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승미-
dc.creator김승미-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15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15Z-
dc.date.issued199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616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01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6167-
dc.description.abstract교과서는 한 나라의 교육 목표와 내용을 담아 교육 현장에 전달하는 일차적인 매체이다. 그런만큼 교과서는 당행 교육 과정을 토대로 하여 체계적으로 이뤄진 정선된 교재이어야 하며 학교 교육을 결정짓는 교육 활동의 중요한 요소로서 가치있는 것이어야만 한다. 실제에 있어 교육 활동의 관건이라 할 수 있는 교과서에 관심을 가지고 그 체재와 내용을 연구하고 발전시키는 작업은 대단히 의미있고도 반드시 필요한 과제라고 할 만하다. 이에 본 연구는 제5차 교육 과정에서 문학 교재로 통용되는 초-중-고 국어교과서 및 문학 교과서의 구성 및 내용을 검토 분석하여 그 특징을 밝히고 드러나는 문제점을 지적하여 논의함으로써 문학 교육 도구로서의 교과서가 지닌 중요성을 제기하고 나아가 효율적인 문학 교육의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관점에서 시작하였다. 제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밝히고 그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Ⅱ장에서는 문학 교육이 지니는 의의와 목적을 살펴 연구의 제재인 '문학교육 교재로서의 교과서'의 위상을 확고히 하기 위한 배경으로 삼았으며 아울러 교재로서의 문학 교과서가 갖는 기능과 그 의의를 밝혀 놓았다. 또한 교과서 편찬의 바탕이며 도달해야 할 최종 목표를 명시하는 교육 과정에 있어 문학교육에 관한 제반 사항을 각급 학교별, 학년별로 분류하여 살펴 봄으로써 본 연구의 배경으로 삼았다. 제Ⅲ장에서는 각급 학교에서 사용되는 문학 교재로서의 교과서를 국민학교-중학교-고등학교의 순서대로 검토해 보았다. 교과서내에 수록된 문학 작품 및 문학 관련 작품들을 정리하여 문학 갈래의 四分法에 의해 분류하여 보고 장르별 또는 시대별로 각급 학교의 작품을 비교 서술하였다. 결과, 국민학교 국어 교과서내에 실린 작품들은 장르별 수록에서 서정 양식과 교술 양식으로 치우쳐 있었으며 고전 문학 작품보다는 현대 문학 작품의 비중이 높아 상급 학교의 고전 문학 교육에 있어서 기초 학습이 미비될 우려가 있었다. 중학교 국어 교과서내의 수록 작품들은 언어 영역 단원에 비해 비중이 낮아 현행 교육 과정 속에서의 문학 교육의 실상을 짐작케 했으며 장르 또한 국민학교와 마찬가지로 서정, 교술에 치중해 있었다.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내의 수록 작품들도 언어 기능 신장을 위주로 하는 국어 과목 교육의 성격으로 그 수록 비중이나 문학 작품으로서의 성격이 심하게 약화되어 나타났다. 고등학교 8종 문학 교과서의 작품 배열 방식은 세 가지 방식을 각기 혼용하여 적용시킴으로써 작품 이해와 감상에서 다양한 시각을 불러 일으킬 수 있는 반면, 교육 내용이 달라져 작품에서 익혀야 하는 중요 사항들을 그대로 지나칠 염려도 없지 않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문학 과목의 전문성은 다양하고도 질 높은 문학 작품을 확보하여 문학의 참뜻을 알게 함으로써, 국어 과목에서의 문학 작품 부족분을 어느 정도 보충할 수 있었다. 제Ⅳ장에서는 제Ⅲ장에서의 검토, 분석을 바탕으로 하여 작품 수록 상의 문제점을 제시해 보았다. 먼저 교육 과정을 그 바탕으로 삼은 교과서에 교육 목표 상의 방침이 그대로 반영되었는지를 단원 내용과 단원 구성을 대상으로 살펴 그 양상을 밝히고 해결책을 모색하였으며, 수록된 작품이 학년간, 학교간에 連繫性을 띠고 체계적으로 나타났는지를 고전 문학 작품을 대상으로 파악해 보았다. 끝으로, 수록된 작품들이 수용자인 학생들에게 적합한지를 살펴 보았다. 수준의 적합성을 파악하기 위해 피아제의 인지 발달 이론을 변용한 한국 교육개발원의 중등학생의 지적, 정의적 발달 단계에 관한 연구와 독서 능력 발달단계를 援用하여 연구의 기준으로 삼았다. 제Ⅴ장에서는 이상의 논의를 요약하여 정리하고 마무리지었다. 초·중·고 교과서에 수록된 문학 교재에 대한 위와 같은 분석과 논의는 문학 교재의 결점을 보완하여 교재 편찬의 誤謬에서 빚어지는 문학 교육의 非效率性을 극복하려는 작업이며, 나아가 문학 교육이 人文 교육으로서의 所任을 다할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라고 하겠다.;Textbooks are general media which convey the education aims and content to the school. So textbooks, keys to the school education, are made systemaically on the basis of the current education curriculum, and be considered valuable as an important element of eudcation activities. In fact, it is very important and significant to study about textbooks and develop the format and content of textbooks. I began this study with a view of presenting the importance of textbooks, and trying to search for more efficint way of literature education. This should be done after examining the format and content of textbooks, and discussing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s in the 5th education curriculum. In chapter I, I presented the indispensability, purpose, and ways of this study. In chapter Ⅱ, I examined the significance and purpose of the literature education, and made sure of the position of textbooks as a means of literature education. And I presented the function and significance of