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5 Download: 0

신체화장애 환자군 부모와 정상군 부모의 양육태도에 관한 비교연구

Title
신체화장애 환자군 부모와 정상군 부모의 양육태도에 관한 비교연구
Authors
신행호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Keywords
신체화장애환자군부모정상군부모양육태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신체화장애는 정신적 사회적 스트레스 또는 갈등이 다수의 그리고 만성적 신체증상으로 나타나고 있는 상태이다. 그 증상들은 의학적으로 설명이 되지 않아 환자들은 흔히 병원들을 전전하게 된다. 발병연령은 10대 후반에 많고, 임상적으로 타 정신질환에 비해 약물치료에 큰 반응이 없어 보통 일생을 통해 만성적인 경과를 거치게 된다. 외국의 선행연구들은 신체화장애를 비롯한 신체형 장애들이 부모의 역기능적인 양육태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이들 연구에 근거하여 가족치료와 행동수정, 인지치료 등을 병행해 신체화장애 환자 가족에게 개입을 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이 질환에 대한 정확한 통계조차 없으며, 정신의료사회사업이나 정신의학 분야에서 신체화장애 환자와 부모의 양육태도와의 관련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거의 없는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체화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그들 부모의 양육태도를 정상군과 비교,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실제적으로 신체화장애 환자가 정신과나 정신병원에 입원하게 되어도 약물 치료이외의 다른 치료는 받지 못하고 있다. 외국의 선행연구들은 이 질환이 부모의 양육태도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이에 대한 연구가 매우 미흡해 임상사회복지사가 신체화장애 환자 가족에게 적절한 개입을 할 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신체화장애 환자와 부모의 양육태도와의 관련성을 평가하여 신체화장애 환자와 가족에 대한 개입 타당성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연구에서는 가족과 신체화장애를 주제로 한 국내외의 문헌 및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조사연구는 한국판 부모-자녀 결합형태 검사지를 이용해 신체화장애 환자군과 정상군 부모의 양육태도를 돌봄과 과잉보호 차원에서 비교해 보았다. 연구 대상자는 정신과 전문의에 의해 신체화장애 진단을 받은 16-25세까지의 남·녀 환자 30명과 환자군과 성별, 연령, 학력의 통제변수에 맞게 짝짓기 한 정상군 30명을 선정하였다. 자료수집은 1995년 1월 5일부터 8월 31일까지 였으며, 서울의 개인 정신병원 2곳에 입원중이거나 외래 통원중인 신체화장애 환자들 중 연구대상 선정기준에 맞는 환자를 선정하였다. 자료는 부호화 과정을 거쳐 SPSS/PC+ 프로그램으로 전산처리 하였고 각 가설의 검증을 위해 t검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조사를 실시 하였다. 1. Parker등(1979)이 개발한 Parental Bonding Instrument(PBI)를 송지영이 검증 한, 한국판 부모-자녀 결합형태 검사를 갖고 신체화장애 환자군과 정상군 부모의 양육태도를 비교하였다. 그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부모의 양육태도 비교에서 신체화장애 환자군 아버지와 어머니의 돌봄이 정상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았다. 2. 부모의 양육태도 비교에서 신체화장애 환자군 아버지와 어머니의 과잉보호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3. 신체화장애 환자군 부모의 돌봄과 과잉보호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돌봄과 아버지의 돌봄 그리고 어머니의 과잉보호와 아버지의 과잉보호는 높은(P=.000) 상관관계를 보였다. 위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신체화장애는 환자 당사자만의 문제로 보아서는 안되며, 신체화장애 환자의 치료를 위해서는 부모 및 가족에 대한 사정과 개입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본 연구결과를 일반화 하기 위해서는 연구대상자의 수를 늘려 연구할 필요가 있으며, 앞으로 다른 정신질환과의 비교연구가 있어야 겠다.;The puro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child rearing practice between somatization disorder and normal. 1. Comparison between the child rearing practice of the groups of somatization and normal with tools. 2. To present a datum valid to plan and intervention when a psychiatric social worker treats somatization disorder. The research objects were 30 somatization disorder patients, who were being hospitalized or an outpatient in two N-P clinic in Seoul. The comparing group were 30 normal. I paired who are fit to the selecting standards of controlling varients of sex, age, educational career. To testify the hypothesis, t-test method was used f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tow groups. TOOLS FOR THE EVALUATION 1. Parental Bonding Instrument-Korean Version measuring tool(50 items) was the one of child rearing practice, developed by Parker(1979) and evaluated of the test reliability and validity by Song(1992). measure the parental bonding score of the somatization disorder and normal compared two groups. ESULT OF THE STUDY 1. The score of maternal care of somatization disorder is lower than the score of normal. 2. The score of maternal overprotection is not serious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s. 3. The score of paternal care of somatization disorder is lower than the score of normal. 4. The score of paternal overprotection is not serious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s. FUTURE RECOMMENDATION The researcher suggests the necessity of follow-up research to generalize the results. It is also proposed when treats the somatization disorder patient, we should be involved their family recovering preventing desease and developed the somatization model which appropriate korean situ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