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824 Download: 0

지역중심 청소년활동 활성화를 위한 청소년 수련시설 운영실태연구

Title
지역중심 청소년활동 활성화를 위한 청소년 수련시설 운영실태연구
Authors
임지연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사회복지대학원 사회교육학과
Keywords
지역중심청소년활동청소년수련시설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청소년기는 인생의 어느 시기보다도 자아실현의 요구가 강하므로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는 장을 펼쳐주며 육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는 지역사회의 인적·물적 자원에 기반한 청소년수련시설을 통하여 가능하며 주체적이고 자발적인 청소년활동을 통하여 자아정체감을 확립할 수 있도록 돕는데 의의가 있다. 지역사회는 가정과 학교를 포용한 청소년 생활의 공간으로 사회화, 교육, 윤리, 문화창조 등의 복합적인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지역사회에서의 청소년 육성에 따른 최소한의 시설 제공은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이러한 청소년수련시설의 건립은 지역사회 주민이 주체가 되어 그들을 중심으로 지역사회 청소년의견을 반영하여 추진하여야 하며, 이에 따른 기술과 예산은 국가차원에서 정부가 지원해 주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청소년이 이용하기 쉽도록 지역사회 소규모 단위로 청소년수련시설을 제공해 주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수련시설의 운영실태를 분석하여 양적인 확충과 더불어 질적으로도 청소년의 이용률을 높일 수 있는 지역중심 수련시설 운영방안을 제시하려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병행하였는데 문헌연구에서는 청소년활동과 청소년수련시설 및 지역사회의 역할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조사연구에서는 서울과 인천지역의 40개 시설에 근무하는 청소년지도자 80명을 대상으로 현재 운영하고 있는 생활권 수련시설의 이용실태 및 운영실태, 수련활동·수련시설·지역중심운영에 관한 청소년지도자의 인식 및 견해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련시설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4명의 실무자와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이용실태를 보면 주요 이용층이 중학생, 초등학생, 고등학생 순이었으며, 이용빈도는 일주일에 1-2번 이용하는 경우가 가장 많고 1년이상 꾸준히 시설을 이용해 온 청소년의 비율은 과반수에 미치지 못하였다. 시설을 이용하는 청소년의 참여방법은 개인적으로나 가족, 친구들과 함께 자발적으로 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둘째, 지도자의 인식 및 이해를 보면 운영을 담당하는 청소년지도자로서 현재 가장 우선시하는 역할은 프로그램 기획 및 실행, 설립기관의 업무행정가이었으며, 바람직한 청소년지도자의 자질로는 이해와 포용력, 사명감과 신념 순이었다. 실무자들이 원하는 수련시설의 소재위치는 학교주변, 주택지대였으며 지역중심의 분산식 소규모 배치를 절대적으로 지지하였다. 또한 청소년수련시설은 지역주민들도 함께 이용하여서 지역사회공동체의 장이 될 수 있어야 된다는 견해를 절대적으로 지지하였다. 지도자의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는 재정의 부족과 청소년 이용률 저조를 들었다. 실제 프로그램 결정과정과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프로그램 결정과정을 비교했을 때 설립기관의 목적과 이용청소년의 요구 사이의 괴리가 가장 큰 차이점으로 나타났다. 청소년들이 수련활동에 참여하는데 있어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는 과중한 학교수업, 학부모의 이해와 협조부족, 수련활동의 형식적 실시를 들었다. 셋째, 수련시설 운영실태를 보면 근무시간이 일정하지 않다가 과반수 가까이 나타났다. 지역특성 및 발전과 관련된 프로그램은 과반수가 실행하지 않고 있었다. 부모님과 함께 하는 프로그램의 실행여부는 과반수 이상이 실행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주요실시 프로그램은 1위가 지식습득강좌인데 비하여 청소년들이 가장 선호하는 프로그램은 자아실현 프로그램으로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현재 가장 많이 실시하고 있는 시설의 주요업무는 공간서비스, 특별프로그램, 회원제서비스(동아리 모임)가 주요했다. 청소년수련시설은 그동안 다양한 유형으로 꾸준히 운영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청소년기본법’과 '한국청소년육성 기본계획'을 수립하는 등의 정부의 청소년육성정책으로 앞으로는 더욱더 확산될 전망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수련시설의 발전을 위해 위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먼저 수련시설에 대해서는 지역사회의 인적·물적자원을 활용하여야 하며, 수련시설을 지역중심으로 분산식 소규모 배치하여야 한다. 재정의 확보는 정부나 지역단체에서 지원하여야 한다. 시설운영을 오픈시스템으로 융통성 있게 경영하여야 하며, 수련시설의 설립목적을 뚜렷이 하여야 한다. 수련시설 운영을 대규모 시설과 소규모 시설간에 중앙체제와 지역체제를 갖추어서 서로의 역할을 지원하여야 한다. 다양한 서비스 업무 및 적극적 홍보활동을 하여야 한다. 수련시설 운영평가시 양적인 면만이 아니라 질적인 면을 함께 평가하여야 한다. 그리고 청소년지도자의 역할에 대하여서는 프로그램 담당자나 설립기관의 업무행정가 뿐아니라 지역주민들 중 자원지도자를 발굴·양성하는 자원봉사자를 관리하는 조직가로서 역할의 중요성이 강조되어야 한다.;The period of youth needs self-actualization more than any period in life, and it is effective to raise it by offering grounds for various activities. This is possible through youth institutes based on manpower and material resources in each community, and it is meaningful to help young generations to establish their self-identity learning to socialize through volunteer youth activity. Community plays a role in socilizing, educating, creating culture and keeping ethecs is absolutely needed and the establishment of those institutes should be propelled reflected by effective that the governments should support following technique and budgets. Also, there should be small unit youth institutes so that young people can easily use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lans for running a local institute which can highly increase the rate of youth's use with quality and quantity expansion youth institue. I did both literature study and a survey for this. Youth activity, institutes and the role of community were examined in literture study, and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the subjects of 80 youth leaders working in Seoul and Inchon.