in the acknowledge of the health education Sex education is the highest(86.8%). 62.7% of students and 95.9% teachers responded positively to the need of health education, 43.3% students and 62.1% teachers asked 1 hour a week for a health education class. 46.9% of teachers had taken a health education class in university; 85.2% of teachers answered that health education and evaluation were not satisfactory. 4. The ideal areas of health education showed differences in students and teachers.; The best ideal area of health education for students were Mental health, Health-habit, Family-sex education, Nutrition * growth and development in sequence.; there were difference in 6th later sequence on sex.; The best for teachers were Drug abuse, Environmental health and Mental health.; the best ideal area of health education which every school-year-student answered same was mental health. 5. The teaching method in health education was 'lecture' and 'discussion' in order, teaching method which they wanted to improve were 'discussion' and 'reseach' in each area.; Evaluation method of teachers was as followings: 'objective - subjective-mixed test' and 'objective-test'. 81.6% answered unsatisfactory about the method and evaluation method that they wanted to improve showed difference in each are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보건관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