the literature textbook(Munhak textbook) and classified all about literature education according to education curriculum, which is the basis of textbook publication and shows the aims. I had all things concerning literature education classified, by the standard of education curriculum, which presents the final aims. In chapter Ⅲ, I examined the literature textbooks of elema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order. Arranging literature works in textbooks, I divided them in four, and compared them with one another, that is to say, genre to genre, period to period. Afterward, I could conclude that works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leaned toward poetry, essays and modern literature. This fact might lead to the deficiency of the ability in studying the ancient literature in advanced school. Since the works in middle school textbooks leaned toward the language field, even the literature works in textbooks were included mostly in poetry and essay, I could imagine the state of the literature education. Due to the emphasis on the language ability increase, literature works in high school Korean textbooks(Kuk-uh textbooks) became less important and lose their characteristics. Works in 8 kinds of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s(Munhak textbooks) are arranged in 3 ways, so the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of the works could be done in many ways. Because of the change in education content, the required education elements might be overlooked. However, dividing the literature textbook(Mun-hak textbooks) from others helped to understand the literature, and make up for shortcomings of the Korean textbook(Kukuh textbook) by offering various literature works. In chapter Ⅳ, I presented some problems in work collections on the basis of examination and analysis in chapter Ⅲ. I examined whether the eudcation aims are included in the poems and textbook organization in textbooks. Afterward I examined whether the works, especially in literature works in textbooks, are connected systematically, genre to genre, school to school. Using, survay by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on the developmental stages of intellectual and affective aspects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developmental stages of reading ability by variational method of Piaget's Cognitive Developmental Theory. I examined whether the works in textbooks are suitable to the students or not. In chapter V , I summarized all the above discussion. This discussion which makes literature education efficient and help the literature education work out as humane edu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B. 연구의 방법 = 3 Ⅱ. 문학 교육의 의의와 교육 과정에 대한 고찰 = 5 A. 문학 교육의 의의와 교재 = 5 B. 문학 교육 목표 및 교육 과정의 기본 취지 = 11 Ⅲ. 문학 교재의 구성과 내용 분석 = 18 A. 국민학교 국어 교과서의 문학 교재 = 18 B.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문학 교재 = 23 C. 고등학교의 문학 교재 = 27 1. 국어 교과서의 문학 교재 = 28 2. 문학 교과서의 교재 컴토 = 32 Ⅳ. 문학 교재의 작품 수록에 나타난 문제점 = 36 A. 작품 수록과 교육 과정과의 관련성 = 36 1. 단원 내용에 나타난 문제점 = 36 2. 단원 구성에 나타난 문제점 = 41 B. 작품 수록의 연계성 = 45 1. 서정 = 46 2. 서사 = 51 3. 극 = 53 4. 교술 = 54 C. 작품 수준의 적정성 = 57 Ⅴ. 結論 = 66 참고문헌 = 71 부록 = 75 ABSTRACT = 8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9022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한국어교육-
dc.title초.중.고 문학교재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i, 8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어학교육전공한국어교육분야-
dc.date.awarded1993.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