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유영환-
dc.creator유영환-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56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56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590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06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5902-
dc.description.abstract간호전문대학의 교육 목적은 “중견 간호 직업인을 양성”(교육법 128조 2항)하는 데 있으며 간호의 전문지식과 기술의 습득 및 그러한 지식과 기술을 사용하는 방법을 터득케 하는 사회화 과정이다. 특히 임상실습 교육은 이미 습득된 지식과 기술을 구체적인 간호상황에 적용하여 대상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거나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기르고 배양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러므로 임상실습 교육에서 교수가 다양한 교수활동을 통해 정해진 교육목적을 달성하고 학생들의 만족도를 높이며 교수효율성을 평가하는 일은 매우 중요시된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전문대학 학생들의 임상실습 교육에 대한 교수효율성을 파악하여 임상실습 교육의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 시내에 위치한 5개 간호전문대학에 재학중인 졸업반 학생 211명을 임의 추출하였으며 자료 수집 기간은 1997년 3월 21일부터 4월14일까지 24일간이었다. 연구도구는 Reeve(1994)가 개발한 50문항으로 구성된 교수효율성 측정 도구(Instrument to Measure Effectiveness of Clinical Instructors, IMECL)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 예비조사에서 연구 도구의 신뢰도는 Conbach's Alpha=0.94였다. Reeve의 교수효율성 측정도구의 요인별 신뢰도는 Chronbach's Alpha=0.49-0.79로 신뢰도가 다소 낮아 본 연구자가 Reeve의 교수효율성 측정 도구를 재 분류한 결과 12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신뢰도는 Chronbach's Alpha=0.57-0.94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 분류 결과에서 나타난 12요인을 사용하여 요인별 효율성을 보았다. 수집된 자료는 SPSS PC+(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처리하였으며,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임상실습 교육의 교수 관련 현황은 실수와 백분율로 구하였고 임상실습 교육의 교수관련 현황과 요인별 교수효율성 정도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구하였다. 또한 임상실습 교육의 교수관련 현황 및 각 요인에 따른 교수효율성 차이는 ANOVA의 방법으로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임상실습 교육의 교수(teaching) 관련 현황 간호전문대학생들의 임상실습은 주로 전임교수와 조교, 전임교수와 수간호사가 담당하고 있었다. 한 학기당 실습 기간은 8주 정도였으며 실습기간동안 임상실습 교수의 참여 횟수는 주 1-2회가 가장 많았으며(79.1%), 임상실습 교수가 참여하여 지도하는 내용으로는 집담회가 35.5%로 가장 많았고, 간호과정 적용, 오리엔테이션, 복합적 시범 순이었다. 이론과 실습과의 연계에서 대다수의 간호전문대학생이 학사 일정과 실습지의 형편에 따라 이론을 배우지 않은 상태에서 실습에 임하고 있다(91.5%)고 하였다. 또한 간호전문대학생의 53.6%가 임상실습 교육을 통하여 자신의 역할 모델로 생각하는 임상실습 교수가 있다고 했으며, 그 이유는 풍부한 전문지식과 경험을 실무에 잘 적용시키기 때문(49.6%)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역할 모델로 생각하는 임상실습교수가 없다고 생각하는 학생이 46.4%였다. 2. 임상실습 교수의 교수효율성 정도 1) 연구 대상자 총 211명의 간호전문대학생에 의한 임상실습 교육에 대한 교수효율성은 “중” 정도(평균 2.99, ±1.10)였다. 측정된 50문항중 교수효율성이 가장 높게 나타난것은 실습일지와 과제물을 내도록 한다(4.40)였으며 내가 실수를 저질렀을 때 적절하게 수정을 해준다, 매우 냉담하고 무관심한 편이다(역산), 실습장소에서 문제가 생길 때 원만히 대처한다, 간호사로서 충분히 자질을 겸비하고 있다, 수업시간에 배운 내용을 실무와 연결시켜준다, 나에게 전문직으로서 책임을 일깨워 준다, 다른 직원들과 협조적인 자세로 참여한다, 등 에서는 “중 상”의 교수효율성을 나타냈다. 반면에 항상 내 옆에서 도움을 제공해 준다(2.36)에 대한 교수효율성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병동을 계속 순회하며 충분한 조언을 한다, 실습에 미숙한 내가 모든 절차를 잘 익힐 수 있도록 충분한 안내를 해준다, 유머 감각이 있다, 나의 능력에 맞는 간호대상자를 적절하게 해준다, 충분한 지도를 해준다, 에서는 “중 하”의 교수효율성을 나타냈다. 2) 연구도구 50문항은 본 연구에서 요인분석한 결과 12요인으로 분류되었다. 12요인을 보면 전문적 능력, 좋은 역할모델, 학생을 위한 유용성, 대인관계술, 원조자로서의 기능, 교수법, 실습부서 및 대상자의 적절한 배정, 격려와 지지, 교교과에 대한 조직력, 병원 직원과의 협조, 교수의 태도, 공정한 평가를 포함한다. 요인별로 교수효율성을 보면 12요인중 효율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측정된 요인은 격려와 지지(3.68)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가장 낮은 것으로 측정된 요인은 학습 속도와 요구도에 맞는 적절한 배정(2.50)이었다. 12요인중 ‘중 상’의 교수효율성을 나타내는 요인은 격려와 지지, 전문적 능력, 공정한 평가, 교수법이었다. 반면 교수효율성이 ‘중 하’를 나타낸 요인은 원조자로서의 기능, 교과에 대한 조직성, 교수의 태도, 병원 직원과 협조, 학생을 위한 유용성, 대인관계술, 좋은 역할모델 이었다. 3. 