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원희-
dc.creator이원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34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34Z-
dc.date.issued1984-
dc.identifier.otherOAK-00000002522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03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5226-
dc.description.abstractIn these day, the field of Health Management Enterprise put the importance on identifying the preventing behavior from illness and all the relative variables by proper nursing intervention. There are many diseases from which man is suffering, recently among them cancer has been raised as the foe of mankind and serious health problem, and the incidence rate of cancer has been gradually increasing now. Expecially cervical cancer is a malignant tumor occurring very frequently on women, therefore, it is absolutely requested client's preventive health behavior. This thesis has the purpose to identify the client compliance preventive health behavior with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Health Locus of Control and variables of each Health Belief of Examined and non-Examined Group, and the result of identification may be provide a basic scientific data for health education, Examined group as the subject for this study were made up 61 women who comply with preventive health practices and visit the OB & Gyn Clinic at H and E Hospital in order to have a check-up for early detection of cervical cancer aging from 30 to 60. And non-examined group consist of 61 women who have never comply with preventive health practices and are aged from 30 to 60 among 82 housewives selected from 200 housewives living in P apartment of Daehyun-dong.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urvey were Wallston & Wallston's multidimensional Health Locus of Control Scale and the written inquire used for this survey is referred on Wallston & Wallston's multidimensional Health Locus of Control Scale. The study was reported after the full explanation about the purpose of study and the content of inquiry was given to the examined and non-examined group and the interview with them from September 24 to October 8, 1984. The result of the study was analyzed by X^(2)-test,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convariance. The result of study is as follows: A. The first hypothesis: "The Examined Group may have a higher Health Locus of Control-interna1 than non-Examined Group" was accepted. (t=15.51 df=120 92.91 p=0.000) B. The second hypothesis: "The Examined Group may have a higher severity of cervical cancer than the non-Examined Group" was accepted. (t=12.89 df=120 110.73 p=0.000) C. The third hypothesis: "The Examined Group may have a higher susceptibility to cervical cancer than the non-Examined Group" was accepted. (t=13.91 df=120 105.76 p=0.000) D. The fourth hypothesis: "The Examined Group may be more benefit from the cervical cancer test non-Examined Group" was accepted. (t=21.14 df=120 119.93 p=0.000) 2. From the point of correlation between Health Locus of Control and the variables of each Health Belief, Health Locus of Control-internal and variables of each Health Belief such as severity, susceptibility, and benefit correlated positively, on the other hand Health Locus of Control-chance and powerful and variables of each Health Belief correlated negatively. 3. In the aspect of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between Health Behavior and main variables, the variable "Benefit" can account for the preventive health bahavior as 78% and when the variable "susceptibility" is added to this, it can account for 84.4% of preventive health bahavior. And when adding "Health Locus of Control-chance", it accounts for 88.2% and then if the variable "severity" is also included, it accounts for 90.1% of preventive health bahavior. When the variable "Health Locus of Control-powerful" is included, it accounts for 90.1%, when the variable "Health Locus of Control-internal" is included, it accounts for 91.3%. The result of combination of main variables explained as 91.3% of the preventive health behavior. Therefor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Health Locus, of