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32 Download: 0

전통의 회화적 적용을 위한 공간

Title
전통의 회화적 적용을 위한 공간
Other Titles
Painting Space for The Realization of Traditional Characteristics
Authors
정소이
Issue Date
1998
Department/Major
대학원 서양화과
Keywords
전통회화공간Painting Space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Recently the contemporary art has searched for and provided the tendency of 'Plurality' which should freely recognize and accept the diverse sujects, patterns, and media, taking different position from the earlier art style demanding new creation and seeking for the absolute values. The plurality which signifies the synchronical varieties has now paid much attention to the national traditions once neglected. Accordingly, the tradition has begun to be revaluated as new values and many attempts have been made to harmonize it with contemporary art. These attempts have achieved constant success through many trials and errors, but further desperate efforts will be needed in this area. In this thesis, I have attempted the modernization of the traditional tendency in art and presented its problems which must be overcome. And I have also shown a new possibility which must find its root and basis in the Korean cultural foundation and which will never neglect the contemporary time and space. In all my works, I have represented the modernistic application of our conventional costumes to the contemporary paintings as well as reviewing the diachronical relations between paintings and costumes as emblems. I have also emphasized new pursuits and comprehensions of the current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emporary paintings and our conventional costumes. In my works, I have especially analysed the application of our conventional costumes to contemporary paintings through de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of the costumes and their colours as well. And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the visual effect and efficiency and the possibility of space changing I have tried to employ the 'Collage' on the secondary demention. Finally, I have proposed the application of the resourceful diversity of conventional costumes to the contemporary paintings by means of the analysis of my paintings.;현대미술은 새로운 것을 요구하고 절대적 가치를 추구하던 이전의 미술양식과는 달리 상대성을 인정하며 다양한 주제와 양식, 매체가 차별 없이 받아들여질 수 있는 '다원주의'의 풍토를 마련하였다. 수평적인 다양성을 중시하는 '다원주의'는 한동안 뒷전에 물러나 있던 자국의 전통에 관심을 기울이게 하였으며, 뿌리의식 없는 외래 문화의 추종은 그 의미를 잃고 있다. 이에 전통은 새로운 가치로 재평가 받게 되었고 현대와의 조화를 위한 많은 시도가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시도는 시행착오 속에서 결실을 맺어 왔으나 아직은 많은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의 현대미술 속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는 전통의 현대화와 그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며, 그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우리의 문화적 기반에 뿌리를 두면서도 현대라는 시간과 공간을 간과하지 않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려 하였다. 본인의 작품에 있어서 전통성의 현대적 적용은 전통적 조형미를 함축적으로 드러내기 위해 조형미와 함께 상징성을 지닌 의상을 통해 이루어지며 전통의 현대적인 적용의 문제에 대해 논한 후, 미술과 의상과의 관계를 역사적으로 살펴보았다. 시대에 따른 미술과 의상의 관계 변화에 대한 흐름을 파악하는 것은 미술과 의상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전통의상 차용이 본인 작품 속에서 지니는 의미를 설명 강조해준다. 본인 작품 속에서 전통의상의 회화적인 적용은 의상형태의 해체와 재구성을 통해 이루어지며 색채를 통해서 더욱 강조된다. 또한 시각적인 전달효과와 공간변화의 가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2차원의 평면 위에 꼴라쥬를 하여 현대와의 보다 적극적인 관계를 표현해 보고자 하였다. 끝으로 본인 작품을 분석해 봄으로써 지금까지의 전통의상을 이용한 전통의 현대적 적용에 대한 설명과 반성을 통하여 전통적 소재가 지니는 다양한 가능성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