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은경-
dc.creator김은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2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2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583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02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5837-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s of this paper are to seek the practical method of poetry teaching and loaming and thus to improve educational situation. In section Ⅱ, we studied the status of poetry teaching of sixth educational term by analyzing the survey which are applied to high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The result of this survey revealed that present poetry teaching are not effective in training to read and understand an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poet independently. Especially, the students in sixth term had less favor in the poet and much burden to poet examination rather than that of fifth term. Many of the teachers felt some problems and try to resolve this but not satisfactory due to absensce of effective poetry teaching model and traditional educatioinal problem. So we analyzed the result of survey and thus classify the poets with its significace and subclassify the teaching object and interpretation methodology, and now propose effective method of poetry teaching. At first, consider the poet text with this category 'image based poetry', 'descrition based poetry', 'the poetry combined image and description', and in the basis of this consideration, we built general interpretating model for poetry. Using the general interpretating model as vertebra, simultaneusly to choose subclassifled interpretating model Is another alternative way to analyze the text of poet. In section Ⅲ, we denied the principles of teaching about image based poet and significance of it. This type of poets are poet that to rule out the ideology and reconstruct things with image based, and thus ventilate the sensation of learners and to get reached supervision can see the things as it is. The priciples of this interpretating model is association through imagimation. The way to teach the direction and process of association, are to get expressed the word of psychologic space of learners or to draw the picture about the subject poet, or in other words. More specific waty are to get expressed the mood of poet with color, to seek the primitive meaning, to find the common meaning between major and minor meaning. 'Image based poetry' interpretating model include 'Bulkuk temple' by Park mokwol, 'Emotion of the day in fall' by Kim kwangkyun, 'Piano' by Chun bongkeon. We choose these poets and construct the teaching model via association process of the learners. In section Ⅳ, we denied the significance and teaching priciples of 'descrition based poetry'. The type of poetry is written with direct expression of message and not interrupted by subjective messenger so called image, so focused to meaning rather than skill of language. The priciples of the interpretating model are to catch the main subject and method of interpretation is to seek the predominant description related grammar and structure and thus to reconstruct the meaning and periodical situation of the poet in learner's psychological space. Practical teaching method are 'rewritten the subject of poet to story' or expressing in direct words. 'Description based poetry' interpretating model include 'Old house' by Lee yongak which are written with the mood of lost nation and typical emotion of our nation, 'Lady Buddha' by Baek seok, 'The flower' by Kim chunsoo which possessed philosophic me aning, 'Orange' by Shin dongjib. We choose these poets and construct the teaching model. In section Ⅴ, we dealed the significance and teaching priciples of 'the poetry combined image and description'. This type of pcetry represent the impression and things have equal right and written with independent architecture of covalent bond with dialectically. This poetrys are combined and deepening the significances of 'image based poetry' and description based poetry' and thus give joy of successfullness with aesthetic to the readers. The priciples of this interpretating method is to seek the something to connect the things and meaning, to be the key of interpretation of poet. Practical method is to seek for same phrase, allele phrase or look for outsider of combined structure in grammar or tradition and purchase the own moaning. 