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8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문경아-
dc.creator문경아-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3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3Z-
dc.date.issued1998-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83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98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831-
dc.description.abstract기존의 거대하고 접근하기 어려웠던 컴퓨터의 암흑시대에 조차도, 컴퓨터가 곧 일반인들에 의해 쉽게 사용될 것이라는 믿음이 있었고, 또 그것이 현실화되고 있다. 마우스, 윈도우즈, 휴지통과 같은 것들이 바로 폭넓은 사용자층을 유도해낸 친숙한 인터페이스 요소들이다. 이러한 예증을 통해 우리는 인간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에 대한 필요성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는 인간중심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개발이 바로 성공적인 정보화를 이룰 수 있는 열쇠라는 점 또한 예측할 수 있다. 항시 접속이 되고 또 새로운 정보의 update가 가능한 인터넷은, 그것이 제공하는 많은 이점에 반해 디자인을 정확히 표현하는데 제한과 한계가 있어 더 많은 연구 노력이 요구된다. 우리는 '지구촌'이라는 말에 익숙하다. 즉 거리적, 문화적인 차이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 21C에 살고 있는 것이다. 이는 빠른 정보의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긍정적인 면을 제시하는 반면, 다른 한 편으로는 각 나라마다 지니고 있던 고유성을 점차 잃어가고 있다는 부정적인 면도 갖고 있다. 웹상에서 써핑(surfing)을 하며 접하는 홈페이지들 중에는 Native Design에 대한 개념이 희미한 경우가 많다. 물론 전세계인을 대상으로 하는 디자인이니 만큼 국지적인 성격을 벗어나고자 하는 고의적인 의도가 있을 수도 있겠지만, 특히 시장이 개방된 21C 정보사회에 있어서는 보다 독특하고 고유한 그 나라만의 전통에서 비롯된 미의 표현이 그 어느때보다도 가치를 발한다는 사실을 깨달아야 할 것이다. 오늘날 정보는 단순히 '운반'되고 있다. 그러나 이 역할은 더욱 강화될 것이고 앞으로는 정보의 '연결(linking)'면이 더 강조될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 디자이너들은, 전통적인 디자인 기술과 미적 기준을 사용하는 대신 점차적으로 대화형 체험을 디자인하는 새로운 도전을 시도하고 있다. 이에 착안하여 본 논문에서는 이미 상식화된 멀티미디어와 인터넷에 대한 개념을 전제로 하고, 우리나라의 전통도자에서 발견할 수 있는 미의 요소를 재해석하여 적응시킨 독특하고 효율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디자인을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는 웹 상에서 하드웨어적인 기술부문의 뒷받침과, 소프트웨어적인 인지에 대한 이해를 넘어 이제는 감성적인 디자인 단계로 나아감을 뜻한다. Andrew Sather가 제시한 바와 같이 디자인 작업은 어떤 정보를, 누구에게 전할 것이며, 또 사용자가 어떻게 접근하게 할 것인가에 대한 고려에서 비롯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자는 우리나라의 도자기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는 도예연구소에 관한 웹상의 홈페이지 디자인을 하였다. 디자인 대상은 도예분야에 관심을 갖는 국내외 학생 및 도예가이며, 학교 부설기관이자 독립된 연구기관인 도예연구소의 역사와 현재의 소개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목적으로 하였다. 디자인은 문화의 이해에서 비롯된다. 특히 디자인할 사이트의 목적이 우리의 도자문화를 소개하는 것인 만큼 보다 한국적인 미를 현대적인 감각으로 소화하는 과정이 바로 본 연구에서 가장 중시될 부분이다. 본 연구자는 이 논문을 통하여 뉴미디어 시대에 정보디자인이 갖는 중요성을 인식하고, 국제화 시대에 적합한 궁극적인 메타가치로서의 한국적인 아름다움을 대상으로 하여, 그래픽 디자인의 조형적 해결의 한 방법을 제시해 보고자 노력하였다.;Even as back in Dark Age of computer when computer was monstrously huge and unapproachable, there once were belief and now becoming of the reality that soon people will access and use the computers easily. With the development of Mouse, Windows, Trash Can and other similar developments alike are the user friendly components that have drown even more wide range of computer users. Through this examples we realized the need for easier to approach interface, and by meeting the such demand in development of human centric user interface is also the key to success in achievement of information oriented society which were predictable. Internet can always be connected and also possible to have new information updated at any time as few of many advantageous side but the lacking part of opposite side is that it has limitation and restriction in providing perfect design where it needs to be improved with stronger effort in research. We are familiar with the word 'global community' as we are living in 21st century where there is almost none existence of cultural and distance boundaries. Thanks in part of accomplishment in swift exchange of information but in contrary there is negative side as well, where each country's own inherited culture is being gradually deteriorated due to this effect. There are incidents when you are surfing the Web, you encounter lot of home pages that are unclear of their native design concept. Of course they purposely designed for whole world audience to see, as this is their intended an aim in straying off from their own native character. But in this 21st century, open market society of information, one has to realize the effectiveness is expressing the uniqueness of one's traditional cultural beauty, which is even more valuable. Today's computers 'convey' information. Moreover, this type of function will be intensified and for future progress the information 'linking' portion will be even more emphasized. From this reason, recently, designers are gradually challenging innovative design that delivers interactive experience to Internet users instead of using traditional and aesthetic designs. Thereupon, this thesis focuses on prerequisite concept of multimedia and Internet that is already known as common concept, and the goal was to retranslating the beauty that can be discovered in the traditional Korea's ceramics, applying effectively into unique user interface design. This is the step in progress to aesthetics design by understanding the technical portion of Hardware, the knowledge portion of Software in Web environment. Andrew Sather offered, design work will convey the certain information to someone and also considering how will the user approaches is where consideration of design is derived from. This design target is Web site home page design of Ceramics Research institute, where Korea's ceramics related research is conducted. The basic applied principle of the user interface design and design goal is the introducing the history of independent research institution, the current location, and as one of department in the school, and the Web site users are consist of avid ceramists and also domestic and foreign students. The design was derive from understanding the culture, especially the goal of this site's design was to introduce our ceramics culture, and in as much the vital portion of this research was to digest the traditional beauty of Korea into modernized feeling. Through this thesis, this researcher understood the importance in information design of new media era and befitting to era of globalization against the positive meta-value in traditional Korea's beauty, the form of plastic art solution that tried in effort to present in graphic desig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배경 및 필요성 = 1 B. 연구 대상 및 범위 = 3 C. 연구 방법 = 3 D. 주요 용어 정의 = 4 Ⅱ. 이론적 배경 = 7 A. 전통도자의 한국적인 미 = 7 1. 한국미에 대한 이해 = 7 2. 전통도자의 한국미 = 10 B. 인터페이스 디자인 = 15 1.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개요 = 15 2. 사용자 이터페이스 디자인의 요소 = 21 3.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기본 원칙 = 25 Ⅲ. 디자인 제안 = 28 A. 디자인 대상 및 범위 = 28 B. 디자인 컨셉 = 29 1. 비유법 = 29 2. 감성 요소 = 31 C. 디자인 전개 = 34 Ⅳ. 요약 및 결론 = 55 ABSTRACT = 57 참고문헌 = 6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36058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전통도자-
dc.subject한국미-
dc.subject웹상-
dc.subjectUI디자인-
dc.title전통도자의 한국미 표현에 의한 웹상의 UI디자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도예연구소 Homepage 디자인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f User Interface Design on the WWW based on the Korean beauty of Traditional Ceramics-
dc.format.pagevi, 61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정보디자인과-
dc.date.awarded199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