Control and variables of each Health Belief were proved to influence on preventive health behavior absolutely. The result of this study may be a basis for the data of health educational plan. Speaking in details, it leads to take practice of nursing plan and intervention enhencing main variables of Health Belief such as severity, susceptibility and benefit, to do promising preventive behavior to prevent from non-health practices the clients who don't comply with preventive health practices, and to give the posibilities regarding to the proper intervention against non-health practices by using main variables of Health Belief.;오늘날 건강을 유지, 증진 할 수 있도록 하는 건강 관리 사업 분야에서는 적합한 간호중재에 의해 질병 예방 행위와 이에 관련된 모든 변수들을 확인하는데 중요성을 두고 있다. 사람을 괴롭히는 질병에는 여러가지가 있으나 암은 최근 인류의 적으로서 커다란 보건 문제로 대두 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사망률은 증가 추세에 있다. 특히 자궁암은 여성에게 가장 많이 발생 되는 악성 종양이므로 대상자의 예방적 행위인 자궁암 검진 이행이 절실히 요구 되어진다. 본 연구는 자궁암 검진 행위 이행자와 비이행자간의 건강 통제위성격의 각 성향과 건강 신념의 주요 변수와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고 예방적 건강 행위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확인 해보며 결과를 통해 건강 교육을 위한 과학적인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 중 이행집단은 H병원과 E대학 부속 병원 산부인과 외래에 내원한 30세이상 60세미만의 대상자로서 암검사를 규척적으로 받아왔으며 재검진을 위해 방문한 자와 암검사를 위해 병원을 방문한 자 6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비이행 집단은 대현동에 있는 P아파트 1개동 200가구 중 82가구를 선정하여 30세이상 60세미만의 대상자 중 암검사를 받아 본적이 없는 자 6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Wallston at Wallston이 개발한 건강 통제위 척도(Multidimensional Health Locus of Control Scale)와 문헌을 기초로 작성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1984년 9월 24일에서 10월 8일까지였으며 이행집단과 비이행 집단 모두 연구목적과 질문내용을 설명한 후 면접하여 기록 하였다. 자료 분석은 컴퓨터를 사용하여 χ^(2) - test,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covariance를 사용하였다.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가설 검정에서는 가. 제 1가설인 "자궁암 검진 행위 이행자는 비이행자보다 내적 성향치가 더 높을 것이다"는 채택되었다. (t=15.51 df=120 P=0.000) 92.91 나. 제 2가설인 "자궁암 검진 행위 이행자는 비이행자보다 자궁암에 대한 심각성치가 더 높을 것이다"는 채택 되었다. (t=12.89 df=120 P=0.000) 110.73 다. 제 3가설인 "자궁암 검진 행위 이행자는 비이행자보다 자궁암에 대한 민감성치가 더 높을 것이다"는 채택 되었다. (t=13.91 df=120 P=0.000) 105.76 라. 제 4가설인 "자궁암 경진 행위 이행자는 비이행자보다 자궁암 검진에 대해 인지한 유익성치가 더 높을 것이다"는 채택되었다. (t=21.14 df=120 P=0.000) 119. 93 2. 건강 통제위 성격과 건강 신념간의 상관성은 건강 통제위 성격의 내적 성향과 건강 신념의 주요 변수인 심각성 ,민감성 ,유익성과는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고(r=0.6480, r=0.5968, r =0.7727)건강 통제위 성격의 우연 성향, 타인 의존 성향과 건강신념의 주요 변수인 심각성, 민감성, 유익성과는 역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r=-0.6341, r=- 0.6055, r=-0.7486) (r=-0.5512, r=-0.5304, r=- 0.6549) 3. 건강 행위 이행과 주요 변수들간의 다변수 상관성에서는 유익성만으로는 이행을 78.8 % 설명할 수 있었고(F=446.7 P<.01) 민감성을 첨가하면 84.4 %(F=323.2 P<.01) 우연 성향을 첨가하면 88.2%(F=294.0 P<.01) 심각성을 첨가하면 90.1%(F=267.3 P<.01) 타인 의존 성향을 첨가 하면 91.1%(F=237.4 P<.01) 그리고 내적 성향을 첨가한 여섯 변수로는 이행을 91.3% 설명 할 수 있었다.(F=201.2 P<.01) 이와같이 주요 변수들을 합한 결과가 91.3%를 나타내었으므로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통해 건강 교육을 위한 과학적 기초 자료를 제공 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구체적으로 예방적 건강행위를 위한 간호사정시 대상자의 건강 통제위 성격 성향을 확인하여 내적통제위 성격을 가진 대상자에게 건강 신념의 주요 변수인, 심각성, 민감성, 유익성을 높여주는 간호계획이나 중재를 실시케 유도하며 바람직한 예방적 행위를 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간호사정시 비이행의 잠재적 위험을 가진 대상자를 확인하여 비이행을 예방케 하거나 건강 신념의 주요 변수들을 사용하여 비이행에 대한 적절한 중재를 가능케 하도록 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 연구의 필요성 = 1 B . 연구의 목적 = 4 C. 가설 = 5 D. 용어의 정의 = 5 E. 연구의 제한점 = 7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 8 A. 건강 통제위 = 8 B. 건강 신념 모델 = 11 Ⅲ. 연구 방법 = 17 A.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 17 B. 연구 도구 = 18 C. 자료 분석 방법 = 19 Ⅳ. 결과 = 20 A . 대상자의 일반적 배경 = 20 B. 가설 검정 = 23 C. 건강 통제위 성격과 건강 신념간의 상관성 = 25 D. 생활정도와 주요 변수들간의 관계 = 26 E. 예방적 건강 행위 이행과 주요 변수들간의 다변수 상관성 = 27 Ⅴ. 고찰 = 30 Ⅵ. 결론 및 제언 = 34 A. 결론 = 34 B. 제언 = 36 참고문헌 = 37 부록 = 46 ABSTRACT = 6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4701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자궁암-
dc.subject검진행위-
dc.subject이행자-
dc.subject비이행자-
dc.title자궁암 검진행위 이행자와 비이행자 간의 건강통제위 성격과 건강 신념에 관한 비교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6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학과-
dc.date.awarded198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