'The poetry combined word and meaning' interpretating model include 'Glass window 'by Chung chiyong, 'The bird' by Park namsu, 'Silence of the lord' by Han yongoon. We choose these poets and construct the teaching model which to get to find not only the beauty from the distance between image structure and speaker but also supervision can see the abstract meaning beyond the practical image. The scheme, to establish the interpretating model and apply this priciple to all poetry, has a danger to rely upon it entirely in interpret the poetry with schematically. So this priciple is regard to subjective way of interpretation. To this purpose, the teacher should get to enhance the ability of learner to choose proper interpretating model in front of any of the poetry. But this paper does not believe that all kind of the poetry are applied in this model and also devoid of disccusion about proper assessment priciple of poetry and evaluation method. Despite of this limation, this paper propose systematic education method via to give interpretation priciple and method according to the type of poetry, that is the merit.;본 논문에서는, 오늘날 시 학습과 지도의 실태를 파악하여 시 교육을 개선하기 위한 실질적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고등학교 학생과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를 분석하여 6차 교육 과정 내에서의 시 교육의 위상을 점검하고 그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사를 분석한 결과, 우리의 시 교육은 학습자가 독자적으로 시를 감상하고 그것의 가치를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주지 못하고 있었다. 특히 5차 교육 과정에 의해 교육받던 학생들에 비하여 6차 교육 과정에 의해 교육받고 있는 학생들은 시에 대한 선호도는 낮았으며 시에 관련된 시험문제에 대한 부담은 높았다. 교사의 경우 문제 의식을 가지고 바른 시 교육을 위한 나름대로의 방법을 찾고 있는 경우가 많았으나, 실효성 있는 지도 방법의 부재 및 입시 위주의 교육 관행이라는 한계 때문에 돌파구를 찾지 못하고 있었다. 설문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시를 내적 특성에 따라 유형화하고 각 유형에 따라 지도 목표 및 해석 방법을 세분화하여, 실효성 있는 지도 방법의 하나를 제시하고자 했다. 먼저 시 텍스트의 구조를 고찰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시 일반 해석 모형을 구성하였고 '이미지 중심의 시', 저술 중심의 시','이미지와 서술이 결합한 시로 시의 유형을 분류하였다. 일반 해석 모형을 해석의 골간으로 하면서, 유형별로 세분화된 해석 모형을 선택하여 시를 해석하게 하는 것은 시 텍스트의 전략 적 분석을 위한 방안이 될 수 있다. Ⅲ장에서는 '이미지 중심의 시'의 특성 및 지도 원리에 대하여 다루었다. 이 유형의 시는 관념을 배제하고 사물의 이미지 위주로 형상화된 시로서 학습자의 감각을 환기시켜 사물을 신선하게 바라볼 수 있는 시각을 가지게 해 준다. 이 유형를 시를 감상하는 원리는 상상력을 통한 연상이다. 연상의 방향 및 과정을 지도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학습자의 심리 공간에 형상화된 이미지를 말로 표현하기, 시를 읽고 떠오르는 영상을 직접 그리기 또는 언어로 그리기 등이 있다. '이미지 중심의 시' 해석 모형의 적용으로는 박목월의 '불국사', 김광균의 '추일서정', '전봉건의 피아노' 등을 선택하여 학습자의 연상 과정을 지도하는 수업 모형을 구성하였다. Ⅳ장에서는 '서술 중심의 시'의 특성 및 지도 원리에 대하여 다루었다. 이 유형의 시는 이미지라는 객관적 상관물을 매개하지 않고 독자에게 직접 전언 (message)을 전달하는 시이므로 언어 표현의 묘미보다는 관념의 내용에 초점이 맞추어지게 된다. 이 유형의 시를 감상하는 원리는 주제를 파악하여 텍스트가 드러내려는 의미나 시대 상황을 독자의 심리 공간 내에 재현하는 것이다. 주제를 파악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텍스트 내의 지배적 진술을 찾고 그것을 둘러싼 언술 구조를 분석하는 것 등이 있다. '서술 중심의 시' 해석 모형의 적용으로는, 조국을 잃었던 시대를 조망하게 해주고 전형적인 우리 민족의 정서를 직접적으로 전달하는 이용악의 '낡은 집', 백석의 '여승'과 철학적 주제를 담고 있는 김춘수의 '꽃', 신동집의 '오렌지'를 선택하여 수업 모형을 구성하였다. Ⅴ장에서는 '이미지와 서술이 결합한 시'의 특성과 지도 원리에 대하여 다루었다. 이 유형의 시는 심상 곧 사물과 관념이 어느 한 쪽을 위해 봉사하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독자적인 미적 구조를 지니며 변증법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시를 말한다. 이것은 '이미지 중심의 시'와 '서술 중심의 시'의 속성이 결합·심화된 것으로서 독자에게는 미적으로 완성된 쾌감을 줄 수 있다. 이 유형의 시 해석을 감상하는 원리는 사물과 관념을 연결하고 있는 결속 원리를 찾아 이미지에서 관념의 세계로 인식적 지평을 넓혀가는 것이다. 시 해석 방법으로는 구조 분석을 통하여 '동일항·대립항 찾기'나 '문법 또는 관습에서 벗어난 결합 구조를 찾고 그 본의(本意)를 추적하는 것' 등이 있다. '이미지와 서술이 결합한 시' 해석 모형의 적용으로는 정지용의 '유리창', 박남수의 '새', 한용운의 '님의 침묵'등을 선택하여 이미지 구조와 화자 대상간의 거리에서 오는 미감을 발견하는 것 뿐 아니라 구체적인 이미지에서 추상적인 관념의 세계로 인식적 지평을 넓혀가는 과정을 지도하는 수업 모형을 구성하였다. 해석 원리 수립과 모형의 구성이라는 도식화는 시의 이해와 감상 자체를 도식화로 몰아 갈 수 있는 위험을 소지하고 있으므로 해석 원리는 상대적 원리로서 작용되도록 해야 한다. 그것은 학습자가 하나의 시 텍스트를 대했을 때 제시된 해석 원리 중 어떤 것을 택하는 것이 해석과 감상에 유효할지 판단하게 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고에서 상정한 시의 유형이 시의 특성을 전면적으로 포괄한다고 확언하기는 어렵다. 또한 본고에는 시 평가 원리 및 평가 방법에 대한 구체적 인 논의가 결여되어 있다는 한계를 가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형에 따라 시 해석의 원리 및 방법을 제시하여 체계적인 교육 방법의 하나를 제안했다는 데에 의의를 둘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Ⅲ Ⅰ. 서론 = 1 A. 문제 제기 = 1 B. 연구사 = 4 Ⅱ. 시 교육의 실태 파악 및 시 해석 모형 = 9 A. 제 6차 교육 과정 내에서의 시 교육의 위상및 실태 파악 = 9 B. 설문 조사 결과 분석 및 시 지도 개선 방안 = 27 Ⅲ. '이미지 중심의 시' 지도의 원리 및 수업 모형 = 42 A. '이미지 중심의 시' 의 특성 = 42 B. '이미지 중심의 시' 의 교육적 효용 및 지도 방법 = 46 C. '이미지 중심의 시' 수업 모형 - 6차 교육 과정에 따른 = 53 Ⅳ. '서술 중심의 시' 지도의 원리 및 수업 모형 = 62 A. '서술 중심의 시' 의 특성 = 62 B. '서술 중심의 시' 의 교육적 효용 및 지도 방법 = 70 C. '서술 중심의 시' 수업 모형 - 6차 교육과정에 따른 = 74 Ⅴ. '이미지와 서술이 결합한 시' 지도의 원리 및 수업 모형 = 85 A. '이미지와 서술이 결합한 시' 의 특성 = 85 B. '이미지와 서술이 결합한 시' 의 교육적 효용 및 지도 방법 = 92 C. '이미지와 서술이 결합한 시' 수업 모형 - 6차 교육 과정에 따른 = 97 Ⅵ. 결론 = 109 참고문헌 = 113 부록 = 117 ABSTRACT = 12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92566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고등학교-
dc.subject시 교육-
dc.subjectPoetry Education-
dc.subject국어교육-
dc.title고등학교 시 교육의 방법과 해석 모형-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Method of High School Poetry Education and The Poetry Teaching Model-
dc.format.pagev, 127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1997.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