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7 Download: 0

'繪畵的 平面'을 基本으로 한 '意味'의 表出

Title
'繪畵的 平面'을 基本으로 한 '意味'의 表出
Other Titles
Expression of a 'meaning' on the basic of the 'painting plane '
Authors
李賢禧
Issue Date
1991
Department/Major
대학원 서양화과
Keywords
회화적평면의미meaning서양화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In understanding the contemporary art, it is quite difficult to sum up various techniques or the process of their development to a linear 'anti-thesis of changes'. With a broad perspective of the 20th C art as a whole, the most peculiar thing is that there are so many ideas, concepts, and movements co-existing--Abstract Expressionism, Informel, Pop art, Minimalism, Support/Surface. Since the World war Ⅱ they become more and more complicated and allusive. But this situation of the contemporary art began to change perhaps in the 70's, and in the 80's it appeared with rather a different, or changed look than before. As it is often said, a great turnover is found in the contemporary art of the 80's. Briefly, the transition can be explained in both ways: on one hand, it can be a sort of retreat to Minimalism, and on the other hand, it can be a new wave named 'New Painting'. In other words, it is the transition from Modernism to Post-modernism. Post-modernism reveals ambiguity and complexity when discussed, but it shows just a complementary and unifying aspect as the very one that conquers the limits of Modernism. As if it were a dialectic surmounting the hard dichotomy of the past trend, Post-modernism receives a fresh and positive evaluation In my point of view, the transition mentioned above gives rise to a new conception of 'meaning' which overcomes the restorative tendency based on a historical, self-defined view of Modernism. The problem of 'meaning' induces me to reflect it in a work of art, which is manifested by way of 'description' and 'expression'. They are stemed from the essentially pictorial feature, plane which the restorative tendency in Modernism has headed for. This thesis consists of three chapters concerning to the content, the method and the analysis of my work. The first chapter entitled 'Plane Coming into the Picture', deals the plane that provides a basis for my work. It also describes what 'description' and 'expression' mean in view of the inclusion of my work. Secondly, 'Non-relational Structure' accounts for the picture-construction method on the ground of logical thinking, and the representation of internal space as a technique. Finally, the analysis and illustration of my other works done during my graduate courses tends to present a balanced opinion of my position 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art. I hope it will be a convincible guide to my future activities as an artist.;현대미술을 이해함에 있어 미술의 흐름 또는 그 전개 과정을 직선적인 '변화의 대립형식'으로 파악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고 생각된다. 20세기 미술 전체를 보더라도 그 특징적인 양상은 수많은 관념, 이념, 운동이 공존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20세기는 일찍이 유래를 찾아볼 수 없는 미술이념의 풍부함, 복잡함, 다양함을 체험하였으며 그것이 제2차대전 이후에 이르러서는 앵포르멜 (Informel), 추상표현주의 (Abstract Expressionism), 팝아트(Pop Art), 미니멀 아트 (Minimal Art), Support / Surface에 이르는 한층 더 복합적이고 복선적인 양상을 띠며 가속화된 전개를 보여주어 왔다. 이와 같은 현대미술의 상황은 70년대를 거쳐 80년대 후반기에 접어들면서 그 양상을 달리하며 오늘에 이르고 있는 듯이 보인다. 흔히 이야기하듯이, 80년대에 접어들면서 현대미술의 양상은 커다란 전환의 국면을 맞이했다. 그리고 그 전환은 미니멀리즘(Minimalism)의 쇠퇴와 또 한편으로는 이른바 '뉴 페인팅'이라는 용어로 운위(云謂)되는'새 물결의 등장'이라는 사실로 요약된다. 그것을 다시 표현하자면 '모더니즘(Modernism)'에서 '포스트 모더니즘(Post Modernism)'에로의 이행을 의미 한다. 포스트 모더니즘은 논의의 복합성과 불투명성에도 불구하고 절충적이고 통합주의적인 태도 표명으로 인하여-예컨대 모더니즘의 극복이라는 명분- 마치 지난 시대의 경직된 이분법을 극복하는 변증론으로서 새롭게 용인되고 있는 그러한 추세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의 인식하에 본인은 일종의 자기규정적 역사주의에 입각한 모더니즘의 환원적인 경향을 넘어 다시 그것을 총괄시키는 '의미'의 문제가 새롭게 인식되었으며 이것을 반영해 보려는 본인의 의지가 서술과 표현으로서 나타나게 되었다. 즉 근대주의적 환원이 지향한 본래적인 회화적 특징으로서의 평면성을 기초로 '서술과 표현'이라는 의미를 표출시킴으로써 예술의 새로운 가능성을 추출해 보고자 한 것이다. 본 연구는 내용적인 면에서는 본인의 작품 제작에 있어서 기본이 되는 회화에 있어서의 '평면의 회화화'라는 테제(These)에서 살펴보고자 하며, 그것을 바탕으로 표출되는 본인의 내적 관여로서의 서술과 표현의 의지에 대하여도 밝히고자 한다. 방법적인 면에서는 본인이 작품 제작에 있어서 논리적 사고에 입각하여 표현한 구조적인 형태의 화면 조직방식을 '비관계적 구조'로 설명하고 내면적 공간의 표현을 그 기법적인 면에서 살피고자 한다. 끝으로 대학원 전과정을 통하여 본인이 제작한 작품을 예시 분석함으로써 현대의 회화상황에서 본인의 위치를 객관적으로 인식하고, 앞으로의 제작활동을 위한 방향모색의 과정으로 삼고자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