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s were on the present situation of using and running youth institute, youth leaders' opinions on youth activity, institutes, local centered management. Also I interviewed four youth leaders in active service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youth institu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rist, examining youth's use, middle school students,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are the frequent users, and most of them use once or twice a week, and the proportion of youth who keep using an institute more than a year doesn't reach the half of the subject. Most youth use an institute voluntarily with their families, and friends or individually. Second, considering youth leaders,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a role in priority is to design and practice a program, and administer an institute, and qualifications for a desirable youth leaders are understanding mind, commitment to job, and faith in order. The wanted locations of a youth institute by youth leaders are around school areas, and housing Zones, and they absolutely agree to the idea of scattered small unit youth institutes. Also, they hope all local residents including youth can use it as the ground of community. The biggest problems of youth leaders are to secure money for management and the low percentage of youth's use. Comparing real determination on programs with desirable programs, there are big differences by showing that the purpose of an institute and the demands of youth are the most wanted individually. The biggest barriers of youth's participation in youth activity are overburdening school work, lack of parents '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and the superfical practice of youth activity. Third, examining the present situation of running a youth insitute, more than the half of the subject complained of irregular work time. More than the half of the subject answered they are practicing a development. While a major practing program is a knowledge acquisition lecture, the favorite program of youth is a self-actualization program. Also, the major tasks of each institute are Area Service, program service, and club service. Youth institute has been being continuously run in various types, and it is expected to expand it by the governments raising youth policy such as 'youth basic law', 'basic plans for raising Korean Youth'. In this situation, I made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youth institutes. First, we should use manpower and resources in community for youth institutes, and place them scattering them in small units. Securing fund for yourth institutes should be supported by the government. We also should flexibly manage an institute with an open system, having a clear establishment purpose. There should be mutual supponts between big institutes and small institutes, and they should also actively participate in public relation activity. In evaluating the management of youth institutes, the aspects of quality as well as quantity should be covered. Finally, I suggested that youth leaders sh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taking charge of programs, administering institutes, and organizing the volunteers of local resid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