임상실습 교육 담당자 및 역할모델 유무에 따른 교수효율성 차이 1) 교수효율성 12요인을 임상실습 교육 담당자에 따라 비교한 교수효율성 차이를 보면 수간호사 및 일반 간호사가 담당하는 경우 교수효율성이 가장높았고, 전임교수및 수간호사, 실습조교, 전임교수, 전임교수 및 조교순이었다. 2) 임상실습 담당자에 따른 요인별 교수효율성을 보면 수간호사 및 일반 간호사가 실습을 담당할 경우 전문 능력, 대인관계술, 교수법, 적절한 배정, 격려와 지지, 교수의 태도 요인에서 교수효율성이 높았으며, 실습 조교가 담당하는 경우 역할모델, 학생을 위한 유용성, 교과에 대한 조직성 요인에서 교수효율성이 높았다. 3) 역할모델이 있는 경우가 없는 계우에 비해 교수효율성이 더 높았다(F=32.3, p<0.0000). 이상의 결론에서 볼수 있듯이 간호전문대학 임상실습 교육의 교수효율성이 “중” 정도 임을 감안할 때 임상실습 교육이 체계적으로 조직 관리되며 이론과 실재가 보다 효과적으로 연계될 수 있고, 교육자인 임상교수들이 실무에 직접 참여하므로 임상교수의 역할모델을 간호전문대학의 학생들이 본받도록 하므로 전문 간호인으로서의 역할을 학습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한다. Reeve(1994)가 개발한 50문항으로 구성된 교수효율성 측정도구를 본 연구자가 요인분석하여 분류한 12요인을 사용하여 간호전문대학 임상실습 교육과 간호대학 임상실습 교육에 대한 교수효율성을 비교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linical instruction by students' ratings of teaching effectiveness in clinical nursing education. The subjects were comprised of a graduating class of 211 nursing students from 5 junior nursing colleges in Seoul, Korea. This data was collected from conducting questionnaires for 24 days period from March 21 to April 14, 1997.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Instrument of Measure Effectiveness of Clinical Instructors" by Reeve(1994).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SPSS program, its percentage, the mean, standard deviation, ANOVA. The 50 questions used in the questionnaire were categorized into 12 component subjects to factor analysis. The 12 components were professional competence, role model, favorable to student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resource for students, teaching methods, finding assignments for objectives, encouraging to think for themselves, organization of subject matter, working with agency personnel, attitude of teacher and eval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General Status of Clinical Nursing Education: 1) Clinical nursing education was led mainly by nursing professors and part-time instructors(29.9%), nursing professors and head nurses (21.3%). 2) Students clinical education performed in 8 weeks of a semester. The highest number of visits led by clinical teachers during a clinical education period was 1-2 visits of 79.1% a week. 3) The contents for clinical education comprised of a conference being the most frequent of 45.5%; application of nursing process of 33.1%, orientation and nursing skill of 29.4%, and others of 25.6% including practicing of nursing skills, explaination of instruments. 4) 53.6% of nursing students felt that their clinical teachers played a role-model. The reason was based on the clinical teacher's professional knowledge and clinical experience. 5) 91.5% of the junior nursing college students responded that lectures and clinical education were held independently. 2. Clinical Teaching Effectiveness: 1) The points for teaching effectiveness was 149.64(mean of 2.99±1.10), where the total score is considered to be an average rating. 2) The score ratings over "above average" are follows: instructor who give assignment and clinical reports(4.40), modifier(3.61), good solver of clinical issues(3.49), good qualified teachers(3.46), help to apply theories to clinical situations(3.44), remind students of professional responsibilities(3.43), keep rules of clinical work(3.42), and other micelles items. Among these items, giving assignments and clinical reports was the highest. 3. Teaching Effectiveness as Status of Clinical Nursing Education. 