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9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구자성-
dc.creator구자성-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46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46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589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05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5899-
dc.description.abstractTotal hysterectomy is a treatment for uterine tumor, abnormal uterine bleeding, endometriosis, pelvic inflammatory disease and uterine prolapse. Total hysterectomy is often perceived as a big risk among women, and even a threat to the development of their self-esteem. Women, often tend to relate the uterus with their identity of being a women. In this regard, the loss of their uterus leads women to think they are damaged physically, but psychologically and socially as well. The loss of uterus often causes the delay of recovering their bodies from other diseases. Furthermore, it affects their sexual life, to a significant degree. Despite the measurable impact of uterus on women's life overall, a number of nurses have only paid tribute to the recovery of the patients after total hysterectomy. They have not paid specific attention to the mental or psychological changes of the women who had that surgery. Most importantly, in most cases, they ignored the significance of the readjustment of the patients to the normal sexual life. In this regard, the purpose of my thesis is to aid the women after total hysterectomy and to readjust to their sexual life. This study will primarily explore how the women's sexual life has changed after they had total hysterectomy, and how significantly individual sexual knowledge has related to their readjustment to sexual life. The study samples were chosen by the sexually capable women who recovered at least two months after total hysterectomy. Most women had total hysterectomy for benign lesion with pathologic confirmation at S- General Hospital in Seoul. As far as data collections are concerned, I used direct interviews and telephone interview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SAS program: percentage,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mean score of sexual knowledgement was 8.67 which was lower than possible maximum score 16. 2. The mean score of sexual-accommodation was 39.95 which was lower than possible maximum score 56. 3. A women who had a higher knowledgement about turned out to be in sex were able to get a better position in readjusting to their sexual life(r=0.4675, p=0.0001). 4. Women's individual sex knowledge(r=0.4675, p=0.000l) and their husband's attitudes(F=3.21, p=0.0245) toward the total hysterectomy a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degree of accommodative sexual life of the patient. 5. The number of sexual intercourse and the number of feeling organisms decresed to a significant degree after total hysterectomy. In conclusion, this study clearly reveals that the individual sexual knowledg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atients' readjustment to their sexual life after total hysterectomy. Specifically, the more sexual knowledge the patients had, the better they adjust to their sexual life. It is even more intriguing to find that the patients' husbands' attitudes toward them turned out to be another important factor for patients to readjust to their sexual life. In order to help the patients after total hysterectomy readjust to their sexual life, it is necessary that nurses provide adequate sexual knowledge regarding total hysterectomy to both the patients and their husbands. In my opinion, nurses must continue to encourage women to acquire some knowledge about their own health, and to deal with their health problems themselves. Furthermore, various programs such as individual consultations, education through media and group education must be developed in helping women after total hysterectomy readjust to their sexual life. Finally, I strongly urge that a sexual therapy class must be established in order for women to receive some aid for their sexual life whenever they are in need.;자궁적출술은 자궁의 양성이나 악성종양, 자궁내막 증식증, 이상 자궁출혈, 골반 염증성 질환, 자궁탈출 등 내부생식기에 이상이 있는 경우 치료를 목적으로 실시한다. 