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1 Download: 0

Arte povera 연구

Title
Arte povera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ARTE POVERA
Authors
최혜원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소과
Keywords
Artepovera연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After the 2nd World War, as lots of European artists migrate to America, American Art took the lead in the world of Contemporary Art. In this situation, Arte Povera accomplished its original view of Art. However, as research on Arte Povera is still insufficient and also taking into account the unfamiliarity of Arte Povera, there is a need to investigate its individual qualities of characteristics and form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hronology and era and closely examine the works of Arte Povera in each points of view by examining its formative qualities. The main ideas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Arte Povera and its related movement which are distinguished by chronology and era. 7 artists were chosen for evaluation of the formative qualities of Arte Povera and were analyzed from each points of view. The method applied in this study is through the use of literatures, catalogues, and art-related magazines and journals. Dada, Nouveau Realisme, and Pop Art were selected for the chronological study, whereas. Minimal Art, Land Art and Conceptual Art were selected for the study of an era. A total of 100 pieces of art comprise the final selection in which Arte Povera is expressed appropriately. The chronology and era of art movements related to Arte Povera are categorized as follows : The relationship of chronology is in the point of view of artistic concept, object and expression of common aspects. The relationship of era is in the point of view of object’s form, study of the phenomenon of application method and extension of space between Minimal Art and Arte Povera. Land Art and Arte Povera is categorized as the relationship between expression of the subject matter as well as method, and Conceptual Art and Arte Povera is categorized as method of expression. The 7 Arte Povera artists are categorized by theme as well as artistic concept, choice of material, symbolic expression of form, installation space, performance and process. The results of Arte Povera’s histor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hronology and era are as follows. In the chronology category, Dada’s rejection of existing art and introduction of ready-made developed by using standardized factory-made products, garbage as well as various printed matters, everyday life objects and by borrowing from popularized images. Arte Povera uses obscure and worthless materials encompassing common environment and performances in the field of art. In the categorization of era. Minimal Art utilizes the characteristics of object art, study of phenomenon, attachment of importance to experience and enlargement of space. Land Art utilizes one-time event and anti-technique methods using natural materials as the subject matter. Conceptual Art has a reciprocal relation with Arte Povera by emphasizing the artist’s idea and purpose. In the categorization of works, Arte Povera is the result of intellectual thought emphasizing conceptual characteristics using non-traditional materials and forms, metaphorically expressing the views of nature, history and culture. In the midst of traditional art, rejecting aesthetics, Arte Povera, in the position of non-aesthetics went towards anti-form to emphasize the expression of object characteristics and to bring out the individuality of the artists by anti-expressive method. There was not only a change in the actual process of creating the works, but also in the formless use of natural materials. Portions of works expressed performance and process, and pursued to fuse the characteristics of art space and concept of art by the reciprocal action of the general environment created by the audience, work, and space.;제2차 세계대전 이후 유럽의 많은 미술가들이 미국으로 이주함으로써 미국미술이 현대미술의 주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도 Arte Povera는 자신들의 독자적인 예술세계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많은 미술사들이 다양하게 연구된 반면 Arte Povera에 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상태이고 따라서 이를 고려하여 Arte Povera의 성격과 조형적 특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은 Arte Povera와 종·횡적으로 관련이 있다고 간주되는 미술경향들과의 관계를 검토하여 Arte Povera의 성격을 규명하고 Arte Povera의 작품을 관점별로 분석하여 그 조형적 특성을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은 Arte Povera의 성격을 규명하기 위하여 Arte Povera와 관련있는 미술사조와의 관계를 종·횡적으로 분석하였고 Arte Povera의 조형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Arte Povera 작가들 중 7인을 선정하고 관점별로 작품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문헌, 카탈로그, 미술잡지 등과 작품을 기본도구로 하였다. 종·횡 분석을 위해 종적으로 Dada, Nouveau Realisme, Pop Art를, 횡적으로 Minimal Art, Land Art, Conceptual Art를 표집하였고, 작품표집은 Arte Povera 작품의 조형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Arte Povera의 특성이 적절히 표현되었다고 간주된 작품 총 100점을 대상으로 목적표출하였다. Arte Povera와 관련있는 미술사조와의 종·횡적 분석은 종적인 관계를 예술이념, object에 대한 관점, 일상성의 표현양상이라는 관점으로 분석하였고 횡적인 관계는 Minimal Art와 Arte Povera는 물체성, 현상학적 방법의 적용, 공간의 확장성의 관점으로, Land Art와 Arte Povera는 표현소재 및 방법의 관계를, Conceptual Art와 Arte Povera는 표현방법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Arte Povera의 작품분석은 Arte Povera 작가들 중 7인을 선정하여 주제 및 예술이념, 재료의 선택, 상징적 표현, 설치 공간, 행위와 과정 등의 관점에 의해 분석하였다. Arte Povera의 미술사에 있어서 종·횡적 관계와 작품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종적인 분석에 의하면 Dada의 부정정신과 ready-made의 도입은 Nouveau Realisme과 Pop Art의 공장의 획일적인 제품과 폐품 및 인쇄물 등 일상적 object와 대중적 image의 차용으로 발전되어 Arte Povera의 하찮은 재료와 더불어 일상적 환경과 행위까지 예술의 영역에 포함시키게 하였다. 횡적인 분석에 의하면 동시대의 Minimal Art는 예술의 사물화, 현상학적 경험의 중시, 확산적 공간의 성격이라는 점이, Land Art는 일회적, 반기술적 방법과 자연대상물을 소재로 사용하였다는 점이, Conceptual Art는 작가의 idea와 의도, 과정을 중시하였다는 점이, Arte Povera 상호관련되어 있다. 작품분석에 의하면 Arte Povera는 지적사고의 결과로서 개념적 특성을 강조하였으며 비전통적인 재료와 형태를 사용하여 자연이나 역사, 문화에 대한 견해를 은유적으로 표현하였다. 전통예술의 형식주의 미학을 거부하는 반미학적 입장의 Arte Povera는 표현요소의 物性을 강조하기 위해 작가의 작위성을 가능한 배제하는 비표현적인 방법과 작품제작시 행해지는 행위로 인한 과정의 변화뿐 아니라 자연소재의 적용으로 인한 無形式性의 반형태(Anti-Form)를 지향하였다. 작품의 일부로서 표현된 행위와 그 과정을 강조하였으며 관람객과 작품과 공간과의 상호작용에 의한 총체적인 환경으로서의 예술공간의 특성과 더불어 예술과 삶의 구분을 거부하고 통합하려는 삶의 예술을 추구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