1) The score ratings for the clinical instructors from the highest to the lowest were as follows: a team of both head nurses and nurses, a team of both nursing professors and head nurses, part time instructors, nursing professors, a team of both nursing professors and part time instructors. 2) The score ratings for higher effectiveness was showed from having role model teacher that do not have role model(F=32.3, P<.0000). 3) Based on 12 categorized components from the questionnaires, questions related to encouraging students to think for themselves, scored the highest points of 3.68 where finding assignments for objectives, scored the lowest points of 2.50 inquires on encouraging to think for themselves. Professional competence, evaluation, teaching method were scored slightly higher than the average and finding assignments for objective resources for students, organization of subject matter, attitude of teachers, working with agency personnel, favorable to students,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role model scored slightly lower than the average. 4) Among the 12 categorial components from the questionnaires, professional competenc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eaching methods, finding assignments for objectives, encouraging to think for themselves, attitude for teaching, a team of both head nurses and nurses with the highest points are a team of both head nurses and nurses. When the part time instructors teach, professional competence, role model, favorable to students, organization of subject matters are the highest effective results. 5) Based on 12 categorial components as a whole, the highest points scored among the 5 groups of clinical teachers were as follows: First, a team of both head nurses and nurses: Second, a team of both nursing professors arid head nurses: Third, part time instructors: Forth, nursing professors; and Finally, a team of both nursing professors and part time instructors. As considering the rate of teaching effectiveness of clinical nursing education which showed resulted in an "average" score. a person of the role model was needed to manage systematically, and to apply theories to clinical areas effectively. Finally, based on the research a further study on the teaching effectiveness of the clinical nursing education is needed for the futu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 목적 = 3 C. 용어 정의 = 3 D. 연구의 제한점 = 4 Ⅱ. 문헌 고찰 = 5 A. 임상실습 교육 = 5 B. 임상실습 교육의 교수효율성 = 9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15 A. 연구 설계 및 대상 = 15 B. 연구 도구 = 15 C. 자료 수집 및 분석 = 16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18 A.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18 B. 간호전문대학 임상실습 교육의 교수(teaching) 관련 현황 = 18 C. 간호전문대학 임상실습 교육의 문항별, 요인별 교수효율성 정도 = 23 D. 임상실습 교육의 실습 담당자 및 역할모델 유무에 대한 문항별, 요인별 교수효율성 = 27 Ⅴ. 결론 및 제언 = 33 A. 결론 = 33 B. 제언 = 37 참고문헌 = 38 부록 = 49 = Abstract = = 6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5093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간호전문대학-
dc.subject임상실습교육-
dc.subject교수효율성-
dc.title간호전문대학 임상실습교육의 교수효율성에 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Research on Teaching Effectiveness of Clinical Nusring Education of Junior Nursing Colleges-
dc.format.pagex, 65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간호교육전공-
dc.date.awarded1997.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간호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