그러나 실제로 많은 여성들이 그들의 생식기관인 자궁과 여성 자신으로서의 정체감을 연관시키기 때문에, 자궁적출술을 한다는 것은 여성에게 큰 위기로 받아들여질 수 있으며 여성의 전반적인 자아개념을 위협하게 된다. 또한 자궁상실로 인해 신체상의 손상 뿐 아니라 심리적·사회적 손상을 받게되어 이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는 질병으로부터의 회복 뿐 아니라 성생활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와같이 자궁이 여성에게 큰 영향을 미침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간호사들은 자궁적출술을 한 여성들의 신체적인 회복에만 관심을 가질 뿐, 정신적·심리적 변화 및 수술 후 성생활 적응을 위한 간호에는 관심이 적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궁적출술을 한 여성들의 수술 후 성생활 적응을 돕기위해 그들의 성지식과 수술 후 성생활 적응도를 알아보고, 수술 후 성생활 적응에 따른 변화 및 성지식과 성생활 적응과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서울 시내 S 종합병원에서 부인과적 양성종양으로 자궁적출술을 한 후 2개월 이상이 경과되어 신체적으로 회복되고 성생활이 가능한 여성 200명을 선정하였다. 연구도구는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도구와 문헌을 통하여 연구자가 작성하였다. 도구의 내용타당도와 신뢰도검정은 전문가의 의견과 예비조사를 통해 문항 분석을 하였으며 Chronbach's α= .79로 나타났다. 자료수집은 직접면담과 전화면담을 통해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AS 프로그램에 의해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분산분석(analysis of varience :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성지식 평균점수는 8.67점으로 가능 최고 점수인 16점에 비하여 보통수준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성생활 적응 평균점수는 39.95로 가능 최고 점수인 56점에 비하여 보통수준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성지식이 높을수록 성생활 적응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r=0.4675, p=0.0001). 4. 대상자의 성생활 적응과 관련되는 요인은 성지식(r=0.4675, p=0.0001)과 수술에 대한 배우자의 태도(F=3.21, p=0.0245)로 나타났다. 5. 자궁적출술 후 성생활 적응에 따른 변화에서 성관계에 대한 만족과 성교 횟수가 현저하게 저하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에 비추어 볼 때, 본 연구의 대상자의 경우 성지식과 자궁적출술 후의 성생활 적응도는 보통수준이었으며, 성지식과 성생활 적응도와의 관계는 의미있는 상관관계를 보임으로써 성지식이 높을수록 성생활 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술 후 성생활 적응에 중요한 관련요인으로 배우자의 태도도 의미있게 나타났으므로, 자궁적출술을 한 여성의 퇴원 후 성생활 적응을 돕기 위해서는 배우자의 성지식도 같이 사정하여 대상자와 배우자에게 자궁적출술과 관련된 성지식을 제공함으로써 그들이 성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간호접근을 시도하여야한다. 결론적으로 인간의 성적욕구는 평생 지속되므로, 총체적인 존재로서의 여성을 돌보는 간호사는 여성이 자신의 건강문제를 알고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며 나아가 건강을 유지·증진하여 질적인 삶을 살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 자궁적출술 후 퇴원한 여성들의 성생활 적응을 돕기 위한 개별적인 상담 뿐 아니라, 매체를 통한 대상자 교육, 그룹을 통한 집단교육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하여야한다. 또한 성상담 교실을 설치하여 여성들이 성생활을 위해 도움을 청하고, 언제든지 상담을 받을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하여야 함을 제언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ⅳ 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목적 = 4 C. 용어 정의 = 4 1. 성지식 = 4 2. 성생활 적응 = 5 D. 연구의 제한점 = 5 Ⅱ. 문헌고찰 = 6 A. 여성과 자궁 = 6 B. 자궁적출술과 성생활 = 10 Ⅲ. 연구방법 = 15 A. 연구설계 = 15 B. 연구대상 = 15 C. 연구도구 = 16 1. 자궁 및 성관계 지식도 측정도구 = 17 2. 성생활 적응도 측정도구 = 17 3. 성생활 적응에 따른 변화 측정도구 = 18 D. 자료수집 = 18 E. 자료분석 = 19 F. 연구자의 윤리적인 측면 = 20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21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1 B. 대상자의 성지식 = 22 C. 대상자의 성생활 적응도 = 26 D. 대상자의 수술 후 성생활 적응에 따른 변화 = 31 E. 대상자의 성생활 적응에 따른 불편감 = 37 F. 대상자의 성지식과 성생활 적응도와의 관계 = 38 Ⅴ. 결론 및 제언 = 41 A. 결론 = 41 B. 제언 = 43 참고문헌 = 45 부록 = 52 = Abstract = = 6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3577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자궁적출술-
dc.subject여성-
dc.subject성지식-
dc.subject수술-
dc.subject성생활 적응-
dc.title자궁적출술을 한 여성의 성지식과 수술 후 성생활 적응과의 관계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ship between Sexual Knowledge and Sexual Adjustment of Women Who had a Hysterectomy-
dc.format.pagex, 69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간호교육전공-
dc.date.awarded1997.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간호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